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노리개진주·금패(錦貝)·대모(玳瑁)·호박(琥珀) 등의 보패류(寶貝類), 색사(色絲)·주단(綢緞)·금은사 등이 사용된다. 형태에는 동자·박쥐·거북·나비·오리·붕어·매미·자라·해태 등의 동물형태와, 가지·고추·포도송이·목화송이·천도·연화·석류 등의 식물형태가 있다. 또한 호로병·주머니·종·표주박·북...
- 성격 :
- 복식, 장신구
- 유형 :
- 물품
- 용도 :
- 장신용
- 관련 의례 :
- 가례(嘉禮), 탄일(誕日)
- 분야 :
- 생활/의생활
-
정평군의 산업과 교통국영농장인 광포오리농장·선덕종축장·부평가금농장을 중심으로 오리·닭·돼지·소·토끼 등을 사육하며, 특히 광포오리가 유명하다. 이곳의 오리는 현대적...수출된다. 광포의 양어장에서는 백련어·회련어·초어·잉어·붕어 등의 민물고기를 양식한다. 도자기공장에서 생산된 그릇류와 가위는 이 지역의 특산물로...
-
어구 漁具잡이, 오리 패긍이, 누티 모래잡이, 돌뭉이, 농갱이 낚시질, 끌 반두질, 보 그물질, 투백이, 수경 작살질, 야전, 살막이, 탄지매기, 돌고기 보쌈, 활 주낙, 활낚시, 고기 쏘기, 호무 굴경이, 마자탑, 토리매, 골 토리매, 쫓이, 부치, 뱀장어잡이 등이다. 근대의 우리 나라의 어구는 강천어구와 바다어구로 크게 나눌 수...
- 유형 :
- 개념
- 분야 :
- 경제·산업/산업
-
공주 탄천 장승제 公州 灘川 장승祭天元逐鬼大將軍)이고, 신부장승은 족두리를 쓴 서방지원축귀대장군(西方地元逐鬼大將軍)이다. 장승 옆에는 오릿대가 높이 세워져 있는데, 오리의 부리에는 나무를 깎아서 만든 붕어를 물려놓았다. 이들 장승과 오릿대는 동 · 서편 마을입구에 각각 한 짝씩 세워져 있지만, 오리는 모두 북쪽을 향하여 있다. 장승제는...
- 유형 :
- 의례·행사
- 분야 :
- 종교·철학/민간신앙
-
-
증산군의 산업과 문화약밤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지역의 특산물이다. 그밖에 소·돼지·토끼·오리·닭 등의 가축을 기르며, 이압·좌영 저수지 주변에서는 오리사육이 활발하다...어획하며, 대합·굴·조개 등을 양식하고 있다. 또한 대성·칠동 양어장에서는 붕어·메기·가물치 등의 민물고기를 기르고 있다. 현대적 시설을 갖춘 증산...
-
-
민물 가든있다. 통로 방향으로 더 나가 투명 유리로 된 여닫이문을 밀면 실외 테이블 2개가 있고, 주차장이 있다. 메뉴로는 자라 용봉탕, 잉어찜, 붕어찜, 메기 매운탕, 붕어 매운탕, 오리 약탕 등이 있다. [현황] 2013년 현재 대표 내외와 서빙 및 조리를 담당하는 2명의 종업원이 운영하고 있다. 영업시간은 오전 9시부터 오후...
- 분야 :
- 생활·민속
- 지역 :
- 부산광역시 강서구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양생음식 養生飮食거위·오리·매·노루·사슴·표범·곰의 발 등이 양생음식으로 수록되어 있다. ≪만기요람 萬機要覽≫에는 전생서(典牲署)에서 황우·흑우·양·염소·돼지를 항상 기르고 있다고 하였다. ≪도문대작≫에는 ‘곰의 발’ 요리는 준양(准陽)·의주(義州)·희천(熙川)에서 잘 하고, ‘사슴의 혀(鹿舌 녹설)’는 준양 사람...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생활/식생활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