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삼취정계 三聚淨戒북방불교에서 보살의 계법을 모두 가리키는 불교용어. 내용 섭률의계(攝律儀戒) · 섭선법계(攝善法戒) · 섭중생계(攝衆生戒)로 나뉜다. 섭률의계는 5계 ·10계 ·250계 등 일정하게 제정된 여러 규율위의(規律威儀) 등을 통한 윤리기준이고, 섭선법계는 선한 것이라면 무엇이든지 총섭하는 선량한 마음을 기준으로 ...
- 유형 :
- 개념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
십선 십선업(十善業), 十善관한 계를 세분한 점과 마음을 계의 직접적인 대상으로 삼은 점을 들 수 있다. 대승 유식학파 문헌인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 「보살지(菩薩地)」는 삼취정계(三聚淨戒)라는 틀 속에서 계의 의미를 규정하고 있다. 즉 섭률의계(攝律儀戒)는 붓다가 정한 계율을 지켜 악을 막는 것이며, 섭선법계(攝善法戒)는 자진...
- 유형 :
- 개념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약사여래의 동방정토身如琉璃願), 모든 중생들의 필요한 물품이 다 구족될 것이라는 수용무진원(受用無盡願), 중생들이 모두 대승으로 돌아오리라는 대승안립원(大乘安立願), 삼취정계(三聚淨戒)를 구족하여 악도에 떨어지지 않으리라는 삼취구족원(三聚具足願), 불구자들의 몸이 다시 구족하게 되리라는 제근구족원(諸根具足願), 중생들이...
-
범망경보살계본사기 梵網經菩薩戒本私記감로문’을 해석하면서, “소전(所詮)의 삼취계법을 감로로 삼는다.”라고 하고, “삼취계를 문으로 삼는다.”라고 한 것, 본문의 ‘계’를 삼취정계라고 해석하고, 삼취정계를 모두 갖추어야 무상보리를 얻을 수 있다고 한 것, 10중계 중 불살계(不殺戒)를 풀이하면서 10중계는 모두 섭율 의계에 속한다고 한 것 등에서...
- 시대 :
- 고대
- 유형 :
- 문헌/고서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범망경보살계본술기 범망경술기(梵網經述記), 梵網經菩薩戒本述記두 번 묶어 48가지의 경계를 모두 다섯 단락으로 나누어 설하였다. 승장은 이 다섯 단락의 분과를 수용하면서, 각 단락에 해당하는 계를 『유가사지론』의 삼취정계(三聚淨戒) 중 섭선법계(攝善法戒)와 요익유정계(饒益有情戒)에 배속(配屬)하고, 다시 섭선법계는 육바라밀과의 관련성 속에서 세분화하여 배속하고, 요익...
- 시대 :
- 고대
- 유형 :
- 문헌/고서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보살계 菩薩戒나라에서 많이 행하여졌던 것은 『보살지지경』에서 설한 유가계(瑜伽戒)와 『범망경』의 범망계(梵網戒)이다. 유가계에서는 섭률의계(攝律儀戒)라고 하는 삼취정계(三聚淨戒)·섭선법계(攝善法戒)·섭중생계(攝衆生戒)를 보살계로 삼고 있다. 이 중 섭률의계는 승려와 신도들이 지키는 비구계·비구니계·정학녀계(正學...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원력 본원력(本願力), 願力盡物願)이다. 또 ④ 외도(外道)를 믿는 사람은 불법(佛法) 속으로, 소승은 대승으로 이끌어들이겠다는 안립대승원(安立大乘願), ⑤ 청정한 수행을 하는 이가 삼취정계(三聚淨戒)를 갖추도록 하겠다는 구계청정원(具戒淸淨願), ⑥ 불구자의 육체를 온전하게 만들겠다는 제근구족원(諸根具足願), ⑦ 온갖 병을 없애고...
- 유형 :
- 개념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범망경보살계본종요 보살계본종요, 梵網經菩薩戒本宗要데 큰 몫을 담당하였다. 평가와 의의 『보살계본종요』는 범망계와 더불어 대승 보살계의 또 한 축인 유가계(瑜伽戒)를 곳곳에서 인용하였고 유가계의 특성인 삼취정계(三聚淨戒)를 전적으로 수용하였으며 다양한 측면에서 보살계와 성문계의 차이를 밝혔다. 이렇게 범망계와 유가계를 융화하는 태도는 그 이전의 신라...
- 시대 :
- 고대
- 유형 :
- 문헌/고서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