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열반 涅槃
    일에 대한 미혹은 없지만 삼계 밖의 무명번뇌가 남아 있고, 둘째는 삼계 안의 유루업(有漏業)은 없지만 삼계 밖의 무루업은 남아 있으며, 셋째는 삼계 안의 분단생사(分段生死)는 없지만 삼계 밖의 변역생사(變易生死)는 있다고 주장한 것이다. 이를 삼여(三餘)라 하여 번뇌여(煩惱餘)·업여(業餘)·과여(果餘)라고 한다...
    유형 :
    개념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이호철 李浩哲
    원산고등학교에 진학했다. 1950년 한국전쟁에 참전하여 포로로 잡히는 등 생사의 고통을 겪다가 그해 12월 원산에서 단신 월남하였다. 그 뒤 부산과 서울에서...닳아지는 살들」로 동인문학상을 수상하면서 분단문학 작가로서의 기반을 다졌고, 이후 분단 문제를 다룬 작품을 지속적으로 발표하였다. 이 같은 작품 세계...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 현대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문학/현대문학
  • 이산가족 離散家族
    정부는 최근 설립된 이산가족면회소와 제정된 법률을 근거로 하여 이산가족의 생사 확인, 서신 왕래, 상봉 지원, 개별 방문 등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태도를 가져야 한다. 이산가족 문제는 최소주의적 범주화가 아니라, 분단과 전쟁이 양산한 광의의 이산가족 개념과 유형에 주목해야 한다. 이산가족 문제...
    시대 :
    현대
    유형 :
    개념
    분야 :
    사회/가족
  • 이산가족의 날
    정의 남북 이산가족의 생사확인 및 교류를 촉진하고 이산가족 문제에 대한 관심을 높이기 위하여 제정한 기념일. 매년 음력 8월 13일이다. 제정 목적 '이산가족의 날'은 남북 분단으로 흩어져 서로 소식을 모르는 남북 이산가족의 생사를 확인하고 서로 만날 수 있도록 교류를 촉진하며 이산가족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분류 :
    기념일, 비공휴일
    시행일 :
    2023년 3월 28일
    날짜 :
    매년 음력 8월 13일(추석 전전날)
    제정처 :
    통일부
  • 이산가족 찾기 생방송 진행
    KBS 1TV에서 특별기획 <누가 이 사람을 모르시나요>가 방송됐다. 분단과 6 ・ 25전쟁을 거치는 동안 헤어져 30년 넘게 생사조차 모르던 이산가족을 찾아 주는 생방송 프로그램이었다. 이산가족 찾기 생방송은 폭발적인 반응을 불러일으킨다. 방방곡곡의 이산가족들이 KBS로 애끓는 사연을 보내왔고, KBS 방송국 담벼락...
    시대 :
    1983년 6월 30일
    국가/대륙 :
    한국
  • 남북이산가족상봉 南北離散家族相逢
    지역과 방문단 규모가 제한되었고 추진과정에서 다소 미흡한 점이 있었지만 분단 40년 만에 처음으로 이산가족이 직접 남북한을 왕래하면서 가족·친지들과 만난...합의했으며, ‘남북 적십자회담’을 통해 이산가족방문단 교환, 생사·주소 확인, 서신교환 등 시범사업을 진행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2000년 8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남북관계
  • 7 · 4 남북 공동성명 국토 분단 이후 최초로 남과 북이 합의하다
    남북 적십자사의 연락원들이 판문점에서 만나 서로 신임장을 교환했다. 분단 이후 최초의 남북 대화가 성사되는 순간이었다. 한 달 뒤인 9월 20일 판문점에서의...1972년 8월 29일 평양에서 열린 제1차 본회담을 통해 남북 적십자사는 이산가족의 주소와 생사 확인, 자유로운 방문과 상봉 및 서신 거래 실시, 자유 의사...
    시대 :
    1972년
  • 남북적십자회담 南北赤十字會談
    생사확인, 자유로운 방문과 상봉, 자유로운 서신왕래, 자유 의사에 의한 재결합 문제와 기타 인도적으로 해결할 문제 등 5개항의 의제에 대해 합의했다. 그러나 1972년 제3차 회담부터 1973년 제7차 회담까지 북한측이 본회담의 선결조건으로 내세운 '반공입법들의 폐지와 반공기관 및 단체들의 해산' 문제를...
  • 남북이산가족고향방문 南北離散家族故鄕訪問
    2월부터는 민간 차원의 이산가족교류를 보다 활성화하기 위해 지원금을 생사확인 100만원, 상봉 300만원, 교류지속 50만원으로 인상하였다. 이산가족들의 북한...영상으로 남겨, 향후 북한 유가족들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분단의 역사적·교육적 기록으로도 보존하자는 취지에서 2005년에 4,000여 편의 영상...
    시대 :
    현대
    유형 :
    사건
    분야 :
    정치·법제/정치
  • 파주 임진각(평화누리공원)
    매년 설날과 추석 때나 가족이 보고 싶을 때에 고향과 조금이라도 가까운 이곳에서 이북에 계신 부모, 조부모에게 배례하는 장소이다. 소식이 끊겨 생사도 불명확한 가족을 애타게 찾는 이산가족의 아픔이 서려있는 곳이다. 이곳은 분단의 아픔을 되새기며 통일을 염원하는 통일안보관광지로 매년 수백만명의 내·외국인...
    위치 :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임진각로 177
  • 남북우편물교환 南北郵便物交換
    이루어졌다. 남북한은 2001년 3월 15일 오후 2시부터 45분여 동안 판문점에서 분단 이후 처음으로 이산가족들의 사연을 담은 서신 600여 통(남북한 각 300통)을...2001년 1월 29일부터 31일까지 금강산에서 열린 제3차 적십자회담에서 생사 주소가 확인된 300여명의 이산가족에 대해 서신교환을 하기로 남북한이 합의...
    시대 :
    현대/대한민국
    유형 :
    사건
    분야 :
    정치·법제/정치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