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유신견 (관련어 살가야견) 薩迦耶見
    self view, identity view) 또는 가야(薩迦耶見)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다.sfn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교학에서 탐(貪).cw진(瞋).cw치(癡).cw만(慢).cw(見).cw의(疑)의 6가지 근본번뇌(根本煩惱) 즉 6수면(六隨眠) 가운데 에 속한다.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의 교학에서 탐(貪)...
    도서 위키백과
  • 이십가야견
    불교 20살가야견(二十薩迦耶見) 또는 20종살가야견(二十種薩迦耶見)은 가야 즉 유신견(有身見)을 5온 또는 5취온에 근거하여 세분하였을 때의 5가지 아견(我見)과 15가지 아소견(我所見)을 통칭하는 낱말이다. 전통적인 용어로는 20구살가야(二十句薩迦耶見)이라 한다.sfnsfnsfn 5가지 아견(我見)을 전통적인 용어...
    도서 위키백과
  • 오주지번뇌
    유신견 말나식이 아뢰야식의 인식작용(행상, 즉 견분)을 자내아(自內我) 즉 실아(實我)로 오인하여 항상 아치(我癡) 말나식이 일으키는 아견(我見, 가야)으로 인해 유신견과 변집견은 견도에서 다 끊어지지 않고 수혹에 의해서만 끊어질 수 있는 부분이 존재하게 된다고 본다.sfnsfnsfnsfn 따라서, 설일체유부의...
    도서 위키백과
  • 칠수면
    약간의 대치(對治)를 득하여 문득 교(憍)와 만(慢)의 마음작용을 일으키는 것이 사범행구(邪梵行求)에 해당한다. 또한, 이것은 9결 가운데 견결, 즉 가야.cw변집.cw사견의 3견(三見)에 해당한다. 또한, 4성제에 대해 어리석은 상태여서 외도(外道)나 사도(邪道)의 해탈이나 해탈의 방편을 허망하게 계탁하여...
    도서 위키백과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만행수능엄경 능엄경(楞嚴經), 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
    첫째 도분(見道分)에서는 7문답[七徵]으로 상주하는 진심[常住真心]의 본성상 청정하고 밝은 체[性淨明體]임를 나타낸다. 다음은 8환(八還)이다. 8가지 비유를 들어 진리에 돌아오는 것[還]을 설하는 것이다. 이로써 묘한 청정함으로 보는 정기[妙淨見精]를 변설하여 여래장을 나타낸다. 후에 산하의 만가지 형상에...
    시대 :
    고려 후기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번뇌심소
    많은 경우 고통[苦]을 받게 되는 원인이 된다.sfnsfn 악견.cw변집(邊執見).cw사견(邪見).cw견취(見取).cw계금취(戒禁取)의 5견으로 세분된다.sfnsfn 가야(薩迦耶見, 유신견,self view, identity view)은 5취온에 대해서 나[我] 또는 내 것[我所]이라고 집착하는 것을 본질적 성질[性]로 하는 마음작용이다.sfnsfn...
    도서 위키백과
  • 견결
    見).cw변집(邊執見).cw사견(邪見)의 3견(三見)을 말한다.sfnsfn 《대승아비달마집론》 제4권과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6권에 따르면, 견결(見結)은 가야(薩迦耶見) 고통 심한 집착)의 상태가 된다. 사출리에 대해 망집착하기 때문에 불선을 널리 행하고 갖가지 선을 행하지 않게 된다. 불선은 행하고 선은...
    도서 위키백과
  • 마음작용 (현양성교론)
    하고, 나아가 무명(無明)을 증장시키는 것이다.sfnsfn 《현양성교론》에 따르면, 무명(無明)에 대한 불교 경전의 언급으로는 다음이 있다.sfnsfn (見, 그릇된 견해, 가야(薩迦耶見, 유신견,self view, identity view)의 본질적 성질[體]은 5취온을 나[我] 또는 내 것[我所]이라고 생각하는 염오혜가 있다. 즉...
    도서 위키백과
  • 마음작용 (대승오온론·광오온론)
    않는 것[不惱]'이다.sfnsfn 번뇌심소에 속한 마음작용들은 구생기 번뇌와 분별기 번뇌로 구분할 수 있다. .cw무명(無明)과 5견(五見) 중 가야(薩迦耶見).cw변집(邊執見)에는 구생기 번뇌도 있고 분별기 번뇌도 있다.sfnsfn 이를 목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탐(貪, 3계의 애(愛), 미착, 탐착,attachment...
    도서 위키백과
  • 부정견 悪見, 惡見
    작용[業]을 밝힘으로써 부정견(不正見) 또는 악견(惡見)을 정의한 후, 부정견(不正見) 또는 악견(惡見)이 행상(行相)의 차이로 인해 5가지의 염오견 즉, 가야(薩迦耶見, 有身見).cw변집(邊執見).cw사견(邪見).cw견취(見取).cw계금취(戒禁取)의 5견(五見)으로 분류된다고 말하고 있다.sfnsfnsfn 여기서 행상(行相...
    도서 위키백과
  • 마음작용 Mental factors (Buddhism), 心所
    에 대해 택법(擇法)을 행함 선심소 참 괴 무탐선근 무진선근 무치선근 정진 경안 불방일 사 불해 진 만 만 과만 만과만 아만 증상만 비만 사만 무명 가야 변집견 사견 견취 계금취 의 한 부 뇌 질 간 광 첨 교 해 무참 무괴 혼침 도거 불신 해태 방일 망념 산란 부정지 수면 심 사 불선근 서적 인용서적 인용서적...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