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상승기류와 하강기류 updraft an..기상학적 관점에서 상승운동과 하강운동을 하는 공기의 흐름을 일컫는 용어. 이 현상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발생한다. 낮 동안 지면의 국부적 가열로 인해 지면 공기의 온도는 그 상층 공기의 온도보다 훨씬 높아지고, 이에 의해 가벼워진 공기는 상승운동을 하게 된다. 상승온난기류라 불리는 이 기류의 고도는 3...
-
저기압 低氣壓, cyclone지구 자전에 의한 전향력의 영향으로 북반구 지상에서는 반시계 방향으로 돌며 불어들어 온다. 주위에서 불어들어 오는 공기는 위로 올라가므로 상승 기류가 생기며 상승 기류에 의해 단열 팽창 과정이 진행되어 기온 하강으로 인해 구름이 발생하거나 비가 내린다. 저기압은 크게 온대 저기압과 열대 저기압으로 구분...
-
-
마른 하늘에 난기류? 범인은 ‘지구온난화’때문에 난기류가 나타날 수 있다. 세 번째 발생 요인은 ‘산악파’다. 강한 바람이 산맥을 넘을 때 공기 흐름이 파동을 만들어 낸다. 그로 인해 상승 기류와 하강 기류가 교차하며, 종종 강한 난기류가 만들어진다. 한국처럼 산이 많은 지역에선 산악파에 의해 난기류가 발생하기 쉽다. 사진 2. 난기류는 제트기류...도서 과학향기
-
-
항공기의 설계 및 작동 원리항공역학 평판에 정면으로 불어오는 기류는 그 판의 속도에 비례하는 동압력(動壓力)을 미친다. 이 현상은 달리고 있는 자동차의 창 밖으로 손을 내밀고 있으면...손을 기울이면 손을 기울린 각도와 자동차 속도에 비례하는 상승 또는 하강하는 힘을 느낄 수 있다. 평판(또는 손)은 공기역학면에서 비효율적인 형상...
-
고기압 高氣壓발달하는 하강기류 구역에서 형성되므로 수평 규모가 크고 수직 높이도 크다. 고기압 중심을 덮고 있는 공기가 주위보다 온난하여 온난고기압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치는 북태평양 고기압(北太平洋 高氣壓)이 구조적 원인에 의해 발달한 고기압이다. 이런 고기압은 지표면에서부터 대류권계면(對流...
- 시대 :
- 현대/대한민국
- 유형 :
- 개념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대기 대순환 大氣大循環, atmospheric general circulation대기 대순환은 3개의 연직 순환계의 풍계로 이루어진다. 기온이 높은 적도에서 상승 기류가 발달하여 극지방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적도지방은 저압대가 형성되고...북으로 이동하여 위도 30° 부근에 도달했을 때는 하강 기류가 형성되어 고압대를 형성한다. 하강한 공기는 각각 무역풍과 편서풍을 이루어 이동하고 위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