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십팔경계 四十八輕戒
    불교에서 보살이 지켜야 할 48가지 계율.|내용 십중계(十重戒)보다는 가볍기 때문에 경계라고 하였다. 『범망경(梵網經)』에 근거를 둔 계율로서, 대승불교권에 속하는 우리 나라에서는 출가 및 재가(在家)의 모든 불제자들이 보살의 삶을 살기 위해서 이 계를 받는다. 그 계목은 다음과 같다. ① 스승과 벗을 공경하...
    유형 :
    개념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십팔유학
    유학) 십팔현성과 같음."十八賢聖 소승 4과(果) 중에서 앞의 3과(果)의 성자(聖者)는 아직도 배울 도법(道法)이 남았으므로 유학(有學)이라 하니, 이에 18종이 있음. 예류향(預流向)ㆍ예류과(預流果)ㆍ일래향(一來向)ㆍ일래과(一來果)ㆍ불환향(不還向)ㆍ불환과(不還果)ㆍ아라한향(阿羅漢向)ㆍ수신행(隨信行)ㆍ수법행...
    도서 위키백과
  • 범망경 범망경 노사나불설 보살심지계품 제십, 梵網經
    십금강심(十金剛心)·십지(十地) 등의 40가지 법문(法門)을 설한다. 하권에서는 십무진장계품(十無盡藏戒品)을 설하는데 그 안에 십중금계(十重禁戒)와 십팔경계(四十八輕戒)가 설명되어 있다. 십중금계에서 십중이란 원래 소승계에서는 용서될 수 없는 무거운 죄를 말하지만 〈범망경〉에서는 "십중금계를 범하더라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불교
  • 백이십팔근본번뇌
    또는 (事)와 이(理)에 밝지 못한 것은, 특히, 근본번뇌 가운데 하나인 무명(無明) 즉 치(癡)의 본질적 성질이며,sfnsfnsfnsfn 또한 무명(無明) 즉 치(癡)의 동의어로도 사용된다.sfn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의 번뇌론을 따를 때, 총 128근본번뇌(百二十八根本煩惱)가 있다는 것은 근본번뇌로 6가지의 번뇌 즉 6근본번...
    도서 위키백과
  • 범망경고적기 梵網經古迹記
    범'(梵)이라 하고, 모든 중생을 포섭하기에 '망'이라 한다. ⑦ 본문에 대한 해석:경전의 본문이 담고 있는 의미를 해석한 것으로 십중금계(十重禁戒)와 십팔경계(四十八輕戒)를 36종의 경전과 원효 등이 저술한 14종의 논서를 인용해 설명하고 있다. 태현의 보살계사상은 후세에 많은 영향을 주었으며, 특히 일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불교 , 종교
  • 범망경보살계본소 보살계본소, 梵網經菩薩戒本疏
    변천하게 된 경위를 상세하게 서술하였다. 이 경을 『대승보살계본』이라고도 하고 『범망경』이라고도 부르게 된 까닭을 설명하였다. 또한 십중계와 십팔경계(四十八輕戒)는 어떠한 경우에도 경의 중심 내용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본문을 해설한 부분인 석명에서는 경의 순서에 따라 본문을 차례로 해설하였다...
    시대 :
    고대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범망경·금강반야바라밀경합본 梵網經·金剛般若波羅密經合本
    한다고 하였다. 열째는 삼보를 훼방하는 일(毁謗三寶戒)로서, 원효(元曉)의 학설을 인용하여 일승(一乘)으로 귀환하여야 함을 역설하고 있다. 권4에서는 십팔경계(四十八輕戒)를 조목별로 해석하고 있다. 『해심밀경(解深密經)』 등 36종류의 경전과 원효 등이 저술한 14종의 논서를 인용하였다. 의의와 평가 전체적인...
    시대 :
    조선
    저작자 :
    태현
    창작/발표시기 :
    통일신라
    성격 :
    주석서, 불교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4권
    분야 :
    종교·철학/불교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