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비하라 毘訶羅, vihara
    불교 사원의 초기 유형의 하나. '주처' 또는 '승방'이라고 번역하기도 함.|안뜰을 중심으로 승려들이 거주하는 벽이 트인 방들이 둘러싸여 있고 한쪽으로 출입구가 있다. 비하라는 원래 인도에서 우기 동안 유행 생활을 하기가 힘들게 된 승려들이 거주하도록 세운 것이다. 세월이 흐르면서 비하라의 안뜰에 성스러운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불교 , 종교
  • 석굴사원 굴원, 石窟寺院
    바위를 뚫어 용도에 따라 공간을 조성하여 만든 사원. 굴원·석굴·차이티야·비하라.|개설 석굴사원은 굴원(窟院), 석굴(石窟) 등으로 불린다. 바위 속이 불전(佛殿)과 법당(法堂)이 되고, 강당과 참선당이 되며, 방실(房室)과 주방이 된 이른바 석굴 속의 사원이라는 것이다. 건축자체가 암석으로 이루어졌고, 이 암...
    유형 :
    개념
    분야 :
    예술·체육/조각
  • 비하라 Vihāra, 精舎
    multiple image 비하라 또는 정사(精舎)는 일반적으로 주로 인도 아대륙에 있는 비구를 위한 승원을 말한다. 이 개념은 고대의 것으로 초기 산스크리트어 및 팔리어 텍스트에서는 거주를 위한 공간 또는 시설의 모든 배열을 의미했다., Monier Monier Williams, Sanskrit-English Dictionary Etymologically Arranged, O...
    도서 위키백과
  • 브라흐마 비하라 아라마 발리 최대 불교 수도원, Brahma Vihara A..
    브라흐마 비하라 아라마는 발리 최대 불교 수도원으로 알려져 있다. 여러 개의 좌불상과 부조 불상들이 발리 스타일의 건축물과 조화를 이루고 있다. 사원 건물의 뒤편으로는 드넓게 펼쳐진 정글이 보이고 사원의 정면에는 바다가 바라보인다. 아쉽게도 찾아가기가 그리 쉬운 곳은 아니다 보니 그 아름다움에 비해...
    위치 :
    꾸따에서 북쪽 로비나 방향으로 약 89km
    소재지 :
    Village Banjar Tegeha, Banjar, Buleleng
  • 브라마비하라 Brahmavihara
    보고 진심으로 기뻐하는 희, ④ 온갖 집착에서 벗어나 중생에게 골고루 이익을 나누어주는 사이다. 이것은 중생에게 무한한 행복을 주기 때문에 사무량심이라고도 한다. 브라마비하라는 또한 묵상하는 과정에서 자무량심·비무량심·희무량심·사무량심으로 세계의 1/4씩을 가득 채워가는 선정의 단계를 가리키기도 한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불교 , 종교
  • 비하라마하데비 공원 Viharamahadevi Park, ヴィハーラ・マハー・..
    좌표 비하라마하데비 공원(Viharamahadevi Park)은 스리랑카의 콜롬보 국립박물관 옆에 위치한, 콜롬보의 공립 공원이다. 남국의 꽃과 푸른 나무들이 울창한 대공원으로 옛날 이름은 빅토리아 공원이다. 공원의 북쪽은 고급주택지로 빅토리아 양식의 정부 고관의 저택, 각국 대사관들이 건물의 아름다움을 경쟁하고 있다...
    도서 위키백과
  • 비아섬 비하도
    인문사회환경 ㆍ용도 구분 : 보전관리지역 ㆍ지목 : 임야 ㆍ지자체 개발 계획 : 신안군 다이아몬드 제도 개발사업(’05~’17) ㆍ시설물 · 이용 현황 : 없음 ㆍ영해기점 무인도서 : 영해기점 없음 ㆍ과거 주민 거주 여부 : 미거주 ㆍ향후 주민 거주 가능성 : 없음 ㆍ사람 거주시 거주 목적 : 미거주 ㆍ역사적 가치...
    면적 :
    15,669m 2
    좌표 :
    34° 48′ 19.0″ N, 126° 02′ 19.0″ E
    지번 :
    비금면 광대리 산191
    소유현황 :
    사유지
    육지와의 거리 :
    약 1.50km
    도서 무인도서
  • 비하리어 Bihari language
    문헌을 가지고 있는 유일한 비하리 방언이며 1947년 이래 이 언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마가히어는 마가디 프라크리트의 대표적인 현대어로 간주된다. 비하리어는 언어학적으로는 벵골어와 관계가 있으나 문화적으로는 힌디어와 동일시된다. 비하리어를 사용하는 지식인들 대부분은 벵골어와 힌디어도 함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할랄 식품 Halal Food, حلال
    그중에서 이슬람 율법에서 허락되어 무슬림(Muslim)이 먹을 수 있는 음식을 ‘할랄 식품(Halal Food)’이라 한다. 고기의 경우 이슬람식 도축방식인 ‘다비하(Dhabihah)’에 따라 도축한 고기만을 할랄 식품으로 인정하며, 돼지고기를 비롯해 뱀이나 발굽이 갈라지지 않은 네발짐승 등 많은 것들이 금지된다. 방식 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이슬람교 , 음식
  • 경희대학교 미화원 비하 사건
    경희대 미화원 비하 사건은 2010년 5월 13일 19시20분경 경희대학교의 한 여학생이 도서관에 청소하던 미화원 여성에게 폭언 욕설을 하여 5월부터 6월간 한국 사회에서 물의가 된 사건이다. 사건은 동년 5월 15일 여학생에게 모욕당한 미화원의 딸이 다음, 네이버, 네이트 등에 폭로하면서 확대되었다. 5월 13일 경희대...
    도서 위키백과
  • 카이손 폼비한 Kaysone Phomvihane, カイソーン・ポムウィハーン
    베트남인 아버지와 라오스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1955년부터 1991년까지 라오인민혁명당의 총비서로 지냈으며 1975년부터 1991년까지 정부총리, 1991년부터 1992년까지 라오스의 주석을 지냈다. 까이손은 1920년 12월 13일 라오스 까타불리 구 나셍 마을 (지금의 사반나케트 주 까이손폼위한)에서 태어났다...
    도서 위키백과
  • 비하 Dhabihah
    비하, 또는 자비하는 이슬람식 도축을 의미한다. 원칙적으로, 무슬림들은 이 방법으로 도축된 고기만을 먹을 수 있으며, 그렇지 않은 고기들은 비상시를 제외하고는 허락되지 아니한다. 이 방법으로 도축된 고기는 할랄푸드로 인정되며, 이 때문에 '할랄도축'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다비하는 유대교식 도축인 '셰치타...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2건

브라흐마 비하라 아라마(Brahma Vihara Arama)
브라흐마 비하라 아라마(Brahma Vihara Arama)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