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세르보크로아티아어 세르비아-크로아티아어, Srpskohrvats..
    유고슬라비아의 주요언어인 남슬라브어. (영). Serbo-Croatian language.|유고슬라비아의 세르비아·몬테네그로 공화국,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크로아티아에 사는 대다수 사람들의 모국어이며, 슬로베니아와 마케도니아에서도 중요한 제2언어로 사용되고 있다. 크로아티아인들은 로마 가톨릭교도로 수백 년 동안 베...
  • 세르보크로아트어 (관련어 세르보크로아티아어) Serbo-Croatian, セルビア・クロアチア語
    언어 정보 세르보크로아트어, 보스니아-크로아티아-세르비아어(BCS), 크로아티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몬테네그로에서 사용되는 남슬라브어군의 언어이다. 정치적인 이유로 오늘날에는 국가들이 각각 세르비아어, 크로아티아어, 보스니아어, 몬테네그로어의 서로 다른 4가지 표준어를 설정함으로써 다중심언어가 되...
    도서 위키백과
  • 세르보크로아트어 위키백과 Serbo-Croatian Wikipedia, セルビア・クロアチ..
    세르보크로아트어 위키백과는 세르보크로아트어 버전의 위키백과이다. 2014년 7월 27일 문서 수 201134개를 돌파했다. 기호는 sh이다. 세르보크로아트어 위키백과 토막글
    도서 위키백과
  • 유고슬라비아 문학 Yugoslav literature
    문화권에 속해 있었고 나중에는 투르크 술탄에게 예속되었다. 이들 여러 민족이 유고슬라비아 연방으로 통일을 이룩한 1918년부터 유고슬라비아인들은 세르보크로아티아어·슬로베니아어·마케도니아어 등 3종의 문어와, 라틴 문자와 키릴 문자 등 2종의 문자를 사용했다. 세르비아인과 크로아티아인은 공통된 언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슬로베니아어 Slovene language
    이어 19세기초에는 이 언어의 문법책들이 출간되었으며, 19세기 중엽에는 표준 문어형식이 채택되어 쓰이게 되었다. 슬로베니아어는 동쪽 이웃 언어인 세르보크로아티아어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슬로베니아어가 7~9세기에 세르보크로아티아어에서 갈라져나왔기 때문이다. 슬로베니아어의 방언이 동쪽으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노비사드 Novi Sad
    강과 연결된다. 보이보디나 북부와 그 지역 주민의 1/5 정도를 차지하는 헝가리계 소수민족의 경제와 문화의 중심지이다. 이 지역의 민족적 다양성은 세르보크로아티아어(語)·헝가리어·슬로바키아어·루마니아어·루테니아어 등으로 방송하는 노비사드 라디오 방송에서 잘 드러난다. 18세기 이전에 노비사드는 페트로...
    위치 :
    세르비아 북부 보이보디나 주, 도나우 강 연변
    인구 :
    250,439명 (2021년 추계)
    면적 :
    129.4㎢
    언어 :
    세르비아어
    대륙 :
    유럽
    국가 :
    세르비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럽
  • 슬라브어군 Slavic languages
    라트비아어, 지금은 사라진 고대 프로이센어 등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다. 학자들은 슬라브어군을 3갈래로 분류하는데, ① 유고슬라비아에서 쓰는 세르보크로아티아어와 슬로베니아어, 불가리아와 그 인접 지역에서 쓰는 불가리아어, 유고슬로비아와 인접한 그리스 일부 지역에서 쓰는 마케도니아어 등으로 이루어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 공통어 共通語, koine
    글로 쓸 수도 있고 말할 수도 있다. 표준 마케도니아어, 14세기말에 나폴리에서 쓰던 이탈리아어, 7~10세기에 중국 북부에서 쓰던 언어 등이 공통어에 속한다. 오늘날 존재하는 공통어는 세르보어와 크로아티아어 둘 중 하나에서 변화되어 나와 유고슬라비아 베오그라드에 근거를 둔 표준 세르보크로아티아어를 들 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의 국민
    인구의 절반가량을 이루는 보스니아인과, 1/3 가량의 세르비아인, 1/5 가량의 크로아티아인과 나머지는 기타 소수민족으로 구분된다. 이 3개 민족들은 세르보크로아티아어를 공용어로 사용하며 인종적으로 뚜렷한 구별이 없지만 세르비아인들은 대부분 정교회 교도로 키릴 문자를, 크로아티아인들은 로마 가톨릭교도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불가리아 국민
    않음), 주로 도시에 거주하는 수천 명의 아르메니아인·러시아인·그리스인과 촌락에 거주하는 루마니아인·타타르인 등이 있다. 불가리아어는 세르보크로아티아어·슬로베니아어·마케도니아어(정부는 불가리아어의 방언으로 간주)와 함께 남슬라브어군에 속한다. 주로 방언이 많이 쓰인다. 신앙을 가진 대부분의 국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럽
  • 리예카 Rijeka
    줄리안알프스와 아드리아 해 사이의 좁은 평지에 자리잡은 이 도시는 산맥 경사면에서 해안 매립지까지 뻗어 있다. 13세기부터 불러온 이곳 이름은 세르보크로아티아어(語)로 례치나, 이탈리아어로 피우마라 또는 에네오라고 하는 강에서 비롯되었다. 항구는 크로아티아 해군의 제1기지이며 근해 선박이 출항하는 곳이다...
    위치 :
    크로아티아 서부, 크바르네르 만 연안
    인구 :
    128,384명 (2022년 추계)
    면적 :
    44㎢
    언어 :
    크로아티아어
    대륙 :
    유럽
    국가 :
    크로아티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럽
  • 오흐리드 Ohrid
    주요지점이었다. 518년 엄청난 지진을 겪었으며, 그후 로마인들에 의해 복구되었다. 구시가지는 우뚝 솟은 험한 바위 위에 있는데 바위에 해당하는 세르보크로아티아어인 흐리드(hrid)에서 이 도시의 이름이 유래했다. 이 바위의 정상에는 대략 10세기말에서 11세기초에 지어졌던 요새의 잔해가 남아 있으며, 이당시 이...
    위치 :
    마케도니아 남서부, 오흐리드 호 북동쪽 연안
    인구 :
    51,591명 (2016 추계)
    면적 :
    389.93㎢
    대륙 :
    유럽
    국가 :
    마케도니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럽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세르보크로아티아어(Srpskohrvatski Jezik)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