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비뇰라 Giacomo da Vignola
    이탈리아의 건축가. Giacomo Barozzi, Giacomo Barozio라고도 함.|안드레아 팔라디오, 줄리오 로마노와 함께 이탈리아 마니에리스모 건축의 거장으로 꼽히며 바로크 양식을 예견했다. 볼로냐에서 공부한 뒤 1530년대에 로마로 가서 비트루비우스의 건축서에 실을 고대 건물 그림을 그렸다. 1541~43년 프랑스 퐁텐블로...
    출생 :
    1507. 10. 1, 볼로냐 비뇰라
    사망 :
    1573. 7. 7, 로마
    국적 :
    이탈리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가
  • 바로크건축, 비뇰라와 로마 스쿨
    바로크건축의 문을 연 건축가는 자코모 바로지 다비뇰라(Giacomo Barozzi da Vignola, 1507~73)였다. 볼로냐에서 태어나 바티칸 소속 화가로 경력을 시작했으며 이 과정에서 건축도 접했다. 페루치와 안토니오 다상갈로 일 조반네의 일에 참여했으며 아카데미아 비트루비아나(Academia Vitruviana)에서 로마 유적을...
  • 바로크건축, 자코모 델라포르타와 일 제수 입면
    집안에서 태어나 장식미술로 초창기 경력을 시작했으며 로마로 옮기면서 건축 일을 시작했다. 교황청에 발탁되면서 미켈란젤로와 비뇰라에게 건축을 배웠다. 로마를 근거지로 삼아 비뇰라 사후에 교황청의 주 건축가가 되는 등 16세기 후반부 로마 건축을 이끌었다. 시대 고민이나 창조성은 뛰어나지 않았으나 조각 솜씨...
  • 바로크건축, 마데르노와 성 베드로
    카를로 마데르노(Carlo Maderno, 1556년경~1629)는 비뇰라와 자코모 델라포르타의 뒤를 이어 초기 바로크를 정착시켰다. 자코모 델라포르타에게 건축을 배웠는데 새로 창출한 내용은 없는 편이고 포르타가 일 제수에서 제시한 입면 모티브를 반복 사용하면서 더 다듬어 바로크 교회의 표준형으로 정착한 점이 중요하다...
  • 르네상스 건축, 프랑스 르네상스 건축
    아직 종합적인 르네상스 고전주의를 운용할 단계에 못 이르렀다(도 6-81). 정착기에 들어와 비로소 독자적으로 르네상스를 운용할 수 있게 되었다. 비뇰라, 세를리오, 로소 피오렌티노, 프란체스코 프리마티치오 등 이탈리아 건축가들이 프랑스를 방문해서 르네상스를 직접 전파했다. 비트루비우스와 이탈리아 르네상스...
  • 성 베드로 대성전 San Pietro Basilica
    맡겼다. 미켈란젤로가 죽은 1564년 당시에는 거대한 돔을 받칠 드럼(원통형 구조물)이 사실상 완성되어 있었다. 그의 후임자는 피로 리고리오와 자코모 다 비뇰라였으며 그뒤 그레고리오 13세(1572~85 재위)의 위촉으로 자코모 델라 포르타가 공사를 진행했다. 미켈란젤로가 변경했던 돔 설계는 식스토 5세(1585~90 재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건축물 , 기독교 , 종교
  • 반월창 半月窓, lunette
    교회당(310~313)에서 볼 수 있는데, 교회당 네이브(nave:중심내부)의 채광을 위해 측랑의 볼트에 설치되었다. 많은 바로크식 교회들 중 그 원형인 로마 비뇰라의 제수 교회(1568~84)는 네이브 배럴 볼트(반원통형 볼트) 밑부분에 반월창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특징적이다. 19세기에 반월창은 대형 홀에 널리 사용...
  • 포르타 Giacomo della Porta
    성 베드로 대성당의 돔을 건립할 때 미켈란젤로가 의도했던 것보다 더 높고 뾰족하게 만들었다. 이는 바로크 돔 양식의 전형이 되었다. 그는 자코모 다 비뇰라가 설계한 예수회 본부인 일제수 교회에 정면을 덧붙였다. 이 정면은 예수회 선교사들에 의해 널리 모방되었고 많은 바로크 양식 교회 정면의 모델이 되었다...
    출생 :
    1537경, 로마
    사망 :
    1602, 로마
    국적 :
    이탈리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가
  • 암만나티 Bartolommeo Ammannati
    주요한 사학자이자 전기작가인 건축가 조르조 바사리의 조언에 따라 그를 로마로 불러들였다. 거기에서 그가 맡은 가장 중요한 일은 바사리 및 자코모 다 비뇰라와 함께 교황 율리우스의 별장인 빌라 줄리아(1551 착공)를 짓는 것이었다. 이 별장의 거친 석공 기법은 로마 내의 건축술에서는 보기 드문 것으로, 그의...
    출생 :
    1511. 6. 18, 피렌체 근처 세티냐노
    사망 :
    1592. 4. 22, 피렌체
    국적 :
    이탈리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가
  • 바로크 건축, 수페르가와 스투피니지
    수페르가는 미켈란젤로의 성 베드로 돔, 팔라디오의 빌라, 비뇰라의 일 제수 실내 벽체, 베르니니의 성 베드로 캄파닐레, 보로미니의 산카를로알라콰트로폰타네 실내 벽체, 코르토나의 분리형 기둥 등 여러 고전주의 선례를 하나로 종합했다(도 7-39, 7-40). 모두 산루카 아카데미 시절에 익힌 것들이었다. 과리니의...
  • 바로크 건축, 살로몽 드브로스 프랑스 바로크의 두 가지 유형
    양대 축인 왕궁과 교회에서 그 기초가 닦였다. 드브로스는 뒤세르소 가문이 외가여서 어려서부터 프랑스 르네상스 건축을 접하고 컸으며 이들을 통해 비뇰라의 건축도 접할 수 있었다. 드브로스의 건축은 이 둘을 합한 뒤 자신만의 창작을 더해 프랑스 고유의 바로크 유형을 제시한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로마에 유학...
  • 르네상스 건축, 브라만테와 성기 르네상스
    상징주의는 그만의 창작품이었다. 둘을 합하면 로마 고전주의를 새 시대에 맞게 재해석한 르네상스 고전주의가 완성된 것이다. 알베르티를 이어받아 정통 로마 고전주의의 족보를 확립했는데 이 족보는 미켈란젤로, 다비뇰라, 베르니니로 이어졌다. 이런 의미에서 그의 경향을 '울티마 마니에라(ultima maniera)'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