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상대론적 질량 相對論的質量, relativistic mass
    특수상대성이론에서 운동하고 있는 물체가 가지는 질량.|특수상대성이론 이전의 물리이론에 따르면, 질량이 m이고 속도가 υ인 물체가 갖는 운동량 p와 에너지 E는 각각 p=mυ와 E=E0+½mv2으로 표시된다. 정지질량 E0는 정해지지 않은 값이다. 반면에, 상대성이론에서 p와 E를 구하는 식은 각각 이다. 여기서 c는 빛...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물리
  • 질량 (관련어 상대론적 질량) Mass, 質量
    고전역학 질량(質量, lang)은 물리학에서 물질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양을 일컫는 말이다. 질량의 SI 단위는 킬로그램(kg)이다. 질량의 개념은 고대 그리스의 여러 철학자들의 물질이나 물질관에 대한 토론으로부터 비롯되었다. 질량은 일반적으로 다음 세 가지 방법으로 정의된다. 관성질량 능동적 중력질량 수동적 중...
    도서 위키백과
  • 일반상대성이론 상대성이론으로 뒤바뀐 세상
    물체는 멈춰 있는 물체보다 시간이 더 느리게 간다. 2. 움직이는 물체는 멈춰 있는 물체보다 길이가 줄어든다. 3. 움직이는 물체는 멈춰 있는 물체보다 질량이 늘어난다. 4. 중력은 시공간을 일그러지게 한다. 5. 중력이 강할수록 시간은 느리게 간다. 이 다섯 가지 사실은 아인슈타인 이전까지의 생각과는 다른 것...
  • 특수상대론의 역사 History of special relativity, 狭..
    속력에 따라 변할 뿐만 아니라, 운동의 방향에 따라서도 변함을 밝혔고, 에이브러햄이 훗날 "횡질량", "종질량"이라 부르는 개념을 도입하였다.(횡질량은 훗날 상대론적 질량이라 불리게 된 개념과 같다.) 빌헬름 빈(1900)은 자연에 존재하는 모든 힘이 전자기력으로 환원된다는 "전자기학적 세계관"의 맥락에서, 모든...
    도서 위키백과
  • 상대성이론 相對性理論, theory of relativity
    대상 모두에게 상대적이며, 속도가 빨라질수록 그 차이는 더욱 커진다. E=mc2라는 공식은 한번쯤 들어 보았을 것이다. 여기서 E는 에너지, m은 물체의 질량, c는 빛의 속도를 말한다. 빛의 속도는 약 30만 킬로미터로 항상 일정한 값을 가지므로 좌변과 우변의 등식 관계에 의해 에너지가 바로 질량이라는 사실을 보여...
  • 상대론적 역학 연구
    확인되었으며, 로렌츠-피츠제럴드 수축, 시간지연, 동시성의 상대성과 같은 상대론적 현상들을 야기시킨다. 결과적으로 3차원 공간에서의 거리간격은 시간간격과...광속보다 작은 극한에서는 같은 값을 가진다. 상대성이론에 의하면 질량(m)과 에너지(E)는 교환 가능한 동등한 양들로 그 관계식은 E=mc2이다(c는 광속...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물리
  • 상대성 이론은 상대적인 이론이 아니다
    우리말로는 ‘연관성 이론’이라 번역하는 것이 더 타당하지 않느냐고 주장하는 물리학자도 있다. 그리고 상대성 이론의 유명한 공식, 즉 E=mc2 이라는 질량-에너지 등가 원리도 관측계와 무관하게 물리법칙이 동일함(Invariant)을 증명하는 과정에서 나온 일종의 ‘부산물’이며, 그 자체가 상대성 이론의 본 목적...
    도서 과학향기 | 태그 물리 , 과학 일반
  • 상대론적 양자역학 Relativistic quantum mechanics, ..
    보통의 양자역학에서 이 항들은 손으로 직접 추가해서 섭동 이론으로 다뤄야한다. 이때 양의 에너지들은 미세구조를 정확하게 계산한다. 상대론적 양자역학 내에서 질량이 없는 입자의 경우 디랙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축소된다. \left(\frac{\hat{E}}{c} + \boldsymbol{\sigma}\cdot \hat{\mathbf{p}} \right) \psi...
    도서 위키백과
  • 질량-에너지 등가 Mass–energy equivalence, 質量とエネルギ..
    특수상대론 질량–에너지 등가(質量–Energy等價, 1905년 아인슈타인이 발표하였다. 특수상대성이론에서 다음과 같은 같은 질량-에너지 등가 관계식으로 나타난다. E = mc^2 \; 여기서 E = 에너지 m = 질량 c = 진공 속의 빛의 속력 를 나타낸다. 즉, 에너지 = 질량 × 광속의 제곱 이 공식에서 질량은 특수 상대성 이론...
    도서 위키백과
  • 일반상대론 개론 Introduction to general relativit..
    반면 아인슈타인의 상대론 및 그에서 파생된 중력이론들은 질량에 의해 발생하는 것은 시공간상의 모든 점의 곡률들이라고 설명한다. 여기서도 질량이 중력 발생에 일조하는 핵심 요소임은 여전하다. 그러나 상대성 중력이론에서는 질량은 중력을 발생시키는 유일한 원인이 될 수 없다. 상대론질량과 에너지를 연결...
    도서 위키백과
  • 불변 질량 Invariant mass, 不変質量
    사차원 운동량 p^\mu=(E/c,\mathbf p)를 가진 물체의 불변 질량 m_0은 다음과 같다. m_0=\sqrt{p^\mu p_\mu}/c=\sqrt{E^2/c^4-\mathbf p^2/c^2}. 상대론적 질량 m=E/c^2 과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m_0=m/\gamma=m\sqrt{1-\mathbf v^2/c^2}. 여기서 \gamma=1/\sqrt{1-\mathbf v^2/c^2}는 로런츠 인자이고, \mathbf v는...
    도서 위키백과
  • 세상은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는가?, 힉스 입자 Higgs boson
    시카고 대학교의 남부 요이치로는 자발적으로 깨지는 대칭성이라는 아이디어를 입자물리학에 처음 도입했다. 이듬해 제프리 골드스톤은 남부의 모델처럼 상대론적인 이론에서 대칭성이 자발적으로 깨질 경우에는 반드시 질량이 없고 스핀이 0인 입자가 하나 나타나야 함을 증명했다. 이를 ‘골드스톤의 정리’라고 하며...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