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사염화탄소 테트라클로로메테인, 四鹽化炭素
    특이한 냄새가 나고 무색이며 밀도가 크고 독성이 강하며 휘발성이 있는 비가연성 액체인 유기 할로젠 화합물. 사염화메테인이라고도 함.|화학식은 CCl4. 디클로로디플루오로메테인(냉동제 및 추진제) 제조에 주로 쓰인다. 1839년 클로로포름과 염소를 반응시켜 최초로 만들었으며, 최근에는 염소를 이황화탄소 또는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학
  • 사염화탄소 四鹽化炭素, carbon tetrachloride
    메탄의 수소원자 4개를 염소로 치환한 화합물|메탄의 수소원자 4개를 염소로 치환한 화합물로 분자량은 154이며, CCl4로 표현한다. 분자는 사면체 구조이며, 무색의 액체이다. 클로로포름과 비슷한 냄새를 가지며, 끓는점은 76.74℃, 녹는점 -22.86℃, 비중 1.542이다. 1839년에 처음으로 합성되었는데, 이때는 클로로...
    도서 물백과사전 | 태그 환경
  • 사염화 탄소 (관련어 사염화탄소) Carbon tetrachloride..
    사염화 탄소(Carbon tetrachloride)는 탄소와 염소로 이루어진 화합물이다. 분자식은 CCl4이다. 상온에서 액체 상태로 존재하고 분자량이 큰 편이며, 인화성은 없으나 독성이 강하다. 상온에서는 비교적 무거운 무색의 인화성이 없는 액체 상태로 존재한다. 녹는점은 -22.86°C, 끓는점은 76.679°C이며 비중은 25°C에...
    도서 위키백과
  • 사염화 탄소 四鹽化炭素, CARBON TETRACHLORIDE
    메탄의 수소 원자 4개를 염소로 치환한 화합물. 화학식 CCl4. 무색이며 특유의 냄새가 난다. 독성이 강하며 휘발성이 있는 비가연성 액체이다. 분자량 153.82, 녹는점 -22.86℃, 끓는점 76.679℃, 비중 1.542이다.
    분야 :
    방호
  • 프레온 염화플루오르화탄소
    판명난 이래 사용범위가 크게 제한되었다. 현재는 많은 프레온 대체물질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연원 및 변천 1890년대에 메탄(CH₄)의 유도물질인 사염화탄소(CCl₄)의 염소를 플루오르로 대치한 물질이 합성된 후 다양한 종류의 염화플루오르화탄소가 합성되었다. 이 물질들은 모두 독성이 적고, 안정하고, 불에...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과학/과학기술
  • 이황화탄소 二黃化炭素, carbon disulfide
    화학식은 CS2. 비스코스 레이온, 셀로판, 사염화탄소를 제조하는 데 대량으로 사용하며, 용액 추출과정이나 다른 화학제품, 특히 고무를 가황처리할 때 쓰는 촉진제나 부유선광 공정에 사용하는 시약을 만들 때도 사용한다. 오랫동안 이황화탄소는 목탄과 황(黃) 증기를 750~1,000℃에서 반응시켜 만들었으나 20세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학
  • 이황화 탄소 Carbon disulfide, 二硫化炭素
    46.3°C이다. 비열은 1.24cal이고 기화열은 8381cal, 용해도는 22°C의 물에 0.173ml/100ml이다. 무극성 분자이며 많은 탄화수소, 에탄올, 에테르, 벤젠, 사염화 탄소 등과 잘 섞인다. 황, 인, 아이오딘, 브로민과 많은 유기 화합물에 대해 좋은 용매로 작용한다. 인화점이 상압에서 -30°C로 매우 낮다. 인화점은 압력...
    도서 위키백과
  • 몬트리올 의정서 오존층 파괴 물질에 관한 몬트리올 의정서, Montreal Protocol
    1986년 수준의 50%까지 줄이는 것으로 설계되었다. 이 의정서는 1989년 1월 1일부터 발효되었다. 그 때 이후로 사염화탄소와 트리클로로에탄, 수소화플루오르화탄소(HFCs), 수소염화플루오르화탄소(HCFCs), 수소브로모플루오르카본(HBFCs), 브롬화메틸, 그 외 다른 오존 파괴 물질들의 제조와 사용뿐만 아니라 CFC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환경
  • 몬트리올의정서 Montreal Protocol, ─議定書
    1994년까지 1986년 수준의 80%까지 줄이고, 1999년까지는 1986년 수준의 50%까지 줄이는 것으로 설계되었다. 의정서가 1989년 1월 1일부터 발효된 이후로 사염화탄소(四鹽化炭素, carbon tetrachloride/carbon chloride)와 트리클로로에탄(trichloroethane), 수소화플루오르화탄소(HFCs), 수소염화플루오르화탄소(HCFCs...
    시대 :
    현대
    유형 :
    제도
    분야 :
    정치·법제/외교
  • 드라이클리닝 건식세탁, Dry cleaning
    테레빈유 등이 있다. 할로겐화 탄화수소 용제에는 사염화에틸렌(tertrachloroethylene; perchloroethylene; perc; PCE), 삼염화에탄, 염불화탄화수소, 사염화탄소 등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탄화수소 및 할로겐화 탄화수소 용제의 경우 휘발성, 인화성, 독성 등의 이유로 사용이 제한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를 대체하기...
    시대 :
    현대
    유형 :
    개념
    분야 :
    생활/의생활
  • 연기 煙氣, smoke
    발연제를 사용하는데, 목적에 따라 연기의 색깔을 의도적으로 다르게 하는 경우도 있다. 있다. 예를 들면, 연막 등으로 흔히 쓰이는 베르게르 혼합물은 사염화탄소 50%, 아연말(亞鉛末) 25%, 산화아연 20%, 규조토(珪藻土) 5%의 혼합물인데, 이것을 잘 반죽하여 원통에 채우고, 점화제에 의해서 점화하여 사용한다. 이것...
    도서 물백과사전 | 태그 환경
  • 고전적 분석법 古典的分析法, classical analysis
    밀도 등의 측정은 전체 분자를 확인하기 위해서 작용기 분석과 함께 이용된다. 유기 작용기를 확인하기 위해 이용되는 화학반응의 예로 사염화탄소 용액 속에서 브로민과 탄소-탄소 이중결합을 포함하고 있는 유기화합물이 일으키는 반응을 들 수 있다. 이중결합의 양쪽에 브로민이 첨가되면서 브로민 특유의 적갈색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학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다음페이지 없음

관련항목

멀티미디어2건

사염화탄소(carbon tetrachloride)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