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경성상업회의소 京城商業會議所개설 서울 시전 상인들과 일본인들이 인원과 자본의 빈약함을 극복하기 위해 각각 상업회의소를 설립하여 운영하였다. 일제는 조선 지배 제도를 정비하는 과정에서 상업회의소령을 공포하여 일본인과 한국인의 상업회의소를 통합하고 의법단체로 전환하였다. 일제는 이를 통해 지방경제의 동향을 파악하고, 감독하고...
- 시대 :
- 근대
- 성격 :
- 경제인 단체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1915년 11월 4일 설립
- 폐지일 :
- 1944년 8월 20일(조선상공경제회령 시행)
- 분야 :
- 역사/근대사
-
한성상업회의소 漢城商業會議所간행된 최초의 상업전문지(商業專門誌)로 한말의 실업계를 계몽한 공적이 매우 컸다. 그러나 일제에 의해 한국이 강점되면서 이러한 활동은 위축되었고, 조선총독부가 1915년 7월에 「조선상업회의소령(朝鮮商業會議所令)」을 공포하고 조선인상업회의소와 일본인상업회의소를 통합함으로써 이 단체는 해산되었다. 참고문헌
- 시대 :
- 근대/개항기
- 설립 :
- 1905년 7월
- 성격 :
- 상인단체
- 유형 :
- 단체
- 해체 :
- 1915년 7월
- 분야 :
- 역사/근대사
-
상해고려상업회의소 上海高麗商業會議所추진하기 위하여 이 단체를 1929년 4월 20일 조직하였다. 처음에는 회원이 10여명이었으나 2, 3년 동안에 50여 명으로 늘어났다. 이들은 상해시내를 중심으로 상업활동을 펴기로 상호결속을 다짐하고 경쟁력을 키워갔다. 그들은 매년 이익금의 10%를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재정으로 지원하기로 하고 이를 즉각 실천에...
- 시대 :
- 근대
- 설립 :
- 1929년 4월 20일
- 성격 :
- 경제단체
- 유형 :
- 단체
- 해체 :
- 1932년
- 설립자 :
- 조상섭(趙尙燮), 옥관빈(玉觀彬), 전용덕(田龍德)
- 분야 :
- 역사/근대사
-
국제상업회의소 아시아 극동위원회 22차총회 기념 지구와 국제상업..국제상업회의소 아시아 극동위원회(CAFEA-ICC) 22차 총회가 1974년 5월 6일부터 5월 8일까지 서울에서 개최된다. 국제상업회의소는 1919년에 창설되어 전세계실업인들의 열망에 따라 민간 기업의 활동에 의하여 국제 간 경제협력과 발전을 추진하며 실업인 스스로가 세계무역과 투자 등의 문제를 검토하고, 이에 대한...
- 발행일 :
- 1974.5.6
- 발행량 :
- 2000000
- 종수 :
- 1
- 액면가격 :
- 10원
- 디자인 :
- 지구와 국제상업회의소 아시아 극동위원회 마크
- 우표번호 :
- 893
- 인면 :
- 23×33
- 천공 :
- 13
- 전지구성 :
- 10×5
- 용지 :
- 백지
- 인쇄 및 색수 :
- 그라비어 4도색
- 디자이너 :
- 박강정
- 인쇄처 :
- 한국조폐공사
-
부산조선인상업회의소 釜山朝鮮人商業會議所인해 양국 상인 간의 경제적 이익이 충돌하자, 이에 대항하여 한국인 상인들의 조직화와 업권 보호 및 정부의 영업세 징수를 대행하기 위하여 부산조선인상업회의소를 결성하였다. [변천] 1889년(고종 26)에 한국인 상공업자들이 모여 객주 조합인 ‘부산객주상법회사’를 설립하였으며, 1895년(고종 32)까지 이어졌다...
- 분야 :
- 정치·경제·사회
- 지역 :
- 부산광역시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부산상업회의소 釜山商業會議所[설립 목적] 부산상업회의소는 한국과 일본 양국 무역에 관한 일체의 이해득실을 상의하고, 무역과 관련한 내용에 대한 관청의 하문(下問)에 답하며 의견을 관청에 건의함과 동시에 물품 진열소를 관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변천] 부산항 개항 이후인 1879년(고종 16) 8월에 부산상법회의소로 설립되었으며, 1881년...
- 분야 :
- 정치·경제·사회
- 지역 :
- 부산광역시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