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바로크건축, 비뇰라와 로마 스쿨바로크건축의 문을 연 건축가는 자코모 바로지 다비뇰라(Giacomo Barozzi da Vignola, 1507~73)였다. 볼로냐에서 태어나 바티칸 소속 화가로 경력을 시작했으며 이 과정에서 건축도 접했다. 페루치와 안토니오 다상갈로 일 조반네의 일에 참여했으며 아카데미아 비트루비아나(Academia Vitruviana)에서 로마 유적을...
-
바로크건축, 자코모 델라포르타와 일 제수 입면집안에서 태어나 장식미술로 초창기 경력을 시작했으며 로마로 옮기면서 건축 일을 시작했다. 교황청에 발탁되면서 미켈란젤로와 비뇰라에게 건축을 배웠다. 로마를 근거지로 삼아 비뇰라 사후에 교황청의 주 건축가가 되는 등 16세기 후반부 로마 건축을 이끌었다. 시대 고민이나 창조성은 뛰어나지 않았으나 조각 솜씨...
-
바로크건축, 마데르노와 성 베드로카를로 마데르노(Carlo Maderno, 1556년경~1629)는 비뇰라와 자코모 델라포르타의 뒤를 이어 초기 바로크를 정착시켰다. 자코모 델라포르타에게 건축을 배웠는데 새로 창출한 내용은 없는 편이고 포르타가 일 제수에서 제시한 입면 모티브를 반복 사용하면서 더 다듬어 바로크 교회의 표준형으로 정착한 점이 중요하다...
-
르네상스 건축, 프랑스 르네상스 건축아직 종합적인 르네상스 고전주의를 운용할 단계에 못 이르렀다(도 6-81). 정착기에 들어와 비로소 독자적으로 르네상스를 운용할 수 있게 되었다. 비뇰라, 세를리오, 로소 피오렌티노, 프란체스코 프리마티치오 등 이탈리아 건축가들이 프랑스를 방문해서 르네상스를 직접 전파했다. 비트루비우스와 이탈리아 르네상스...
-
-
-
바로크 건축, 수페르가와 스투피니지수페르가는 미켈란젤로의 성 베드로 돔, 팔라디오의 빌라, 비뇰라의 일 제수 실내 벽체, 베르니니의 성 베드로 캄파닐레, 보로미니의 산카를로알라콰트로폰타네 실내 벽체, 코르토나의 분리형 기둥 등 여러 고전주의 선례를 하나로 종합했다(도 7-39, 7-40). 모두 산루카 아카데미 시절에 익힌 것들이었다. 과리니의...
-
바로크 건축, 살로몽 드브로스 프랑스 바로크의 두 가지 유형양대 축인 왕궁과 교회에서 그 기초가 닦였다. 드브로스는 뒤세르소 가문이 외가여서 어려서부터 프랑스 르네상스 건축을 접하고 컸으며 이들을 통해 비뇰라의 건축도 접할 수 있었다. 드브로스의 건축은 이 둘을 합한 뒤 자신만의 창작을 더해 프랑스 고유의 바로크 유형을 제시한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로마에 유학...
-
르네상스 건축, 브라만테와 성기 르네상스상징주의는 그만의 창작품이었다. 둘을 합하면 로마 고전주의를 새 시대에 맞게 재해석한 르네상스 고전주의가 완성된 것이다. 알베르티를 이어받아 정통 로마 고전주의의 족보를 확립했는데 이 족보는 미켈란젤로, 다비뇰라, 베르니니로 이어졌다. 이런 의미에서 그의 경향을 '울티마 마니에라(ultima maniera)'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