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세리프체 sans serif
    세리프를 없앤 로마 활자체의 하나.|인쇄에서 세리프, 즉 's'의 구부러진 부분의 오른쪽 위와 왼쪽 아래 끝에 있는 수직선이나 'l·m·n'의 밑받침선 등의 장식적인 요소를 없애고 단순화했다. 최근의 도안가들은 이러한 활자개념을 바탕으로 활자 디자인을 해오고 있으나 꾸준히 읽히는 기능보다 주로 활자체 자체를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 세리프 (관련어 산세리프체) Sans-serif, サンセリフ
    세리프 글꼴 세리프 글꼴 세리프 글꼴(붉은부분이 세리프) 세리프(Sans-serif)는 획의 삐침이 없는 글씨체를 뜻하며, 한글의 돋움체(고딕체)에 해당된다. 세리프라는 말은 프랑스어 "획의 삐침 없이"라는 뜻이다. 출처 세리프는 영문으로 된 인쇄물에서 세리프는 본문보다는 제목에 자주 쓰이는 서체이다. 그...
    도서 위키백과
  • 세리프 serif
    균형이 잡히지 않은 글자 모습을 보다 정확하게 정렬시키기 위해 석판에 있는 글씨의 획 상하 말단부에 가는 실선 부분을 표시한 데서 유래한다고 한다. 세리프는 이처럼 획선의 처음과 끝을 명확히 하고 시각적으로 선을 나란히 유도하는 구실을 하여 가독성을 향상시켜준다. 세리프의 유무 및 그 형태가 서체 분류의...
    도서 광고사전 | 태그 광고
  • 세리프 Serif, セリフ (文字)
    글자와 기호를 이루는 획의 일부 끝이 돌출된 형태를 가리킨다. 세리프가 있는 글꼴은 세리프체(serif typeface, serifed typeface)라 하며, 세리프가 없는 글꼴은 세리프체(sans-serif, 여기서 sans는 프랑스어로 "없음"을 뜻한다.)로 부른다. 세리프체는 서적과 신문과 같은 전통적인 인쇄물에 널리 쓰인다. 수많은...
    도서 위키백과
  • Sans-serif 산세리프, サンセリフ
    Sans-serif font Serif font Serif font(serifs in red) In typography, a sans-serif, sans serif, gothic, san serif or simply sans typeface is one that does not have the small projecting features called "serifs" at the end of strokes. The term comes from the French word sans, meaning "without" and...
  • 헬베티카 Helvetica
    없는 세리프체를 대표하는 서체 중 하나다. 중립적인 성격과 견고한 구조로 타임스 뉴 로만체와 더불어 오늘날 영미권에서 가장 대중적인 서체가 됐다. 다른 세리프 서체보다 짜임새가 더 촘촘해서 가독성이 우수하고 현대적인 인상을 주는 것이 주요 특징이다. 삼성, 엘지, 도요타 등 많은 기업의 로고타이프 서체...
    도서 광고사전 | 태그 광고
  • 고딕체 gothic type
    일정하고 세리프가 없는 서체. 원래는 12세기께 고딕 시대에 만들어져 유행하던 글자체를 가리키는 이름이었는데 20세기 초 미국에서 세리프가 없고 획의 굵기가 같은 세리프체가 나온 이후 이것을 고딕체라고도 불렀고 이 의미가 혼동되어 일본으로 전해진 것이 유래다. 한글 고딕체는 가독성이 명조체보다 못하지만...
    도서 광고사전 | 태그 광고
  • 헬베티카 Helvetica
    헬베티카(Helvetica)는 대표적인 로마자 활자인 세리프(Sans serif) 서체의 하나로, 1957년 스위스의 막스 미딩거(Max Miedinger, 1910~1980)가 디자인했다. 세리프는 획에 삐침이 없이 굵기가 시각적으로 동일한 글씨체를 말한다. 한글에서의 고딕과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프랑스어로 ‘(Sans)’은 ‘없는’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디자인
  • 서체 글씨체, 書體
    고딕을 돋움이라 칭하기도 한다. 대부분의 한글 서체 디자인은 명조와 고딕을 바탕으로 그것을 나름의 관점으로 변형하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라틴 알파벳의 경우 일반적으로 세리프의 유무에 따라, 세리프세리프(세리프가 없는 서체)로 나눌 수 있고 텍스트(본문체), 디스플레이(헤드라인체)로 분류하기도 한다...
    도서 광고사전 | 태그 광고
  • 타이포그래피 typography
    있는 형태) 서체는 신문과 잡지의 지배적인 서체로서 안정감과 가독성을 가져다주기 때문에 광고에서도 글줄이 긴 본문 카피는 세리프 서체를 사용하는 사례가 많다. 세리프(세리프가 없는 서체)는 기하학적인 구조 특성을 가져 현대적인 인상을 준다. 타이포그래피는 활자에 의한 서체이며 일반적으로 디자인된 서체...
    도서 광고사전 | 태그 광고
  • 고딕체 East Asian Gothic typeface, ゴシック体
    주로 글자를 이루는 획의 끝에 있는 돌기인 부리(세리프)가 없는 글꼴을 고딕체로 분류한다. '고딕체(Gothic script)'라는 명칭은 20세기 초반 영미권에서 세리프 글꼴을 이르던 명칭 중 하나로, 한국에는 일본을 통해 유입되었다. 영어에서 'Gothic script'는 흑자체, 프락투어, 고트 문자 등을 이르는 명칭으로도...
    도서 위키백과
  • 카피 포맷 copy format
    경우 1959년 첫 광고가 게재된 이후 20여 년에 걸쳐 광고를 관통하는 일관된 카피 포맷을 발견할 수 있는데, 간결한 헤드라인, 보디카피의 짧은 문장, 의표를 찌르는 첫 문장, 사실에 근거한 전개, 마지막 문장의 위트 등이다. 장식 없는 세리프체 서체, 3단 분할, 행의 여백 등도 카피 포맷을 지원하는 형태적 특징...
    도서 광고사전 | 태그 광고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