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셀레우코스 4세 필로파토르 (관련어 셀레우코스 4세) Seleucus ..왕족 정보 셀레우코스 4세 필로파토르(? ~ 기원전 175년, 제위 기원전 187년 ~ 기원전 175년)는 시리아(킬리키아와 팔레스타인을 포함), 메소포타미아, 그리고 가까운 이란(메디아와 페르시아)으로 구성된 영역의 헬레니스틱 셀레우코스 제국의 지배자였다. 그는 안티오코스 3세의 두 번째 아들이였는데 그의 형인 안티...도서 위키백과
-
프톨레마이오스 4세 Ptolemaeos IV Philopator군대는 팔레스타인 남부의 라피아에서 셀레우코스 왕조의 군대와 만났으나 방진 대형을 이룬 이집트 원주민 군대의 도움으로 프톨레마이오스는 승리를 거둘 수...코엘레시리아에서 물러났다. 라피아 전투를 끝낸 뒤 프톨레마이오스 4세는 여동생인 아르시노에와 혼인해 BC 210년 아들을 낳았다. 그러나 자신들의 힘을...
- 출생 :
- BC 238경
- 사망 :
- 205
- 국적 :
- 이집트
-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 Seleucus I Nicator, セレウコス1世않았다. 이후 〈트리파라데이소스 협정〉을 통해 전후 처리가 이루어졌다. 새 섭정은 안티파트로스가 되었으며 두 왕(필리포스 3세와 알렉산드로스 4세)는 마케도니아로 이송되었다. 사트라프 자리도 재분배되었는데, 리시마코스가 트라키아를 받았고 페르디카스 암살에 일조한 셀레우코스가 바빌론을 받았다. 트리...도서 위키백과
-
제2차 유대-셀레우코스 전쟁모두 팔레스타인 지역으로 달아났다. 이에 유다 마카베오와 이스라엘 군대가 주변의 이민족들에게 알려졌고 그의 명성은 셀레우코스 제국의 왕 안티오코스 4세에까지 알려지게 되었다. 안티오코스 4세는 유대 지방 정벌을 대비해 매우 강력한 군대를 조직하고 모든 국력을 동원하였다. 그러나 국고가 떨어짐에 따라 기원...도서 위키백과
-
안티오코스 4세 에피파네스 Antiochus IV Epiphanes, アンテ..는 기원전 175년부터 사망한 164년까지 셀레우코스 제국을 다스린 바실레우스이다. 에피파네스는 신의 현신을 의미한다. 안티오코스 3세의 아들이며 셀레우코스 4세 필로파토르의 형제였다. 본명은 미트리다테스로, 그는 안티오코스라는 이름을 형 안티오코스의 사후에 왕위를 승계할 때 사용하였다. 그의 치세의 기록할...도서 위키백과
-
데메트리오스 1세 소테르 Demetrius I Soter, デメトリオス1世ソテル왕족 정보 데메트리오스 1세 소테르(Δημήτριος Α, 기원전 185년 ~ 기원전 150년)는 셀레우코스 제국의 지배자였다. 그는 그의 아버지 셀레우코스 4세 필로파토르의 치세에 로마에 인질로 보내졌다. 기원전 175년 부친이 사망하자 안티오코스 4세 에피파네스는 왕좌를 장악하려고 데메트리오스의 로마행을 이용...도서 위키백과
-
셀레우코스 7세 퀴비오사크테스 Seleucus VII Philometor, ..도시들이 이 시기에 셀레우코스 왕국에 충성하였다. 이 어린 왕은 아마도 유명한 이집트 클레오파트라 7세의 자매인 베레니케 4세라 불리는 프톨레마이오스 공주와 결혼한 셀레우코스와 동일인일 것이라 추측되고 있다. 하지만 그는 그의 예의없음에 분개하여 살해당하게 되고, 키비오사크테스(kybiosaktes)라는 치욕적...도서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