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뿔잔 각배, ─盞
    소나 물소와 같은 짐승의 뿔을 이용해 만든 잔.|개설 혹은 흙이나 금속을 이용해 만든 쇠뿔처럼 생긴 그릇. ‘각배(角杯)’라고도 한다. 짐승의 뿔을 이용해 만든 뿔잔은 쉽게 썩기 때문에 그 실물이 전해지는 경우가 거의 없으나 흙이나 금·은과 같은 금속을 이용해 만든 뿔잔은 우리나라뿐 아니라 다른 지역에서도 ...
    성격 :
    의례용품, 식기
    유형 :
    유물
    재질 :
    짐승뿔, 흙, 금속
    제작시기 :
    신석기시대 초기
    분야 :
    역사/선사문화
    소장/전승 :
    국립중앙박물관
  • 뿔잔 drinking horn
    짐승, 특히 소·물소·코뿔소 등의 뿔을 이용해서 만든 물그릇 또는 잔. 각배라고도 함.|뿔의 형상을 본뜬 토기·도기·금속기 등의 잔도 뿔잔이라고 한다. 뿔을 이용한 잔의 실례는 찾아보기 어려우나 다른 재료로 만든 잔은 여러 지역에서 발견되고 있다. 유럽에서는 뿔잔 끝에 작은 구멍이 나 있는 것이 많이 있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일반상식
  • 뿔잔 Drinking horn, 角杯
    뿔잔(drinking horn)은 소과 동물의 뿔로 만든 잔이다. 뿔잔은 고대 시대에, 특히 트라키아와 발칸 지방에서 사용되었으며, 중세에는 의식적 목적으로 그 명맥이 이어져 근세까지 독일어권과 코카서스를 비롯한 유럽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었다. 뿔잔은 조지아와 같은 나라에서는 여전히 의식적인 건배 때 중요하게 쓰이...
    도서 위키백과
  • 도기 기마인물형 뿔잔 陶器 騎馬人物形 角杯
    개설 1993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국립경주박물관 소장의 국은(菊隱) 이양선(李養璇) 수집품의 하나이다. 갑옷을 입은 인물이 전신을 갑옷으로 감싼 말을 타고 있는 모습을 묘사하였다. 내용 토기는 말을 타고 있는 사람의 모습으로 높이 23.2㎝, 폭 14.7㎝이다. 받침대에는 약간의 돌대가 있는 2단의 띠가 둘러싸여 있고...
    시대 :
    고대/삼국/가야
    유형 :
    유물
    분야 :
    예술·체육/공예
  • 도기 말머리장식 뿔잔 마두식 각배, 陶器 말머리裝飾 뿔盞
    개설 1975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이 뿔잔[角杯]은 큰 것이 높이 14.4㎝, 길이 17㎝이며 작은 것은 높이 12.1㎝, 길이 17㎝이다. 부산광역시 동래구 복천동 고분군(古墳群) 중 제7호분에서 출토되었다. 수혈식석곽분(竪穴式石槨墳)인 제7호분에서는 이 뿔잔 한 쌍 외에도 여러 형태의 토기와 철제장검(鐵製長劍) 등의...
    시대 :
    고대/삼국/가야
    유형 :
    유물
    분야 :
    예술·체육/공예
  • 도기 기마인물형 뿔잔 陶器 騎馬人物形 角杯
    국보(1993.01.15 지정). 높이 23.2cm, 폭 14.7cm, 밑지름 9.2cm. 경상남도 김해 지역에서 출토되었다. 나팔 모양으로 된 굽다리접시[高杯] 받침 위에 직사각형의 판을 설치하고, 그 위에 말을 탄 무사를 올려놓았다. 받침에는 두 줄로 구멍이 뚫려 있으며, 네 모서리에는 손으로 빚어 깎은 말 다리가 있다. 말 몸에 착용...
    문화재 지정 :
    국보(1993.01.15 지정)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도기 바퀴장식 뿔잔 도기 차륜식 각배, 陶器 車輪飾 角杯
    내용 1978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18.5㎝, 너비 24㎝. 국립진주박물관 소장. 밑이 벌어진 높은 굽다리 위에 U자형의 뿔잔[각배(角杯)]를 얹어놓았다. 뿔잔의 등 양쪽에 고사리형의 장식이 부착되으나 현재는 한쪽만 남아있다. 그리고 뿔잔의 좌우측면에 수레바퀴를 축을 이영하여 부착시켰다. 굽다리에는 2단의 아래...
    시대 :
    고대/삼국/가야
    유형 :
    유물
    분야 :
    예술·체육/공예
  • 백자 철채 뿔잔 백자철채각배, 白磁 鐵彩 角杯
    개설 1991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길이 17㎝, 입지름 5.3㎝.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내용 소뿔을 형상화한 백자 뿔잔으로 입부분은 둥글게 마무리되었고 뿔 머리에서 뿔 끝에 이르기까지 유연한 곡선과 양감이 특징이다. 뿔 끝을 산화철 안료로 칠했다. 백색의 태토 위에 옅은 청색이 감도는 백자유(白磁釉)를 고르게 시유...
    시대 :
    조선
    유형 :
    유물
    분야 :
    예술·체육/공예
  • 도기 말머리장식 뿔잔 陶器 말머리裝飾 뿔盞
    [개설] 도기 말머리장식 뿔잔은 부산 복천동 고분군 7호에서 한 쌍으로 출토되었다. 1975년 5월 16일 보물 제598호로 지정되었으며, 그중에 크기가 큰 것이 동아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고, 작은 것은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형태] 작은 것이 길이 17㎝, 입지름 7.5㎝이고, 큰 것이 길이 20㎝, 입지름...
    분야 :
    역사
    지역 :
    부산광역시 동래구
  • 도기 기마인물형 뿔잔
    문화재 정보 도기 기마인물형 뿔잔(陶器 騎馬人物形 角杯)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경주시 국립경주박물관에 있는 삼국시대의 토기이다. 1993년 1월 15일 대한민국의 국보 제275호로 지정되었다.1993년 1월 16일자. p13. 지정번호 제275호. 기마인물형토기(騎馬人物形土器). 문화부고시 제1993-1호 pp.13~14 삼국시대...
    도서 위키백과
  • 도기 바퀴장식 뿔잔
    유형문화재 정보 도기 바퀴장식 뿔잔(陶器 車輪飾 角杯)는 대한민국의 보물 제637호로, 높이는 22.5cm, 길이 24cm, 바퀴지름은 10.2cm이다. 수레바퀴가 붙은 토기는 가야 지역 고분에서 여러 점 발견되었으나 이 토기는 그중에서도 특이한 형태이다. 고배(高排)의 각 부(脚部)에 해당하는 받침은 이 시대 고배에서 흔히...
    도서 위키백과
  • 백자 철채 뿔잔
    유형문화재 정보 백자 철채 뿔잔(白磁 鐵彩 角杯)은 조선 초기의 백자 소뿔 모양 잔이다. 길고 뾰족한 모습이다. 입 부분은 유약을 닦아내고 가는 모래를 받쳐 구웠던 흔적이 남아 있으며, 몸체는 유연한 곡선을 이루며 좁아지면서 뾰족해지고 있다. 철사(산화 철)로 소뿔의 끝을 여러 번 칠해 소뿔과 같은 모습을...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다음페이지 없음

관련항목

멀티미디어18건

뿔잔
뿔잔
도기 바퀴장식 뿔잔
도기 말머리장식 뿔잔
경북 경주 금관총 출토 금동제 각배
분청사기 상감 당초문 각배
분청사기 상감 연화문 각배
각배
백자 철채 뿔잔
백자 철채 뿔잔
도기 말머리 장식 뿔잔
도기 바퀴장식 뿔잔
도기 기마인물형 뿔잔
도기 기마인물형 뿔잔
도기 기마인물형 뿔잔
도기 기마인물형 뿔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