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뢰야삼위 (관련어 선악업과위)
    불교 뢰야3위(賴耶三位) 또는 뇌야3위(賴耶三位)는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의 교학의 수행론의 일부로서, 수행이 향상되면서 모든 번뇌 즉 번뇌장과 소지장을 단멸함에 따라 일어나는 제8식 즉 아뢰야식의 변화를 크게 3단계로 나눈 아애집장현행위(我愛執藏現行位) 뢰야3위는 수행기간인 인위(因位)에서 불과(佛果)를 ...
    도서 위키백과
  • 삼도
    의문과 논란이 있으나 대승불교의 교학 즉 이론상으로는 대체로 이렇게 주장되고 있다. 대승불교에서는 '부파불교의 아라한' 즉 아애집장현행위.cw악업과.cw상속집지위의 뢰야3위에서 첫 번째 아애집장현행위를 벗어나 두 번째 악업과에 들어선 경지이다.sfnsfnsfnsfn 제8지인 부동지 이상은 무공용(無功用)의...
    도서 위키백과
  • 삼해탈문
    無性空) 대승불교 일반의 아공(我空).cw법공(法空).cw구공(俱空)의 3공 가운데 아공에 해당한다.sfnsfn 유식유가행파의 아애집장현행위(我愛執藏現行位).cw악업과(善惡業果位).cw상속집지위(相續執持位)의 뢰야3위 가운데 아애집장현행위에 해당한다. 무상해탈문(無相解脫門, 남녀상(男女相) 즉 실제로는 존재하지...
    도서 위키백과
  • 삼상 (아뢰야식)
    법무아 3계 9지 부파불교의 수행계위 3도: 견도.cw수도.cw무학도 5위: 자량.cw가행.cw견도위.cw수도.cw무학 9지 대승불교의 수행계위 인위와 과위 뢰야3위: 아애집장현행위.cw악업과.cw상속집지위 5위: 자량.cw가행.cw통달위.cw수습위.cw구경 10지 서적 인용서적 인용언어링크 서적 인용 불교 둘러보기
    도서 위키백과
  • 아뢰야식 阿頼耶識, 阿賴耶識
    이라고도 한다.sfn 《성유식론》과 《성유식론술기》에 따르면, 뢰야3위(賴耶三位)를 제시한다. 뢰야3위(賴耶三位)는 아애집장현행위(我愛執藏現行位).cw악업과(善惡業果位).cw상속집지위(相續執持位)를 말한다. 그런데 '아뢰야식' 즉 '장식(藏識)'이라는 명칭은 이 가운데 제1위인 아애집장현행에서만 사용되는...
    도서 위키백과
  • 팔단십의문
    색계 일체종자식은 윤회를 벗어나 해탈한 측면에 초점을 맞춘 이름들이다. 유식학에는 이 단계들을 각각 순서대로 아애집장현행위(我愛執藏現行位).cw악업과(善惡業果位).cw상속집지위(相續執持位)라고 하며 총칭하여 뢰야3위(賴耶三位)라고 한다. 뢰야3위는 완전한 깨달음의 상태에 이르기까지의 수행 과정 동안 제...
    도서 위키백과
  • 백법 五位百法
    세력 에 가립한 것이다. 사(思)의 현행은 찰나에 생ㆍ멸하지만 상속부단(相續不斷)하는 것이니, 이 종자가 계속하는 기간의 세력에 대해 무표색이라 하였다. 율의 또는 선율의受所引色,即無表色;乃依身、口發動之善惡二業,而生於身內之無形色法,為一種不能表現於外之現象,例如由持戒所引起的一種防非止惡之精神...
    도서 위키백과
  • 진표 眞表
    뵙고, 진문(眞門) 대덕방(大德房)에 있었다. 속리산의 영심(永深)·융종(融宗)·불타 등이 찾아와서 계법을 간청하자 가사·발우와 〈공양차제비법〉·〈점찰악업보경〉 및 간자 189개를 주며 교법의 유포를 부탁했으며, 속리산의 길상초(吉祥草) 나는 곳에 길상사를 창건하게 했다. 발연사의 동쪽 큰 바위 에...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국적 :
    신라,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삼성 (유식) Trisvabhāva, 三自性
    수행계위 3도: 견도.cw수도.cw무학도 5위: 자량.cw가행.cw견도위.cw수도.cw무학 9지 대승불교의 수행계위 인위와 과위 뢰야3위: 아애집장현행위.cw악업과.cw상속집지위 5위: 자량.cw가행.cw통달위.cw수습위.cw구경 10지 서적 인용서적 인용언어링크 서적 인용언어링크 서적 인용언어링크 서적 인용...
    도서 위키백과
  • 대한불교법상종 (사)대한불교법상종, 大韓佛敎法相宗
    에 종무원이 설치되어 있다. 대한불교법상종은 석가세존의 기본 교리 바탕 에 유가교관을 수증하여 만법유식의 진리를 체득하고, 미륵신행을 실천함으로써...소의경전은 『미륵삼부경』과 『해심밀경』, 『유식법상종요』, 『점찰악업보경』 등이다. 대한불교법상종의 총본산은 고려 초기 개창하고, 1970년에 중창한...
    시대 :
    현대
    유형 :
    단체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삼위
    도(道)의 3가지 다른 모습인 옥청(玉清).cw상청(上清).cw태청(太清)의 3청(三清)을 말한다. 삼위(三位)는 불교의 아애집장현행위(我愛執藏現行位).cw악업과(善惡業果位).cw상속집지위(相續執持位)의 뢰야3위(賴耶三位)를 말한다. 삼위(三位)는 힌두교의 3위일체론인 트리무르티를 이루는 세 신인 브라흐마.cw비슈누...
    도서 위키백과
  • 지장신앙 地藏信仰
    에 죄과(罪過)의 이름을 적어 놓고 이를 던져서 나온 죄과목을 보고, 자신의 죄를 참회하며 고쳐 나갈 것을 권장하고 있다. 특히, 삼세(三世)의 죄과를 안 연후에 지장보살에게 예배하고 모든 중생들로 하여금 죄업중죄(罪業重罪)를 소멸시킬 것을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점찰보의 운영은 백성들의 윤리의식을...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종교·철학/불교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