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사다트 Muhammad Anwar Sadat
    1970년부터 사망할 때까지 이집트 대통령을 지냈다. 국내정책으로 탈중앙집중화, 경제의 다양화, 정치구조의 완화 등을 펼쳤고, 대외적으로는 중동평화를 위해 노력했다. 1978년 이스라엘 수상과 함께 노벨 평화상을 받았다. 1938년 카이로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한 그는 제2차 세계대전 기간 중 독일의 도움을 받아 영국...
    출생 :
    1918. 12. 25, 이집트 알미누피아 미트아부알쿰
    사망 :
    1981. 10. 6, 카이로
    국적 :
    이집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사다트 Madῑnat as-Sādāt
    이집트 하이집트 지방 알부하이라 주에 있는 산업도시.|와디 안나투룬과 나일 강 삼각주의 서쪽 가장자리 사이에 있다. 사다트의 건설은 1980년대초 카이로와 나일 강 계곡의 농업지대로부터 인구와 산업시설을 분산하기 위한 이집트 정부의 계획으로 시작되었으며, 안와르 사다트 대통령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프리카
  • 안와르 사다트 (관련어 사다트) Anwar Sadat, アンワル・アッ=サーダート
    국가원수 정보 무함마드 안와르 엘 사다트는 이집트의 세 번째 대통령을 지낸 군인·정치인이다. 나일강 삼각주 옆의 밋 아부 알쿰(Mit Abu al-Kum)에서 이집트인 아버지와 수단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나세르 등과 함께 '자유 장교들의 비밀결사(자유장교단)'를 조직하였다. 1952년의 쿠데타 이후 고위직을 맡으...
    도서 위키백과
  • Anwar Sadat 안와르 사다트, アンワル・アッ=サーダート
    Muhammad Anwar El Sadat (25 December 1918 – 6 October 1981) was the third President of Egypt, serving from 15 October 1970 until his assassination by fundamentalist army officers on 6 October 1981. Sadat was a senior member of the Free Officers who overthrew King Farouk in the Egyptian...
  • 캠프데이비드 협정 Camp David Accords
    1979년 양국간에 평화협상이 개최되었는데 이것은 이스라엘과 아랍 주변국이 갖는 최초의 회담이었다. 협정의 명칭은 이스라엘의 베긴 총리와 이집트의 사다트 대통령이 미국의 카터 대통령의 중재로 메릴랜드 주에 있는 대통령의 캠프데이비드 휴양지에서 협상했기 때문에 붙여졌다. 1948년 이스라엘이 건국한 이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4차 중동전쟁 이후의 팔레스타인 분쟁사
    前) 총리를 암살하자 국민들이 분노해서 촉발됐다. 혁명 뒤 2년여에 걸쳐 시리아 군은 레바논에서 철수했다. 이집트 · 이스라엘 평화협정 1977년에는 이집트의 사다트가 이스라엘과 점점 밀착되더니 마침내 예루살렘을 방문해 이스라엘의 의회에서 연설했다. 아랍권 전역에선 이집트의 이런 움직임에 거센 반발이...
  • 호스니 무바라크 무바라크, Hosnῑ Mubārak
    1973년 10월 중동전쟁이 발발하자 초반의 공습작전을 성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능력에 대한 신임을 얻었고 이듬해 중장으로 진급했다. 1975년 4월 안와르 엘 사다트 대통령에 의해 부통령으로 지명된 그는 중동 및 아랍 정책에 관한 대부분의 논의과정에 참여했으며 서부(스페인령) 사하라의 장래를 둘러싼 모로코...
    출생 :
    1928. 5. 4, 이집트 알미누피야
    사망 :
    2020. 2. 25, 이집트 카이로
    국적 :
    이집트
    직업 :
    군인, 정치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나세르 Jamal ⁽Abdan-Nāṣer
    3명의 동료 장교 즉, 나중에 아랍 연합공화국의 부통령이 된 자카리아 모히에디네, 육군원수가 된 아브델 하킴 아메르, 그의 후임 대통령이 된 안와르 아스 사다트를 만났다. 이들은 이집트에서 영국 세력을 몰아내고 이집트 왕조를 타도할 것을 목적으로 한 '자유장교단'이라는 비밀 혁명조직을 결성했다. 신생...
    출생 :
    1918. 1. 15, 알렉산드리아
    사망 :
    1970. 9. 28, 카이로
    경력 :
    이집트의 군인, 정치가, 2대 대통령
    국적 :
    이집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대통령
  • 베긴 Menachem (Wolfovitch) Begin
    전쟁(중동전쟁)에서 이스라엘이 점령한 땅을 계속 보유하는 문제에 대해 비타협적인 입장을 취한 것으로 가장 잘 알려졌다. 그러나 베긴은 이집트의 안와르 사다트 대통령과 중동평화협상을 벌였고, 1979년 3월 26일 이집트와 평화조약을 맺었다. 베긴은 사다트와 함께 1978년 노벨 평화상을 공동 수상했다. 1980년대초...
    출생 :
    1913. 8. 16, 러시아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사망 :
    1992. 3. 9, 이스라엘 텔아비브
    국적 :
    이스라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헤이칼 Muhammad Hassanein Heikal
    1970년 4~10월 국민지도 장관을 지냈다. 1970년 나세르 대통령이 사망한 후에도 계속 〈아람〉의 편집장직에 있던 헤이칼은 1974년 〈아람〉이 안와르 사다트 대통령을 비난한 것이 발단이 되어 편집장직을 박탈당했으며, 그후 자유기고가로 활약했다. 헤이칼은 여러 권의 책을 저술했는데, 여기에는 〈나세르 Nasser...
    출생 :
    1923, 카이로
    국적 :
    이집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론인
  • 캠프 데이비드 협정이란 무엇인가?
    이집트 사이에 맺어진 평화 조약을 일컫는 말이다. 이 명칭은 미국의 카터 대통령이 메릴랜드의 캠프 데이비드에 이스라엘의 메나헴 베긴과 이집트의 안와르 사다트 사이의 대화의 자리를 마련하면서 비롯되었다. 1979년 3월 26일 양측은 워싱턴에서 평화 조약에 서명했으며 카터 대통령이 증인으로 참석했다. 그 결과...
  • 이집트의 역사
    예멘과의 연방 수립을 시도했으며, 아스완 하이 댐을 건설했다. 1956, 1967년에 이스라엘과 2차례 전쟁을 치렀으나 실패로 끝났다. 그의 후계자인 안와르 엘 사다트는 나세르가 시행했던 강도 높은 사회주의 정책의 일부를 파기하려 했으며, 또한 이스라엘을 공격해(1973) 시나이 반도의 작은 영토를 되찾았다. 그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프리카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사다트(Sadat)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