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일반상대성이론 상대성이론으로 뒤바뀐 세상물체는 멈춰 있는 물체보다 시간이 더 느리게 간다. 2. 움직이는 물체는 멈춰 있는 물체보다 길이가 줄어든다. 3. 움직이는 물체는 멈춰 있는 물체보다 질량이 늘어난다. 4. 중력은 시공간을 일그러지게 한다. 5. 중력이 강할수록 시간은 느리게 간다. 이 다섯 가지 사실은 아인슈타인 이전까지의 생각과는 다른 것...
-
상대성이론 相對性理論, theory of relativity대상 모두에게 상대적이며, 속도가 빨라질수록 그 차이는 더욱 커진다. E=mc2라는 공식은 한번쯤 들어 보았을 것이다. 여기서 E는 에너지, m은 물체의 질량, c는 빛의 속도를 말한다. 빛의 속도는 약 30만 킬로미터로 항상 일정한 값을 가지므로 좌변과 우변의 등식 관계에 의해 에너지가 바로 질량이라는 사실을 보여...
-
상대론적 역학 연구확인되었으며, 로렌츠-피츠제럴드 수축, 시간지연, 동시성의 상대성과 같은 상대론적 현상들을 야기시킨다. 결과적으로 3차원 공간에서의 거리간격은 시간간격과...광속보다 작은 극한에서는 같은 값을 가진다. 상대성이론에 의하면 질량(m)과 에너지(E)는 교환 가능한 동등한 양들로 그 관계식은 E=mc2이다(c는 광속...
-
상대성 이론은 상대적인 이론이 아니다우리말로는 ‘연관성 이론’이라 번역하는 것이 더 타당하지 않느냐고 주장하는 물리학자도 있다. 그리고 상대성 이론의 유명한 공식, 즉 E=mc2 이라는 질량-에너지 등가 원리도 관측계와 무관하게 물리법칙이 동일함(Invariant)을 증명하는 과정에서 나온 일종의 ‘부산물’이며, 그 자체가 상대성 이론의 본 목적...
-
세상은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는가?, 힉스 입자 Higgs boson시카고 대학교의 남부 요이치로는 자발적으로 깨지는 대칭성이라는 아이디어를 입자물리학에 처음 도입했다. 이듬해 제프리 골드스톤은 남부의 모델처럼 상대론적인 이론에서 대칭성이 자발적으로 깨질 경우에는 반드시 질량이 없고 스핀이 0인 입자가 하나 나타나야 함을 증명했다. 이를 ‘골드스톤의 정리’라고 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