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사제 司祭, priest
    사제직은 초기 그리스도교 교회에서 주로 성찬식의 집전과 관련하여 발전했는데, 2세기말에 이르러서 성직자들을 사제라고 불렀다. 그리스도교가 널리 퍼지고 교구 교회들이 세워짐에 따라 교구 사제가 성찬식의 주요 집전자가 되었다. 이처럼 성찬식을 집행할 수 있는 자격을 갖게 됨에 따라 사제는 고해를 듣고 죄를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독교 , 종교
  • 사제 사성제(四聖諦), 四諦
    고·집·멸·도의 네 가지 진리를 의미하는 불교교리. 사성제·사진제.|개설 범어로는 catvāri āryasatyāni, 빨리어로는 cattāri ariyasaccāni이다. 성스러운 또는 성인이라는 의미의 ariya는 초기불교 및 부파불교의 성인인 예류(預流), 일래(一來), 불환(不還), 아라한(阿羅漢)의 경지에 이른 이를 말한다. 성...
    유형 :
    개념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사성제 사제, 四聖諦
    불교 교의의 핵심으로, 석가모니가 깨달음을 얻은 지 얼마 안 되어 인도 베나레스(옛 이름은 바라나시) 근처의 녹야원에서 행한 최초의 설법 내용. (산). Catvāri-ārya-satyāni.|사성제의 첫째는 태어나는 것, 늙는 것, 병드는 것, 죽는 것, 싫어하는 사람과 만나는 것, 좋아하는 사람과 헤어지는 것, 바라는 것을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4제 괴로움에서 열반으로 가는 고 · 집 · 멸 · 도
    붓다는 깨달음을 이룬 후, 사람들에게 설법하기를 주저했다. 왜냐하면 자신이 체득한 진리는 너무나 미묘해서 사람들에게 설한다고 해도 그들이 이해하지 못하면 자신만 피곤할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연못에는 푸른 연꽃, 붉은 연꽃, 흰 연꽃이 있고, 그 중 어떤 것은 물속에 잠겨 있고, 어떤 것은 물에 ...
    도서 불교의 모든 것 | 태그 불교
  • 사제
    사제와 대사제는 공식적으로 이스라엘의 예배 의식을 담당하던 주요 종교 지도자들이었다. 구약 성경에서는 사제직이 하느님께 봉사하도록 그분 자신에 의해 선택되고 축성되었다고 그 근본적인 특성을 설명하고 있다|구약 성경 속 개념 구약 성경에서는 이집트 탈출 때부터 사제들의 모습을 볼 수 있다. 그 이전에는 ...
  • 사성제 (동의어 사제) 四聖諦
    십이인연과 연관하여 고·집·멸·도로 구성된 불교교리.|내용 사제(四諦)라고도 함. 고(苦)·집(集)·멸(滅)·도(道)의 네 가지 진리로 구성되어 있다. 석가모니의 성도(成道) 후 자기 자신의 자내증(自內證)을 고찰하여 설한 것이 십이인연(十二因緣)이라면, 사제설은 이 인연설을 알기 쉽게 타인에게 알리기 위해 ...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신부 (동의어 사제) 神父
    신부는 가톨릭 교회 및 정교회의 사제서품(司祭敍品)을 받은 성직자이다. 사람들 가운데에 뽑혀 사람들을 대표하여 하느님을 섬기는 일을 맡아서 거룩한 희생 제사를 바치며, 다른 사람과 함께 형제처럼 살아가기 위해 가톨릭(정교회 포함)에서 서품을 받은 성직자를 말한다. 신부가 되기 위해서는 신학대학에 입학할 수...
    시대 :
    조선
    유형 :
    제도/법령·제도
    분야 :
    종교·철학/천주교
  • 사제 Priest
    특히 인간과 하나 이상의 신 사이의 중개자로서의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종교 의식, 특히 신에게 제사를 지내고 신을 찬양하는 의식을 집행할 수 있는 권한이나 권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직책 또는 직위를 '사제직'이라고 하며, 이 용어는 이러한 사람들을 통틀어 일컫기도 한다. 선사시대 원시 인도유럽 사회의 삼...
    도서 위키백과
  • 코헨 (동의어 사제) cohen
    유대교 제사장. kohen(히브리어로 '사제'라는 뜻)이라고도 씀. 복수형은 cohanim, cohens.|솔로몬이 예루살렘 제1성전을 지을 때(BC 10세기) 예루살렘 제사장직을 만든 사독의 후손이다. 사독을 통해 아론(동생 모세에게 제사장직을 임명받은 최초의 유대인 제사장)과 연관된다. 기드온·다윗·솔로몬 같은 평신도들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
  • 사제 司祭, Priest
    1. 의의 : 사제는 그리스어로 프레스비테로스, 라틴어로 사체르도스(Sacerdos), 영어로 프리스트(Priest)라고 한다. 이는 ‘장로(長老)’를 의미한다. 사제는 성품 성사를 통하여 사제의 품위를 받으며, 주교로부터 파견받아 그리스도의 대리자로서 미사 성제를 거행하고, 주교의 협력자로서 복음 전파를 위해 일생 동안...
  • 사제 司祭, Priest
    성품성사에서 두 번째 단계, 곧 사제품을 받은 사람을 가리킨다. 사제품을 받은 사람은 중개자가 되며 참된 제사를 바칠 권한을 갖는다. 참된 제사를 바칠 때 인간에 대한 하느님의 지고한 통치가 인식되며 사람의 죄에 대한 속죄가 이루어진다. 사제의 본질적 힘은 미사의 희생 제사를 봉헌하고 성품성사 외의 다른 성...
  • 사제, 의전 儀典 司祭, Assistant Priest
    (1) 대축일 미사를 거행하는 동안 고위 성직자를 돕는 사제를 가리킨다. 의전 사제는 보통 주교를 돕는다. 대축일 미사를 봉헌할 때에는 교황청의 대서기관과 아빠스도 의전 사제를 둘 수 있다. 시력을 잃은 사제도 이렇게 도움을 받아야 한다. 새로 서품된 사제의 첫 미사에서 수석 사제가 있을 수 있다. (2) 본당 사목...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26건

사제(priest)
동명사제
동명사제
동명사제
노계집 / 사제곡
드루이드의 사제들
사기사제신 현판
진주 상대동 선조사제문비
진주 상대동 선조사제문비
진주 상대동 선조사제문비
진주 상대동 선조사제문비
진주장흥리숙종사제문비
진주상대동선조사제문비
중세 사제들의 모습
천주교 서울대교구 사제·부제 서품식
임지상 원구단 사제서 참봉 관고첩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