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사제 사성제(四聖諦), 四諦고·집·멸·도의 네 가지 진리를 의미하는 불교교리. 사성제·사진제. 개설 범어로는 catvāri āryasatyāni, 빨리어로는 cattāri ariyasaccāni이다. 성스러운 또는 성인이라는 의미의 ariya는 초기불교 및 부파불교의 성인인 예류(預流), 일래(一來), 불환(不還), 아라한(阿羅漢)의 경지에 이른 이를 말한다. 성...
- 유형 :
- 개념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사성제 (동의어 사제) 四聖諦십이인연과 연관하여 고·집·멸·도로 구성된 불교교리. 내용 사제(四諦)라고도 함. 고(苦)·집(集)·멸(滅)·도(道)의 네 가지 진리로 구성되어 있다. 석가모니의 성도(成道) 후 자기 자신의 자내증(自內證)을 고찰하여 설한 것이 십이인연(十二因緣)이라면, 사제설은 이 인연설을 알기 쉽게 타인에게 알리기 위해 ...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신부 (동의어 사제) 神父신부는 가톨릭 교회 및 정교회의 사제서품(司祭敍品)을 받은 성직자이다. 사람들 가운데에 뽑혀 사람들을 대표하여 하느님을 섬기는 일을 맡아서 거룩한 희생 제사를 바치며, 다른 사람과 함께 형제처럼 살아가기 위해 가톨릭(정교회 포함)에서 서품을 받은 성직자를 말한다. 신부가 되기 위해서는 신학대학에 입학할 수...
- 시대 :
- 조선
- 유형 :
- 제도/법령·제도
- 분야 :
- 종교·철학/천주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