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 Treaties of Brest-Lito..
    벨라루스 브레스트리토프스크에서 동맹국들이 우크라이나 공화국(1918. 2. 9)과 소비에트 러시아(1918. 3. 3)를 상대로 체결한 평화조약.|조약으로 제1차 세계대전 동안 이들 양 진영 사이의 적대관계가 끝났다. 소비에트 정부가 1917년 11월 8일 요구했던 평화협상은 12월 22일 시작되었다. 소비에트 대표가 협상...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 (관련어 브레스트 리토프스크 조약) Treaty of Br..
    다른 뜻조약전역상자 1차대전 동부전선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은 1918년 3월 3일 소비에트 러시아의 볼셰비키 정권과 동맹국(독일 제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불가리아 왕국, 오스만 제국) 사이에 맺어진 평화조약으로, 이 조약의 결과 러시아는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이탈하고 동부전선이 마무리되었다. 독-러 단...
    도서 위키백과
  • 뇌이 조약 Treaty of Neuilly-sur-Seine, ヌイイ条約
    내에서 구성한 국가 또는 앞으로 구성할 여러 국가와 체결하는 여러 조약 또는 협정의 효력을 승인하고, 이들 여러 나라의 독립을 존중하며, 러시아의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 및 러시아 과격파 정부와 체결한 일체의 조약을 폐기할 것을 규정하였다. 또 불가리아는 전승국이 정한 바에 따라 오스트리아를 비롯하여...
    도서 위키백과
  • 내전과 전시공산주의
    공산주의자들은 국내 통신을 장악하고 외국의 간섭에 대한 국민적 저항정신을 배경으로 한 강점이 있었다. 승리를 거듭하는 동안 적군(赤軍)은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으로 상실했던 영토의 상당 부분을 재점령했다. 동맹국의 후원으로 독립이 수립된 우크라이나·조지아·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에서는 그곳 출신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좌파공산주의자 左派共産主義者, Left Communist
    1월 당 중앙위원회에서는 평화조약을 체결하기보다는 혁명 전쟁을 치르자는 쪽이 더 많은 표를 얻었다. 그러나 1918년 3월 제7차 당대회에서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이 승인되면서 그들은 국가최고경제위원회에서 그 기반을 잃고, 얼마 뒤 모스크바와 우랄 지역 조직에 대한 지배권도 잃었다. 6월말 소련 정부가 모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러시아의 10월혁명 볼셰비키 혁명
    정당과 무장세력은 진압되었고, 달력이 서양식으로 개정되었다. 한편으로 소비에트 정부는 독일 등의 동맹국측에 휴전을 제의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자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을 체결해 독일과의 전쟁을 끝냈다. 그러나 이 조약에 따라 발트 해 연안지방, 폴란드·우크라이나·핀란드·카프카스 지방을 독일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러시아 , 혁명
  • 브레스트 Brest
    그후 폴란드에 합병되었으며, 1795년 러시아의 영토가 되었다. 러시아령이 된 이후 1919~39년에 폴란드의 지배를 받기도 했다. 1918년 독일과 소련은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을 체결했다. 요새를 거점으로 1941년 독일군의 공격에 장기간 저항했던 이 도시는 우크라이나로 들어오는 철도의 요지이며 경공업이 이루어...
    위치 :
    벨라루스 브레스트 주, 부크 강 서부의 오른쪽 연안
    인구 :
    366,934명 (2023년 추계)
    면적 :
    72.9㎢
    대륙 :
    유럽
    국가 :
    벨라루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럽
  • 부하린 Nikolay Ivanovich Bukharin
    볼셰비키가 정권을 인수한 뒤에는 〈프라우다〉의 편집장으로 임명되었다. 1918년 레닌이 소비에트 러시아의 보존을 위하여 독일과의 휴전협정(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 체결을 고려하기 시작하자 부하린은 편집장직을 사퇴하고 좌익 반대세력을 규합, 세계대권을 유럽 전역의 공산주의 혁명으로 전환시켜야 한다고...
    출생 :
    1888. 10. 9(구력 9. 27), 러시아 모스크바
    사망 :
    1938. 3. 14, 모스크바
    국적 :
    러시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체르닌 Ottokar Graf Czernin (von und zu Chudenitz)
    헝가리 제국을 제1차 세계대전에서 재빠르게 빠져나오게 하려던 그의 계획은 독일의 반대와 동맹국 사이의 군사적·경제적 관계 때문에 실패했다.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1918. 2)에 따라 새로이 독립한 우크라이나에 영토를 할양하게 됨으로써 외무장관으로서의 그의 지위는 크게 흔들렸고,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출생 :
    1872. 9. 26,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보헤미아 디모쿠르
    사망 :
    1932. 4. 4, 빈
    국적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적색테러란 무엇인가? 러시아 혁명
    3월, 핀란드와 폴란드, 벨라루스, 우크레이나, 몰다비아,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그리고 리투아니아에 걸친 광대한 영토를 포기하는 데 서약한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은 러시아 입장에서는 수치에 가까웠다. 그동안 러시아에서는 의회 선거가 있었는데, 결과는 레닌에게 매우 불리했다. 703개 의석 가운데 공산당이...
  • Treaty of Brest-Litovsk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 ブレスト=リトフスク条約
    The Treaty of Brest-Litovsk was a peace treaty signed on 3 March 1918 between the new Bolshevik government of Soviet Russia and the Central Powers (Germany, Austria-Hungary, Bulgaria, and Ottoman Empire), that ended Russia's participation in World War I. The treaty was signed at Brest-Litovsk (si...
  • 맥스 호프만 호프만, Max Hoffmann
    참모장으로 임명되었다. 1917년 12월부터 1918년 3월까지 개최된 브레스트리토프스크 평화회담에서 독일군 고위사령부의 선임 대표로 참석한 호프만과 외무장관 리하르트 폰 퀼만은 독일과 우크라이나·러시아 사이의 조약체결을 시도했다. 볼셰비키정부가 조약 맺기를 꺼리는 태도를 보이자 1918년 2월 16일 호프만은...
    출생 :
    1869. 1. 25, 헤센(지금의 독일에 있음) 홈베르크안데어에프체
    사망 :
    1927. 7. 8, 독일 바트라이헨할
    국적 :
    독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