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서산시 瑞山市평지는 대부분이 농경지로 이용되며, 주요 농산물로는 쌀 · 보리 이외에 생강 · 마늘 · 잎담배 등이 재배된다. 1984년 대호방조제가 완공되면서 전천후 관개...임해공업단지를 조성하는 공사가 계속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대산공업단지의 입지는 대산읍뿐만 아니라 서산시 주민의 고용창출 등 경제활성화에 크게 기여...
- 유형 :
- 지명/행정지명ˑ마을
- 분야 :
- 지리/인문지리
-
서천군의 산업과 교통시초면에서, 생강은 문산면·시초면에서 많이 생산된다. 서천군의 특산물인 한산모시는 삼국시대 한사군(지금의 한산면·기산면 지역)에서 자생하던 저마로 모시를 짠 것이 시초이며, 최근 다시 수요가 늘어나 이 지역의 가내수공업품으로 명성이 높다. 서천읍의 풍정직물에서는 고급 견직물을 생산하여 일본으로 수출...
-
남면 南面, Nam-myeon간척사업을 통해 많은 지역이 경지화되었다. 신장리에 몽산포해수욕장, 원청리에 청포대해수욕장이 있으며, 이 일대는 태안해안국립공원에 속한다. 생강·마늘의 생산이 많으며, 몽산리·신장리에는 화훼단지가, 원청리에는 취나물 재배단지가 조성되어 있다. 문화재로는 청계산 인근 죽사 절터에 몽산리 석가여래좌상...
- 인구 :
- 4,235 (2024)
- 면적 :
- 43.29㎢
- 행정구역 :
- 17개리 77개반
- 소재지 :
- 충청남도 태안군
- 사이트 :
- http://www.taean.go.kr/kor/sub05_01_05_01.do
-
장수면 長壽面, Jangsu-myeon있는 면. 서부의 집봉(543m) 일대를 제외하고 대체로 200m 이하의 저평한 산지를 이룬다. 옥계천과 그 지류들이 면내를 흐른다. 쌀을 비롯하여 하수오·생강 등이 많이 생산되며, 한우 사육 농가도 많다. 반구리에 농공단지가 조성되어 있으며, 성곡리 일대에서 채굴되는 화강암석재가 일본으로 수출된다. 유물로서 인동...
- 인구 :
- 2,278 (2019)
- 면적 :
- 42.06㎢
- 행정구역 :
- 20개리 67개반 (법정리 8개리)
- 소재지 :
- 경상북도 영주시
- 사이트 :
- http://www.yeongju.go.kr/open_content/village/jangsu/index.do
-
-
서산시의 산업과 교통계기가 되었다. 구릉지에서는 과수재배와 마늘·생강 등의 밭농사가 활발하다. 부석면·인지면의 생강·마늘, 고북면의 딸기, 부석면의 사과·배·복숭아 재배가...인해 사라져가고 있다. 대산읍의 간척지에는 대규모 석유화학공업단지가 조성되어, 극동정유·삼성종합화학·현대석유화학 등의 각종 연관업체가 유치...
-
-
봉동읍 鳳東邑, Bongdong-eup넓은 평야를 이룬다. 고산천이 동남부를 흐르며, 곳곳에 소규모의 관개용 저수지가 분포한다. 쌀과 오이·수박·시금치·포도 등이 많이 생산되며 봉동생강이 유명하다. 읍 중심부에는 완주 테크노밸리 일반산업단지가 입지해 있다. 호남고속도로가 읍의 서북부를 지나며, 익산인터체인지가 인접해 있다. 금산군 방면의...
- 인구 :
- 24,464 (2024)
- 면적 :
- 46.07㎢
- 행정구역 :
- 78개리 203개반
- 소재지 :
- 전라북도 완주군
- 사이트 :
- http://www.wanju.go.kr/eup/index.wanju?menuCd=DOM_000001002001001000
-
태안읍 泰安邑, Taean-eup조성된 평야가 펼쳐져 있다. 북쪽은 가로림만에 면해 있고, 과거 천수만과 접해 있던 동남쪽은 방조제의 건설로 담수호로 변모했다. 주요 농산물은 쌀·마늘·생강 등이며, 가로림만 연안에서는 약간의 굴·바지락 양식이 행해진다. 상옥리에는 화훼재배단지가, 평천리에는 화훼직판장이 있다. 유물·유적으로 동문리...
- 인구 :
- 29,095 (2017)
- 면적 :
- 70.49㎢
- 행정구역 :
- 43개리 206개반
- 소재지 :
- 충청남도 태안군
- 사이트 :
- http://www.taean.go.kr/kor/sub05_01_02_01.do
-
남원시의 산업과 교통버섯과 생강 등이 유명하다. 관왕묘 근처에서 나는 미나리는 재배지가 공설시장으로 바뀌어 그 생산량이 줄어들었다. 특산물로는 조산동의 조산부채가 유명했으나, 지금은 농한기의 부업거리로 그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그외 운봉읍의 운봉쇠로 만든 꽹과리가 전국에서 가장 질이 좋기로 유명하며, 운봉읍과 산내면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