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불교 佛敎지방을 다니면서 여러 계층의 사람들을 교화할 목적으로 말한 교설이다. 그러나 부처가 탄생한 때인 서기전 5세기부터 현재까지 2500년 동안 불교는 원시불교 · 부파불교(部派佛敎) · 소승(小乘) 및 대승불교 등으로 아시아 여러 나라에서 다양하게 발전하여 왔고, 경전도 여러 가지가 새롭게 편찬되어 왔다. 따라서...
- 유형 :
- 개념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부파불교의 기원과 역사이것을 제2차 결집이라 부른다. 실론의 전승에 의하면, 아소카 왕 때 제3차 결집이 있었다고 하나 오늘날 많은 학자들은 사실로 받아들이지 않고 있다. 부파불교의 전개와 사상 실론의 〈도사〉에서는 근본분열이 있은 후 100년 동안 지말분열(支末分裂)이 일어나 대중부·상좌부로부터 18부파가 생겨 도합 20부파가...
-
-
Early Buddhist schools 부파불교, 部派仏教The early Buddhist schools are those schools into which the Buddhist monastic saṅgha initially split, due originally to differences in vinaya and later also due to doctrinal differences and geographical separation of groups of monks.The original saṅgha split into the first early schools (generall...출처 영어 위키백과
-
원시·부파불교의 공공이 무엇보다도 먼저 부정을 의미한다는 점은 이 말의 일반적인 용법으로 알 수 있는데, 원시불교경전에서는 공이 단지 비존재를 가리키는 경우가 많고, 부파불교시대 아비달마에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므로 '공', '공성'이라는 용어, 혹은 그것을 기본축으로 삼아 나중에 대승불교에서 발전된 공사상은 원시불교...
-
근본불교 초기불교, 根本佛敎퍼져나간 초기형태의 불교를 지칭한다는 점에서 근본불교와 부파불교를 일부 포함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한국 불교에서는 붓다의 본래적 가르침이 부파불교(Sectarian Buddhism) 시대에 왜곡되어 소승불교(Hīnayāna Buddhism)로 전락했으며, 붓다의 근원적인 가르침은 대승불교 시대에 이르러 다시 살아났다고 믿고...
- 유형 :
- 개념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
아비달마 아비달마불교, 阿毘達磨불교학 형성의 근간을 이루며, 후대에 발달된 중관학이나 유식학도 아비달마의 바탕 위에서 다르마를 다른 관점과 입장에서 재해석한 것이다. 그러므로 부파불교의 아비달마를 무시하고선 중관이나 유식에 대한 올바른 이해도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대승의 교학 체계인 유식학은 부파, 특히 유부의 아비달마를...
- 유형 :
- 개념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