항목

  • 소극장 small motion-picture theater
    객석 수가 작은 소규모 극장.|1960년대 미국에서 상업화된 기성 연극에 도전하면서 생겨났다. 극장의 크기가 크고 객석 수가 많으면 관객을 대량으로 동원할 수 있는 오락이나 흥미 위주의 상업성이 짙은 작품을 무대에 올리게 마련이었다. 그러나 관객의 취향이 다양해지고 고급스러워지면서 좀더 수준 높은 작품을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화 일반
  • 소극장운동 小劇場運動
    내용 소극장은 대체로 300석 이하의 객석을 가진 규모가 작은 극장을 일컫는데, 여기에 운동이라는 낱말이 붙으면 연극운동의 특수개념을 지니게 된다. 즉, 대극장활동을 일단 상업주의연극으로 보고 그것을 개혁하거나 혹은 상업연극을 극복하는 새로운 연극을 만들어내겠다는 것이 바로 이 연극운동의 목표이다...
    시대 :
    근대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예술·체육/연극
  • 이건동과 한얼소극장 돈키호테 가족 극단
    오기 싫었다(웃음). 서울은 전쟁터다. 예술가로서 연극을 무기삼아 싸우러 왔다. 그렇지만 또 크게 보면 서울이나 제주나 같기도 하고. 그럼 서울의 한얼소극장은? 서울의 오아시스 같은, 목 마른 사람에게 물 한 모금 줄 수 있는 극장이 되면 좋겠다. 서울에서 당신이 가장 좋아하는 장소 또는 혼자만의 아지트? 우리...
    소재지 :
    서울시 종로구 혜화동 70-1
    가는 법 :
    지하철 4호선 혜화역 1번 출구. 혜화동 로터리 방면. 혜화주유소와 파출소 사잇길. 혜화동1번지 소극장 지나 왼쪽 지하 1층. 간선버스 102, 104, 106, 107, 108, 140, 143, 149, 150, 151, 160, 162, 171, 172, 272, 301, 710번, 마을버스 종로08번 혜화동 로터리 하차
    이용 시간 :
    토·일요일 7시 30분
  • 극장 (관련어 소극장) Theater (structure), 劇場
    극장(劇場)은 무대가 있으며, 뮤지컬이나 오페라를 보기 위한 공간이다. 규모에 따라 대극장, 소극장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극장은 연극 작품, 공연 예술 및 음악 콘서트가 상영되는 구조이다. 극장 건물은 공연과 관객 공간을 정의하는 역할을 한다. 시설은 일반적으로 공연이 진행되는 무대뿐만 아니라 공연자, 기술진...
    도서 위키백과
  • 소극장운동 ─小劇場運動
    개설 1980년대 가장 주목할 현상인 춤의 창작역량 고양은 소극장에서의 실험적 창작공연을 활성화시키는데 큰 역할을 담당했다. 이 시기 사설 소극장으로는 공간사랑과 미리내소극장 등이 있었고, 국·공립소극장으로는 국립극장 실험무대나 문예회관 소극장이 있었으며, 그 외에 바탕골소극장, 산울림소극장, 창무춤터...
    시대 :
    현대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예술·체육/무용
  • 소극장운동 小劇場運動, little theatre
    베를린의 프라이에 뷔네, 모스크바 예술 극장 같은 곳에서 시도되었던 실험무대에 큰 영향을 받았다. 보스턴의 장난감 극장(1912), 시카고의 소극장(1912), 뉴욕의 소극장(1912) 같은 지역 사회의 극장이 이러한 실험활동의 중심지였다. 몇몇 단체는 단체 소유의 극장을 소유하고 있거나 임대하고 있었다. 길드 극장...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여인소극장 女人小劇場
    내용 일본 와세다대학(早稻田大學)출신의 여류연극인 박노경(朴魯慶)의 주재 아래 그의 남편 오화섭(吳華燮)이 도운 우리 나라 최초의 여성들만의 신극단체였다. 1회 공연작품으로 「고향」(주더만), 2회 때 「인형의 집」(입센)을 박노경 연출로 시공관(市公館)에서 상연하였다. 주로 이화여자대학교 출신의 여성 20...
    시대 :
    근대
    설립 :
    1948년 10월
    성격 :
    극단, 여성극단, 신극단체
    유형 :
    단체
    해체 :
    1950년
    설립자 :
    박노경(朴魯慶), 오화섭(吳華燮)
    분야 :
    예술·체육/연극
  • 소극장 산울림
    고난이 닥쳐도 중도에 극장을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없게끔 용도 변경 불가의 극장 건물로 신축한 것이다. 그리하여 1985년 3월 3일 극단 산울림 자체 전용극장인〈소극장 산울림〉이 탄생하여 오늘에 이르게 되었다. * 개관 - 1985년 3월 3일 자체전용극장 소극장 산울림 개관 참고문헌 극단 소극장 산울림 http://www...
    위치 :
    서울특별시 마포구 와우산로 157 (서교동)
    설립자 :
    임영웅
  • 학산소극장
    2004년 개관한 학산소극장은 2016년 4월 학산생활문화센터-학산소극장으로 새롭게 개관했다. 시범운영을 통해 주민친화형 생활문화 공간으로 자리 잡았으며, 아마추어 공연과 전문예술 공연을 열어 다양한 콘텐츠의 공연예술을 즐길 수 있는 열린 시민극장이다. 주민 누구나 문화예술을 감상하고 체험하며 생활 속의...
    위치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인하로 126 (용현동)
  • 오거리 소극장
    오거리 소극장은 전라북도 전주시에 위치한 소극장으로, 공연예술을 위한 공간이다. 2018년 개관하였으며 2023년 음향기기와 조명시설 등의 시설을 최신식으로 교체하고 취식이 가능한 테이블형 좌석과 극장형 좌석 도입 등 소극장으로는 전북도 내에서 최신 시설과 최대 규모의 무대를 자랑하고 있다. 또한, 지상에...
    위치 :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소양면 송광수만로 95
  • 바탕골소극장
    특히 마로니에 공원 주변은 문화예술과 관련된 공연장이나 기관 등이 발달해 있어서 대표적인 문화예술의 거리로 손꼽힌다. 이곳은 70,80년대부터 작은 소극장이 즐비했고 다양한 주제의 연극, 소공연, 소규모 콘서트가 늘 열리던 곳이었다. 바탕골소극장은 대학로 연극시대의 초석이 되었던 극장으로 명실상부 대학로...
    위치 :
    서울특별시 종로구 동숭동
  • 연우소극장
    연우소극장은 뮤지컬, 콘서트, 연극, 무용 등 다양한 장르의 공연을 하는 공간이다. 창작극 불모 시대에 창작극이라는 깃발을 내걸고 시작한 연우소극장은 한국 연극의 독자적인 공연 양식을 창출하기 위해 창작극 개발을 해왔다. 실험 작업을 꾸준히 해온 결과 오늘날 한국 연극에서 보이는 창작극 활성화를 앞당겼고...
    위치 :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35길 21
    설립자 :
    1977년 서울대 연극소모임 회원들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3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