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샹폴리옹 Jean-François Champollion
    이집트학의 연구체계를 확립했고, 이집트 상형문자를 해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16세 때 이미 라틴어와 그리스어뿐만 아니라 6개의 고대 동양 언어에 통달했으며. 상형문자 해독은 계속된 관심사였다. 그리스어 문헌을 상형문자 및 민중문자로 옮긴 글이 새겨진 '로제타 스톤'이 발견되어, 영국의 물리학자 토머...
    출생 :
    1790. 12. 23, 프랑스 피자크
    사망 :
    1832. 3. 4, 파리
    국적 :
    프랑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자
  • 장프랑수아 샹폴리옹 (관련어 샹폴리옹) Jean-François Champollio..
    인물 정보장 프랑수아 샹폴리옹은 프랑스의 이집트학 연구가로서 이집트 상형문자의 해독에 처음으로 성공하였다. 샹폴리옹은 프랑스의 옥시타니 로트주 피작(Figeac)지방에서 7명의 아이 중 막내로 태어났다. 그는 어려서 7년 동안 그르노블(Grenoble)에서 지냈으며 유년 시절부터 언어학에 대단한 재능을 보였었다. 16...
    도서 위키백과
  • 샹폴리옹 피자크 Jacques-Joseph Champollion-Figeac
    이집트 상형문자를 해독했던 뛰어난 이집트학 학자인 동생 장 프랑수아 샹폴리옹의 저술을 편집한 것으로 유명하다. 그 자신의 저서도 널리 알려져 있다. 1809년 프랑스 방언과 대중적 숙어에 대한 연구 결과를 출판했다. 나폴레옹의 백일천하(1815) 동안 나폴레옹을 지지했기 때문에 1816년 그르노블대학교의 그리스어...
    출생 :
    1778. 10. 5, 프랑스 피자크
    사망 :
    1867. 5. 9, 퐁텐블로
    국적 :
    프랑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자
  • 딥 스페이스 4호 Champollion (spacecraft), シャンポリオン (探査機)
    우주선 정보 딥 스페이스 4호는 혜성에 착륙해 혜성을 탐사하는 우주선이다. 다른 이름으로 샹폴리옹이 있는데, 장프랑수아 샹폴리옹의 이름을 가져왔다. 원래 NASA와 CNES가 이끄는 탐사선으로 표면을 탐사하려고 했으나, 로제타가 그때 거의 똑같은 내용의 임무가 정해지자 템펠 1 혜성의 표면의 흙을 샘플로 가져오는...
    도서 위키백과
  • Jean-François Champollion 장프랑수아 샹폴리옹, ジャン=フランソワ・シ..
    Jean-François Champollion (a.k.a. Champollion le jeune; 23 December 1790 – 4 March 1832) was a French scholar, philologist and orientalist, known primarily as the decipherer of the Egyptian hieroglyphs and a founding figure in the field of egyptology. A child prodigy in philology, he gave his...
  • 로제타석 Rosetta Stone
    3가지 필기방식으로 씌어진 이 비문은 이집트 상형문자를 해석하는 열쇠를 마련해주었다. 해독작업은 주로 영국의 토머스 영과 프랑스의 장 프랑수아 샹폴리옹이 했다. 로제타석의 상형문자 본문에는 6개의 똑같은 테두리(상형문자를 둘러싼 타원형)가 있는데, 토머스 영이 이 테두리를 프톨레마이오스의 이름으로 해독...
  • 상형문자 象形文字, hieroglyph
    확인하는 데 성공했다. 아케르블라드는 또한 몇몇 기호의 음가를 정확히 알아냈다. '로제타 스톤'을 완전히 해독한 사람은 또다른 프랑스인 장 프랑수아즈 샹폴리옹이었다. 그는 언어에 대한 타고난 재능을 이 비석에 쏟아부었다(그는 16세 때 이미 그리스어와 라틴어뿐만 아니라 6개의 고대 동양 언어에 능통하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 로제타 Rosetta
    많이 건설되었다. 로제타 바로 북쪽의 생쥘리앵 요새 근처에서 프랑스 나폴레옹 군대의 한 장교가 유명한 로제타석을 발견(1799), 프랑스 학자 장 프랑수아 샹폴리옹에게 고대 이집트의 상형문자를 해독(1822)할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했다. 과거에 영국 동인도 무역의 항구였던 로제타는 여전히 해안지역 상거래에 중요...
    위치 :
    이집트 북동부, 나일 강 삼각주 북서부
    인구 :
    64,481명 (2022년 추계)
    면적 :
    49.65㎢
    대륙 :
    아프리카
    국가 :
    이집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프리카
  • 레프시우스 Karl Richard Lepsius
    저작물들을 펴냈다. 1866년 이집트로 돌아가 로제타 석(石)에 있는 것과 비슷한 비문 '카노푸스 법령'을 발견했다. 이 비문은 이집트학 학자 장 프랑수아 샹폴리옹의 상형문자 해독을 확증해주었다. 베를린 박물관 관장으로 있으면서 세계에서 가장 훌륭한 이집트 유물을 소장하게 만들었으며, 1873년에는 베를린에 있는...
    출생 :
    1810. 12. 23, 작센 나움부르크안데르잘레
    사망 :
    1884. 7. 10, 베를린
    국적 :
    독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자
  • 사이스 사 엘 하가르, Sais
    가장 훌륭한 도시의 하나로 남아 있었다. 그 왕성의 옛터에 오늘날 남아 있는 인상적인 광대한 고분은 거의 탐사되지 않고 있는데, 실은 1818년 J. F. 샹폴리옹이 최초로 이곳에 대해 기술한 후 도굴꾼들이 몰려들어 많은 유물들을 약탈해갔다. 이 옛터와 인근 마을에서 발견되는 비석들이 한때 위대했던 도시에서 남은...
    위치 :
    이집트 북부 알가르비야 주, 나일 강 삼각주 서쪽
    대륙 :
    아프리카
    국가 :
    이집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프리카
  • 필론의 세계 7대 불가사의 世界七大不可思議, Seven Wonders of the World
    경이로운 인간의 흔적, 필론의 ‘세계 7대 불가사의’ 1822년 프랑스의 샹폴리옹이 상형문자를 해독해 이집트의 신비를 벗기기 시작하자 유럽에서는 고대 문명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었고 필론이 제시한 ‘세계 7대 불가사의’는 사람들의 호기심을 자극하기에 충분했다. 이러한 관심과 호기심은 본격적인 유적 발굴이...
  • 덕밍아웃
    없는 걸 만드는 것이 아니라 존재하는 걸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보고 재조합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무언가에 미친 듯 몰입하는 이들이 필요하다. 샹폴리옹(Jean-François Champollion)처럼 단지 언어를 배우는 게 좋아 수없이 언어를 익히던가, 데즈카 오사무처럼 디즈니 애니메이션이 좋아 130번을 보게 되면...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샹폴리옹 피자크(Jacques-Joseph Champollion-Figeac)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