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비교문학 比較文學문학을 국제적 시각에서 또는 그 고유 영역을 넘어서 다른 인간 활동영역과의 관계를 통해서 바라보는 연구방법. 개설 비교문학은 크게 세 가지 관점에서 정의할 수 있다. 첫째는 비교문학을 국문학사의 일부로 보는 경우로, 한 국가의 문학이 다른 국가에 미친 영향이나 그 수수관계를 찾아 연구하는 학문을 뜻한다. ...
- 시대 :
- 현대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한국문학의비교문학적연구 韓國文學─比較文學的硏究내용 1972년 일지사에서 출간하였다. 이 책은 비교문학의 이론과 방법을 소개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 근대문학을 고찰한 저서이다. 저자는 기왕의 한국 문학 연구에서 국문학자들은 작품의 주해(註解)에 급급하고, 외국 문학 연구가들은 우리 문학의 고유성과 특이성을 망각하고 있음을 비판하면서, 이제는 좀 더...
- 시대 :
- 현대
- 저작자 :
- 김학동
- 창작/발표시기 :
- 1972년
- 성격 :
- 학술서
- 유형 :
- 문헌
- 간행/발행 :
- 일지사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
문학 文學소홀하게 취급되지 않을 수 없으며, 여러 갈래에 걸쳐서 나타난 변화를 밝힐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되기 어려웠다. 김동욱(金東旭)의 『국문학사』(1976)는 비교문학적 관점을 강조하고 문화사로서의 포괄성을 가지고자 애쓰는 한편, 시대구분의 문제에 대해서는 적극적인 관심을 보이지 않은 편이었다. 왕조 교체에...
- 유형 :
- 개념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문학연구원수행직무 문학이론, 문학사, 문예창작, 작가론, 비교문학, 운문, 산문, 소설, 평론, 희곡, 구비문학, 아동문학, 영상문학, 번역문학, 문학교육 등 다양한 문학연구 분야에 대해 연구한다. 전문연구분야에 따라 국문학(국문학사, 고전산문, 고전시가, 고전비평, 구비문학, 현대소설, 현대시, 현대희곡, 비교문학, 문학...
- 교육수준 :
- 16년 초과(대학원 이상)
- 숙련기간 :
- 1년 초과 ~ 2년 이하
- 작업강도 :
- 가벼운 작업
- 작업장소 :
- 실내
- 육체활동 :
- 언어력
- 직무기능(자료) :
- 종합
- 직무기능(사람) :
- 말하기-신호
- 직무기능(사물) :
- 정밀작업
- 고용직업분류 :
- [1101]인문과학 연구원
- 표준직업분류 :
- [2121]인문과학 연구원
- 표준산업분류 :
- [M702]인문 및 사회과학 연구개발업
- 조사연도 :
- 2012년
-
한국비교문학회 韓國比較文學會내용 1950년대 후반에 접어들면서 문학연구의 새로운 방법론으로서 비교문학에 대한 논의가 일기 시작하였다. 특히, 1957·1958년에는 국제펜클럽 한국본부 비교문학연구회 및 국어국문학회에서 연구발표회가 활발히 전개되고, 또 각 신문과 학술지에 비교문학 논문들이 발표되기도 하였다. 1959년 6월 비교문학 분야에...
- 시대 :
- 현대
- 설립 :
- 1959년 6월
- 성격 :
- 학술단체
- 유형 :
- 단체
- 설립자 :
- 이하윤(異河潤)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국제비교문학회 세계대회 國際比較文學會世界大會, International Co..비교문학은 세계 각국의 문학을 비교하여 문학 양식·사상·조류·영향을 연구하는 분야다. 국제비교문학회는 40여 개국 6천여 명이 가입한 단체로, 매년 총회를 열고 있다. 한국 회원은 50여 명 정도 된다. 국제비교문학회 세계대회는 1955년 이탈리아 베니스에서 출발한 이래 3년마다 한 번씩 세계 여러 나라에서...
-
-
소설 小說있었다. 이에 『금오신화』의 소설적인 의의를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금오신화』에서 ‘신화(新話)’라는 명명은 결코 우연한 것이 아니다. 물론, 비교문학적인 관점에서 밝혀지고 있듯이, 이 말은 구우의 『전등신화』의 신화 운운에서 그 영향을 받은 것이 분명하지만, 이 새로운 이야기라는 의미는 개화기...
- 유형 :
- 개념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문학사조 文學思潮문학은 언어예술이므로 각 국가의 국어와 관련되어 국민문학을 형성하지만, 특히 근대문학의 발전에는 국가 상호간의 교류와 영향 관계가 빈번하므로 문학사조도 비교문학(comparative literture)의 방법과 관련을 가지며, 문학 이외의 사상사나 철학사 등과도 관련성을 가지나 장르상의 경계선을 분명히 긋는다. 문학...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문학/현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