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분산형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distributed d..데이터나 컴퓨터 시스템 등을 필요에 따라 지리적으로 분산배치하고, 이것을 통신회선 등으로 연결하여 처리하는 데이터 시스템. 물리적으로 분산시키지만 하나의 통합된 데이터베이스로 운용할 수 있으며 여러 가지 장점이 있다. 첫째, 통신비용이 감소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둘째, 기존의 ...
-
분산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 distributed d..distributed database)에서는 데이터 모델 등의 다른 시스템도 들어갈 수 있으므로, 곤란한 문제가 많이 남아 있다. 광역분산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global distributed database system)은 주로 대형 범용기에 의한 것인데, 국소 분산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local distributed data base sys-tem)에서는 미니컴퓨터...
- 분야 :
- 정보통신, 데이터 베이스
-
도메인 네임 시스템 DNS, domain name system주 컴퓨터의 도메인 네임(domain name)을 ‘164.124.101.2’와 같은 IP 주소(Internet Protocol address)로 변환하고 라우팅 정보를 제공하는 분산형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TCP/IP 네트워크에서는 호스트 컴퓨터를 식별하기 위해 도메인(영역이라는 의미)이라는 논리적 집단 또는 단위를 계층적으로 설정, 이 논리적...
-
분산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分散-, distribut..것. 지리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데이터에 대해 사용자는 어떤 데이터가 어느 위치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알 필요 없이 단지 데이터의 논리적 명칭만 가지고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 분산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 구성되기 위해서는 분산 처리기, 통신망, 분산 데이터베이스, 분산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이 있어야 한다.
-
분산 병행처리(데이터 베이스의) distributed concu..분산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에 대한 병행처리. 집중 데이터 베이스에 비해서 다음과 같은 문제를 생각할 필요가 있다. ① 병행처리 제어에 관한 정보 전송량의 감소, ② 시스템 전체의 동기, ③ 데이터의 복사의 존재. ① 의 존재에 의해 일반적으로 병행처리 단위로서 취급되는 데이터는 집중형보다 크게 되는 경우가...
- 분야 :
- 데이터 베이스
-
분산 데이터 베이스의 자원배치 resource allocatio..자원 배치를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예를 들면 정수계획법에 의한 정식화가 있다(자원분배문제 참고). 데이터 베이스가 사용되는 쪽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변화하는 경우가 많고, 상황에 따라서 자원배치를 변경하는 것이 중요하다. 〈참조어〉 분산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 분산질문처리, 분산 병행처리(데이터 베이스...
- 분야 :
- 데이터 베이스
-
분산데이터베이스 分散-, distributed database통해 물리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데이터들의 모임을 뜻한다. 네트워크 상의 여러 노드에 분산되어 있으나(물리적 분산) 단일의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으로 제어(논리적 집중)되는 데이터베이스이기 때문에, 데이터를 분산 배치하므로 장애에 대한 대비에 강하고 다수의 이용자가 대규모의 데이터베이스를 낮은 비용...
-
분산 데이터베이스 分散-, distributed database베이스의 장점은 데이터를 분산 배치하므로 장애에 대한 대비에 강하고 다수의 이용자가 대규모의 데이터베이스를 낮은 비용으로 공유할 수 있는 점이다. 최근의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에는 분산 데이터베이스 간의 정합성을 확보하기 위한 2상(相) 커미트먼트 제어(2phase commitment control) 기능을 구비한 것이...
-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 data base system가격비가 향상해 감과 동시에 이와 같은 시스템을 복수의 컴퓨터상에 실현 하는 방향이 두드러진다. 이것을 분산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이라고 한다.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에 특유한 기능으로서, 데이터 베이스의 내용이 언제나 일정하게 되어 있는 것을 보장하는 일관성 제어기능, 복수의 이용자에 의한 동시조작을...
- 분야 :
- 패턴 정보처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