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능엄경(楞嚴經), 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첫째 견도분(見道分)에서는 7문답[七徵]으로 상주하는 진심[常住真心]의 본성상 청정하고 밝은 체[性淨明體]임를 나타낸다. 다음은 8환(八還)이다. 8가지 비유를 들어 진리에 돌아오는 것[還]을 설하는 것이다. 이로써 묘한 청정함으로 보는 정기[妙淨見精]를 변설하여 여래장을 나타낸다. 후에 산하의 만가지 형상에...
- 시대 :
- 고려 후기
- 유형 :
- 문헌/고서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마음작용 (현양성교론)하고, 나아가 무명(無明)을 증장시키는 것이다.sfnsfn 《현양성교론》에 따르면, 무명(無明)에 대한 불교 경전의 언급으로는 다음이 있다.sfnsfn 견(見, 그릇된 견해, 살가야견(薩迦耶見, 유신견,self view, identity view)의 본질적 성질[體]은 5취온을 나[我] 또는 내 것[我所]이라고 생각하는 염오혜가 있다. 즉...도서 위키백과
-
마음작용 (대승오온론·광오온론)않는 것[不惱]'이다.sfnsfn 번뇌심소에 속한 마음작용들은 구생기 번뇌와 분별기 번뇌로 구분할 수 있다. 견.cw무명(無明)과 5견(五見) 중 살가야견(薩迦耶見).cw변집견(邊執見)에는 구생기 번뇌도 있고 분별기 번뇌도 있다.sfnsfn 이를 목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탐(貪, 3계의 애(愛), 미착, 탐착,attachment...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