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사명파 邪命派, Ajivika
    인도에서 불교, 자이나교와 거의 동시에 발생한 수행집단.|자이나교 설립자인 마하비라와 동시대인이며 어릴 적 친구인 고샬라 마스카리푸트라(Gosālo Makkhaliputto라고도 함)가 설립했다. 그의 이론과 추종자들에 관한 기록은 불교와 자이나교 경전에서만 보이며, 이에 따르면 그는 천민 출신으로 마하비라와 다툰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승가예의문 僧家禮儀文
    行願品)→습골(拾骨)→기골(起骨)→쇄골(碎骨)→산골(散骨)→진언개계(眞言開啓)→중화향화청(衆和香花請)의 순서이다. 의의와 평가 『승가예의문』은 청허계 사명파 허백 명조가 편찬한 불교 상례집이다. 당시 부휴계의 벽암 각성(碧巖覺性)의 『석문상의초(釋門喪儀抄)』가 1657년(효종 8)에 백곡 처능(白谷處能)에...
    시대 :
    조선 후기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분충서난록 송운대사분충서난록(松雲大師奮忠紓難錄), 奮忠紓難錄
    저자 및 편자 저자인 사명 유정(四溟惟政, 1544∼1610)은 호를 송운(松雲)이라고도 했으며 청허계 사명파의 조사이다. 경상도 밀양 출신으로 1561년 승과 급제 후 청허 휴정(淸虛休靜, 1520∼1604)의 법맥을 이었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강원도에서 의승군을 일으켰고 8도 도총섭으로서 전투, 산성 수축, 군량...
    시대 :
    조선 후기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도덕부정론파 道德否定論派, akriyavada
    숙명론자인 고샬라 마스카리푸트라(Gośāla Maskarῑputra), 인도 최초의 유물론자로 알려진 아지타 케샤캄발린(Ajita Keśakambalin), 원자론자인 파쿠다 카티아야나(Pakudha Kātyāyana)이다. 고샬라의 추종자들은 사명파를 형성했고, 그들은 마우리아 왕조(BC 3세기) 때 지지를 받아 유행했으나 이후에는 쇠퇴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정통철학파 正統哲學派, astika
    대조를 이루는 것이 비정통철학파(nastika)이다. 이 말은 또 산스크리트로 '없다'는 뜻인 '나아스티'에서 나왔는데 베다의 권위, 사성계급제도, 브라만 계급의 우월성 등을 인정하지 않는 개인이나 학파를 말한다. 비정통철학파에 들어가는 학파 가운데에는 불교, 자이나교, 금욕적인 사명파, 유물론적인 차르바카가 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연초 설송(雪松), 演初
    臨終偈)를 쓴 다음 염불을 하고 입적했다. 탑과 비가 출가 사찰인 운문사와 입적지인 통도사에 세워졌다. 상훈과 추모 비문은 제자 태허 남붕의 의뢰로 1754년 영의정 이천보(李天輔)가 썼다. 그에 의하면 연초는 사명파의 교학과 편양파의 선법을 모두 전하여 청허계가 그에 이르러 하나가 되었다고 평가했다. 참고문헌
    시대 :
    조선 후기
    유형 :
    인물/전통 인물
    분야 :
    종교·철학/불교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