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오스트레일리아 해류 West Australian ..
    인도양 동남부를 흐르는 비교적 차가운 표면 해류.|인도양의 남쪽 부분에서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시계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해류 중의 일부분이다. 서풍피류(West Wind Drift) 중의 일부분인 남인도양 해류오스트레일리아 서쪽 해안으로 접근, 북쪽으로 유로를 바꾸어 해안과 평행을 이루면서 형성된다.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인도양 , 지구
  • 오스트레일리아 해류 West Australian ..
    오스트레일리아 해류(West Australian Current)는 남태평양과 남인도양의 시원한 표층 해류이다. 더 큰 남극 순환 해류(서풍 표류)의 일부인 남부 인도양 해류로 시작된다. 해류오스트레일리아에 접근하면서 호주 서해안과 평행하게 북쪽으로 방향을 틀어 오스트레일리아 해류가 된다. 조류는 주로 계절적이며 ...
    도서 위키백과
  • 적도해류 赤道海流, equatorial current
    해류는 북쪽으로 흐르는 아프리카 동안해류와 남쪽으로 흐르는 해류로 나누어진다. 후자는 모잠비크 해류(서쪽)와 마스카렌 해류가 되어 마다가스카르를 통과해 흐르다가 아굴라스 해류가 된다. 이 해류는 희망봉에서 동쪽으로 남인도양해류에 합류되어 다시 오스트레일리아 해류로 흐른다. 후자는 인도양 남적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인도양의 수문
    산맥의 동편에는 이르지 못한다. 적도해역에서는 겨울에 적도반류가 발달한다. 적도 남쪽으로는 해류의 이동방향이 연중 일정한데, 이런 해류로는 무역풍(남적도)해류, 아굴라스 해류, 남인도양해류, 오스트레일리아 해류 등이 있다. 남위 40~65° 지대에는 편서풍의 영향으로 극지해류가 발달되어 있으며, 남극대륙...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인도양 , 바다
  • 근대 세계의 출현
    랜더는 아프리카 해안에 있는 베냉 만에서 부사까지 들어간 다음, 강을 따라 어귀까지 내려왔다. 아프리카 중남부에 있는 잠베지 강은 19세기 중엽까지 전혀 알려져 있지 않았다. 19세기 중엽에 스코틀랜드의 선교사이자 탐험가인 데이비드 리빙스턴이 잠베지 강의 중류까지 거슬러올라갔다. 1852~56년에 계속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역사 일반
  • 아라푸라 해 Arafura Sea
    해분은 인도양의 자바 해구처럼 서쪽으로 뻗어 있는데 세람·아라푸라·티모르 해의 해저를 이루고 있는 연속된 침강지대의 일부분이다. 아라푸라 해의 표면해류는 남위 8° 이북에서는 분명하지 않다. 같은 위도 이남의 해류는 겨울에는 서쪽으로 흐르지만 여름에는 어떤 특별한 유형을 갖지 않는다. 아라푸라 해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오세아니아 , 바다
  • 태평양의 수문
    이동한다. 태평양지역에는 남극대륙에서부터 일본에 이르는 심층수의 순환로가 있으며, 이것에서 분기된 각 지류들은 남·북반구 모두에서 차가운 물을 동쪽으로 이동시킨다. 심층수의 순환은 해류들이 서로 수렴되는 곳에서 일어나는 표층수의 하강에 큰 영향을 받게 된다. 적도역류가 발생하는 지역과 일치하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태평양
  • 남극대륙 南極大陸, Antarctica
    부분을 남극이라고 부른다(트랜선탁틱 산맥). 이러한 명칭은 동남극과 서남극 대부분의 지역 경도가 각각 동경과 서경에 속하기 때문이다. 동남극은 대륙빙상으로 덮인 고원이며, 서남극은 남극반도와 그 주변의 섬들로 이루어져 있으나 얼음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대륙빙상의 평균두께는 2,000m이며, 이는 전세계...
    위치 :
    남극 지역
    면적 :
    14,200,000㎢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남극
  • 엘니뇨 El Niño
    페루해류가 들어오지 못하기 때문에 정상적인 경우보다 해수면 온도가 상승하며 평년보다 높은 상태가 된다. 해수면 온도가 높은 구역이 태평양에서 중태평양이나 동태평양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강수 분포에도 영향을 미친다. 정상적인 해에 다우지였던 태평양지역에서는 평년보다 강수량이 적어 가뭄이 나타나며...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지리/자연지리
  • 엘니뇨 <스>El Niño
    표층 해류로 인해 동태평양의 따뜻한 해수가 서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동태평양의 해수면 온도는 하강한다. 또한 부족한 해수를 보충하기 위해 하층의 차가운 물이 해수면으로 상승하는 용승 현상이 일어남에 따라 동태평양은 적도 부근임에도 낮은 수온을 유지한다. 이렇게 심층에서 올라온 찬 해수에는 영양염류가 풍부...
  • 라니냐
    방향으로의 해류가 발달하여 따뜻한 물이 동쪽으로 이동한다. 이런 상태가 1~2년 이어지다가 끝나갈 무렵에 동태평양에서는 기압이 상승하고 태평양에서 낮아지기 시작한다. 이와 같은 태평양 양쪽 사이에서 벌어지는 기압의 시소현상을 남방진동이라고 한다. 이런 기압의 변동과 해양의 온난현상인 엘니뇨 및 라니냐...
    시대 :
    현대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지리/자연지리
  • 남극순환류 Antarctic Circumpolar Current, 南極環流
    인해 에서 동으로의 이동 속도를 크게 높여주지만, 동에서 서로의 항해는 매우 어렵게 만든다. 세계에서 가장 빠른 항해 경로인 동쪽으로 향하는 클리퍼 항로는 남극 환류를 따라 아굴라스곶(아프리카), 사우스이스트곶(호주), 혼곶(남아메리카) 이 세 개의 곶 주위를 지나간다. 세계에서 가장 빠른 항해 경로인 동쪽...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서오스트레일리아 해류(West Australian Current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