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화학량론적 화합물 非化學量論的化合物, nonsto..
    화합물을 이루고 있는 원소들의 원자수가 간단한 정수비로 표현되지 않는 고체 화합물.|돌턴형 화합물(원자수의 가 간단한 정수임)과 구별하기 위해 베르톨리드 화합물이라고도 하며, 전이원소 중에 가장 많다. 이들 중 몇몇은 정류기(精溜器), 열전 발전기, 광검출기, 서미스터, 고주파 회로에 사용되는 자석과 같...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학
  • 화학량론 化學量論, stoichiometry
    원소들의 구성비를 수량적 관계로 다루는 이론으로, 일정성분비의 법칙, 배수비례의 법칙, 기체 반응의 법칙 등도 화학량론적인 관계로 해석된다. 현대에 이르러서는 화합물의 조성이 화학량론적인 경우까지를 포함하여 다루는 연구영역으로까지 확장되어 주로 어떤 물질의 화학적인 조성과 그 물리적 성질 사이의...
    도서 물백과사전 | 태그 환경
  • 화합물 化合物, chemical compound
    결합한다. 예를 들어 산화알루미늄(Al2O3)에서 알루미늄 원자와 산소 원자는 2 대 3의 비로 결합된다. 화학량론적 화합물이라고 하는 일련의 화합물에서는 그 가 정확한 정수가 아니다. 여기에 속하는 화합물로는 일부 금속의 산화물과 황화물이 있다. 예를 들어 황화아연(ZnS)에서는 아연 원자의 수가 황 원자의 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학
  • 수소화물 Hydride, 水素化合物
    않지만, 수소화물들의 차이를 이해하는 데에 유용하다. 이들은 수소의 화학량론적 화합물이다. 이런 이온성 또는 염성 수소화물들은 일반적으로 알칼리 금속...물질들에서 수소화물은 유사할로젠화물로 여겨진다. 염성 수소화물들은 분자 구조로 인해 기존 용매에 용해되지 않는다. 이온성 수소화물은 염기로 이용되며...
    도서 위키백과
  • 일정 성분비 법칙 Law of definite proportions, 定比例の法則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이러한 차이는 1920년대 이후 동위원소의 발견으로 인해 설명되었다. 일정 성분비 법칙은 항상 성립하지는 않으며, 이러한 화합물화학량론적 화합물이라 한다. 하나의 예시는 산화철의 일종인 뷔스타이트이다. 이 화합물은 0.83에서 0.95개의 철 원자마다 하나의 산소 원자를 가진다. 그래서...
    도서 위키백과
  • 화학식 Chemical formula, 化学式
    As@Ni12As20]3-이 있다. 이는 비소 원자가 32개의 원자들에 의해 갇힌 것을 뜻한다. 화학식의 표기에는 주로 정수가 사용되나 화학량론적 화합물의 경우 작은 정수로는 구성성분의 를 나타낼 수 없다. 따라서 이런 경우 화학식은 실수를 사용해서 표기하게 된다. 대표적인 예로는 Fe0.95O이 있다. 비율이 다양한...
    도서 위키백과
  • 황화 철(II) 황화 철(II), Iron(II) sulfide
    Chembox 황화 철(II)(Iron(II) sulfide)는 화학식 FeS을 갖는 화합물이자 광물 계열의 하나이다. 황화 철들은 대개 철이 부족한 화학량론적 화합물이다. 모두 검은색이며 물에 녹지 않는 고체이다. FeS는 철과 황을 가열시켜 얻을 수 있다: Fe + S → FeS FeS는 홍비니켈광 구조를 채택하며 팔면체형 분자기하의 특징...
    도서 위키백과
  • 탈카보닐화 Decarbonylation
    탈카보닐화는 화합물에서 카보닐기를 제거하는 화학적 과정을 의미한다. 탈카보닐화는 분해를 나타내기 때문에 종종 바람직하지 않은 반응이다. 금속 카보닐의 화학에서 탈카보닐화는 CO 리간드가 다른 리간드로 대체되는 치환 과정을 설명한다. 금속 촉매가 없으면 유기화학에서 탈카보닐화(vs 탈카복실화)는 거의 관찰...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