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통신비밀보호법 通信秘密保護法개설 「통신비밀보호법」은 국민 서로 간에 자유롭게 의사를 전달하고 정보를 교환하게 함으로써 국민의 사생활이 보호될 수 있도록 우편물의 검열과 전기통신의 감청을 금지하여 「헌법」 제18조에 규정된 통신의 비밀과 자유를 보장하고자 제정된 법률이다. 그러나 「통신비밀보호법」은 동시에 국가안정보장 및 중요...
- 시대 :
- 현대
- 성격 :
- 법률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1993년 12월 27일
- 분야 :
- 정치·법제/법제·행정
-
프라이버시 vs 언론 자유 연예인 사생활 공개, 어디까지이름으로 보호해 줄 수는 없었다. 법원은 공인과 관련된 기사에 대해 "언론 보도가 진실한 것이어야 함이 원칙이고, 최소한 진실이라고 믿을 만한 상당한 이유가 있는 경우라야 위법성이 조각된다"고 판시했다. 그런데 법원은 이 기사가 충분한 확인 취재가 없었고, 일부 연예 종사자로부터 들은 소문을 바탕으로 기사를...
-
소비자보호운동 消費者保護運動협동조합 143개가 있다. 우리나라의 소비자운동은 1980년대 이후 법적,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고 1990년대 이후 활발하게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1998년 경제위기...인한 소비자안전의 문제 등이 구체화되고 있다. 또한 정보사회에서 사생활보호, 정보윤리 확립의 필요성도 크게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정부의 정책기조...
- 시대 :
- 현대
- 성격 :
- 사회운동
- 유형 :
- 사건
- 분야 :
- 사회/사회구조
-
공공기관의개인정보보호에관한법률 公共機關─個人情報保護─關─法律공개하는 등 공공기관에서 처리되는 개인정보의 보호 제도를 개선·보완하려는 내용도 추가되었다. 2010년 3월 22일에는 제24조 ‘양벌규정’ 부분이 개정되어...개인정보 관련 업무수행이 적절하게 형성되도록 하는데 그 입법목적이 있다. 특히 「헌법」 제17조에 따른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에 대한 보장에 기여하기...
- 시대 :
- 현대
- 성격 :
- 법률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1994년 1월 7일(제정), 1995년 1월 8일(시행)
- 분야 :
- 정치·법제/법제·행정
-
감청 도청, 監聽자의적으로 법해석을 하여 불법감청을 행하는 경우가 많이 있어 국민의 사생활을 심각하게 침해한다는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2001년 통신제한조치의 오남용을 방지하기 위한 여러 개정작업이 이루어졌다. 의의와 평가 「통신비밀보호법」은 감청이 허용되는 대상범위와 요건, 그리고 국가안보 관련사항에 대해...
- 시대 :
- 현대
- 성격 :
- 수사제도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1993년 12월 27일
- 분야 :
- 정치·법제/법제·행정
-
성폭행범에게 '전자발찌' 효과 얼마나?감시 제도를 도입해야 한다는 시민단체 등의 강력한 주장에 힘을 얻어 추진되어 왔다. 한편에서는 이 법이 개인의 사생활 감시, 이중 처벌 등 인권침해의 소지가 있다는 반론도 제기됐으나, 이 법안은 2005년 7월 국회 법제 사법위원회(법사위)에 회부된 지 2년 만에 결국 통과됐다. 이후 성범죄자뿐 아니라 미성년자...
-
행복추구권 幸福追求權, the Right to pursue Happiness구체적 권리로는 생명권, 신체의 자유, 정신적·문화적·기술적 창조의 보호, 인간 고유의 개인적 영역에서의 권리(명예권·성명권·초상권 등), 자유로운 생활...행복추구권의 본질에 관한 학설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행복추구권은 사생활의 자유 등 인간의 모든 생활영역에 걸쳐서 자유롭게 생활하는 일반적 자유를...
- 시대 :
- 현대
- 성격 :
- 기본권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1980년 10월 27일
- 분야 :
- 정치·법제/법제·행정
-
한국에서 정보공개는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 한국 정보공개법 朝鮮 情報公開法국정의 감시 및 비판, ③ 국민의 권리 · 이익의 보호 및 구제 기능, ④ 국민의 문화적 · 경제적 활동의 활성화 기능, ⑤ 국정에 대한 국민의 신뢰성 확보, ⑥...단체가 보유하는 정보의 정확성 확인의 계기 등을 들었다. 반면 정보공개제도의 역기능으로는 ① 국가 비밀의 침해, ② 개인 사생활의 침해, ③ 기업 비밀...
-
개인 정보 영향 평가 제도 PIA, 個人情報影響評價制度중요한 변경 시, 시스템의 구축ㆍ운영이 기업의 고객은 물론 국민의 사생활에 미칠 영향에 대해 미리 조사ㆍ분석ㆍ평가하는 제도. 개인 정보 침해 위험성을 사전...구축 및 운영에서 시행착오를 예방하고 효과적인 대응책을 수립하기 위하여 도입하는 제도로서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하여 공공 기관은 의무화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