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사천왕 四天王불법을 수호하는 네 명의 외호신을 가리키는 불교용어. 내용 우리 나라의 사찰에서는 경내로 들어서는 입구의 천왕문(天王門)에 이 사천왕상을 봉안하고 있다. 보통 이 천왕상들은 불거져 나온 부릅뜬 눈, 잔뜩 치켜올린 검은 눈썹, 크게 벌어진 빨간 입 등 두려움을 주는 얼굴에 손에는 큼직한 칼 등을 들고, 발로는 ...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사천왕과 팔부중불교의 세계관에서 사람들이 사는 곳은 수미산의 기슭에 있는 네 대륙 중 남쪽의 염부제(閻浮提)이고 그 위 수미산 중턱에 사천왕이 머무르는 사천왕천(四天王天)이 있다. 사천왕은 바로 위 하늘로 수미산 정상에 있는 도리천(忉利天, 33天)의 주재자인 제석천을 도와 불법을 수호한다. 『금광명경』과 같은 데서는 경전...
-
경주 불국사 영산회상도 및 사천왕 벽화 慶州佛國寺靈山會上圖─四天王壁畵개설 보물 제1797호. 영산회상도는 비단 바탕에 채색하였으며 크기는 세로 498㎝, 가로 447㎝이며 사천왕 벽화는 토벽에 채색하였고 크기는 향좌측은 세로 419㎝, 가로 188㎝, 향우측은 세로 419㎝, 174.5㎝이다. 1769년 6월에 영조의 딸인 화완옹주(和緩翁主, 1737~1808)의 보체(保體)와 상궁 김씨, 시녀(侍女) 정씨...
- 시대 :
- 조선후기
- 문화재 지정 :
- 보물 제1797호
- 성격 :
- 불화
- 유형 :
- 유물
- 크기 :
- 영산회상도 : 세로 498㎝, 가로 447㎝사천왕 벽화 : 향좌측 세로 419㎝, 가로 188㎝, 향우측 세로 419㎝, 174.5㎝
- 재질 :
- 영산회상도 : 비단 바탕에 채색, 사천왕도- 토벽에 채색
- 제작시기 :
- 1769년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소장/전승 :
- 경상북도 경주시 진현동 15번지, 불국사
-
경주 사천왕사지 慶州 四天王寺址개설 1963년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삼국유사』문호왕 법민조(文虎王 法敏條)에 기록된 건립 설화를 보면, 삼국통일 직후인 679년(문무왕 19)에 창건되었으며, 경주 망덕사(望德寺)보다 5년 앞서 건립되었다고 한다. 675년(문무왕 15) 당나라의 50만 대군이 신라를 침공하자, 이를 막기 위하여 이곳에 채백(彩帛)으로...
- 시대 :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 유형 :
- 유적
- 분야 :
- 예술·체육/건축
-
보은 법주사 사천왕 석등 報恩 法住寺 四天王 石燈내용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3.9m. 대웅보전 앞마당에 있다. 단면이 8각인 받침돌과 화사석, 지붕돌 등으로 구성되어, 통일신라시대에 건립된 석등의 전형적인 모습을 잘 보여준다. 화사석(火舍石)에 균열이 조금 나 있지만, 보존 상태는 좋은 편이다. 석등은 4장의 돌로 조립된 바닥돌 위에 서 있다. 아래...
- 시대 :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 유형 :
- 유적
- 분야 :
- 예술·체육/건축
-
사천왕도 四天王圖, Four directional gauardians pai..개설 사천왕은 인도․중국‧한국에서 불법(佛法)을 지키는 호법선신으로 크게 신앙되어 고대의 불탑(佛塔)이나 건물 등에 부조되거나 상으로 조성되었다. 신라시대부터 불탑이나 승탑의 호법선신으로 부조되던 사천왕상은 고려시대의 불화와 경변상도에서 설법회의 외호신장(外護神將) 혹은 설법을 듣는 청법중(請法衆...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범어사 사천왕도 梵魚寺 四天王圖개설 1869년(고종 6)에 화승 원선(元善), 민권(敏瓘), 행전(幸佺), 태희(太禧), 성엽(性曄), 원규(元奎), 윤종(允宗) 등이 그린 4폭의 사천왕도이다. 세로 300㎝가 넘는 대형의 비단 각 폭에 천왕상을 1구씩 그렸다. 각 폭의 크기는 대략 세로 약 330㎝, 가로 약 245㎝ 정도이다. 원래 범어사 사천왕문 좌우에 봉안...
- 시대 :
- 조선 후기
- 유형 :
- 유물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
사천왕도량 四天王道場내용 사천왕도량은 동지국천(東持國天), 남증장천(南增長天), 서광목천(西廣目天), 북다문천(北多聞天)의 사천왕의 보호를 받아 적병을 물리친다는 진병도량(鎭兵道場)의 목적에서 신라시대와 고려시대에 자주 열렸다. 밀교(密敎)의 문두루비법(文豆婁祕法)을 처음으로 신라에 전한 명랑법사(明朗法師)는 당나라가 신라...
- 성격 :
- 불교의례, 불교의식, 기원법회
- 유형 :
- 의식행사
- 분야 :
- 종교·철학/불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