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부조 浮彫, relief
    형상이 돌출된 형태에 따라 평부조, 고부조, 반부조로 분류된다. 평부조는 형상이 바탕에서 약간만 돌출되어 있으며 윤곽선 밖의 면을 거의 깎아내지 않는 것이고, 고부조는 형상이 바탕에서 반 이상 돌출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반부조는 대략 고부조와 평부조의 중간에 해당된다. 부조의 변형으로 고대 이집트 조각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미술
  • 부조 Relief, レリーフ
    다른 뜻 부조(浮彫) 또는 돋을새김은 평면 재료 위에 높낮이를 만들어 표현하는 조각 기법이다. 돌이나 나무 등의 평면 재료를 깎거나 파고, 붙이는 방법으로 돋을새김을 하는 미술 표현 형식이다. 평면 회화와 입체 조각의 경계에 있는 조형 미술로, 예술 형성이 가장 오래된 형태에 속한다. 한자인 뜰 부(浮), 새길 조...
    도서 위키백과
  • 부조 (경마) Riding aids, 扶助
    출처 필요 부조(扶助, Aid)란 기수가 말에게 기수의 의지를 전달하고 그 의지에 따라서 운동시키는 신호 수단이다. 즉 말에게 의사전달이나 지시를 내리기 위하여 기승자가 고삐, 다리 및 중심 이전 등의 조작으로 기승자의 의사를 말에 감지시켜 복종케 하는 신호나 수단을 말한다. 기승자의 다리, 손(주먹), 음성...
    도서 위키백과
  • 공공부조사업 사회부조(Sozialhilfe), 公共扶助事業
    사회국가 원리는 사회적 정의를 이념으로 하는 헌법의 기본 원리인데, 사회국가 원리는 사회적 기본권과 사회적 시장경제 질서를 통해 실현된다. 공공부조는 사회적 기본권인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제34조 제1항, 제2항, 제5항)와 보건의 권리(헌법 제35조 제3항) 등에 근거한 제도이며, 빈곤층에 대한 최소한도의...
    유형 :
    제도/법령·제도
    분야 :
    사회/사회구조
  • 상호부조 相互扶助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홍익인간(弘益人間)’의 건국이념에도 잘 나타나 있듯이, 뜻하지 않던 사고나 재난을 당했을 때 공동의 노력으로 이를 극복하는 상호부조의 관행이 국가적으로 장려되고, 또한 사회적으로 널리 시행되어 왔다. 예로부터 우리 조상들의 삶의 터전이었던 촌락사회는 일상생활 속에서 상호부조의...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사회/촌락
  • 부조예군묘 정백동 1호무덤, 夫租薉君墓
    발굴경위 및 결과 부조예군묘는 평양직할시 낙랑구역 정백동에서 발굴 조사된 정백동 1호무덤을 말한다. 일제강점기에 조사된 대동강면 1호무덤, 혹은 정백동 1호무덤과는 전혀 다른 고분으로 광복 직후인 1958년 11월에 지역민이 땅을 파다가 발견하여 발굴 조사한 고분이다. 발굴 결과 세형동검(細形銅劍)을 비롯하여...
    시대 :
    고대/초기국가
    유형 :
    유적/고인돌·고분·능묘
    분야 :
    역사/선사문화
  • 사대부조병리설 四大不調病理說
    외인병(外因病)이고, 또 하나는 내인병(內因病)이다. 외는 한열(寒熱)·기갈(飢渴)·병인(兵刃)·도장(刀杖)·추락(墜落)·추압(推壓) 등이고, 내는 음식부조로서 404병(病)의 내병이 일어나는데, 그 내병은 지·수·화·풍의 사대부조에 의한 것이라 하였다. 당나라 의정(義淨)의 선인 ≪남해기귀내법전 南海奇歸內法傳...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과학/의약학
  • 민전 평민전, 民田
    군인·노비 등의 소유지도 민전에 포함되었다. 그리하여 평민전(平民田)·민소경전(民所耕田)·누대소경전(累代所耕田)·세업전(世業田)·조업전(祖業田)·부조전(父祖田) 등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이러한 의미에서 볼 때, 민전은 국·공유지로서의 공전(公田)이나 관전(官田)에 대칭되는 개념이다. 내용 및 변천 민전...
    시대 :
    고려
    성격 :
    토지제도, 경제제도
    유형 :
    제도
    시행일 :
    고려시대
    폐지일 :
    조선시대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포로 트라야노 멋진 부조가 돋보이는 트라얀의 기둥, Foro Traiano
    트라얀 기둥에 새긴 조각 내용은 트라이아누스 황제가 수행한 다치아(Dacia, 현재의 루마니아)와의 전쟁, 즉 101~102년과 105~107년 두 번에 걸친 전쟁의 기록을 부조로 묘사한 것으로 113년에 만들었으나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는 탑이다. 높이가 약 40m로 17개의 돌기둥을 올렸다. 꼭대기에는 원래 트라이아누스의...
    위치 :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 건물을 정면으로 바라보고 왼편.
    소재지 :
    via IV Novembre, 94
    요금 :
    8.50유로(Mercati di Traiano+Museo dei Fori Imperiali)
    이용 시간 :
    연중 무휴
  • 고상현묘 부조장인묘, 高常賢墓
    개설 ‘부조장인묘(夫租長印墓)’로도 불린다. 낙랑토성 주변에 산재한 2,000여 기의 고분 중 100여 기를 발굴하여 이미 조사된 순서에 의해 고분번호를 붙여나갔는데, 고상현묘는 정백동 제2호분으로서, 정백동 제1호분인 부조예군묘(夫租薉君墓)에서 동쪽으로 약 100m 떨어져 있다. 이 유적은 1961년에 조사되었다...
    시대 :
    고대/삼국
    건립시기 :
    초기철기시대
    성격 :
    덧널무덤, 목곽묘
    유형 :
    유적
    면적 :
    구덩이(3.4m×3.1m, 깊이 1.5m), 덧널(2.8m,×2.5m), 벽높이 0.56m
    소재지 :
    평양특별시 낙랑구역(옛 평안남도 평양시 정백동)
    분야 :
    역사/선사문화
  • 사회보장 社會保障, social security
    주로 소득이 중단 또는 감소되거나 예외적 지출을 필요로 할 때 생활비를 보조하는 형태로 이루어지지만, 의료·재활 사업이나 법률적인 지원 등 현금 이외의 서비스 지급을 포함하기도 한다. 사회보장의 정의는 나라마다 달라서 영국처럼 법적인 현금 급부만으로 제한하거나 미국처럼 연방의 사회보험제도(즉 OASDI)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사회
  • 구눙 까위 사원 탑 모양의 부조가 있는 사원, Pura Gunung Kawi
    세기에 세워졌다고 알려진 고대 사원으로, 우붓의 북동쪽 파크리산(Pakrisan) 강 근처에 위치해 있다. 이 사원의 특징은 암벽에 새겨진 7m 높이의 탑 모양의 부조이다. 일반적인 발리 사원의 탑들이 돌을 쌓아 올린 탑이라면 구눙 까위는 10m 높이의 절벽면에 탑을 새겼다는 점에서 특이하다. 이 조각물은 우다야나...
    위치 :
    우붓 왕궁에서 뜨갈랄랑 방향으로 가다가 띠르따 로드로 진입(약 30분 소요, 5km). 띠르따 로드에서 땀빡시링 로드로 진입 후, 왼편에 있는 바유 브라따 로드를 따라 도로 끝까지 직진
    소재지 :
    Pakrisan River, Tampaksiring
    가격 :
    Rp15,000
    이용 시간 :
    08:00~18:00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05건

인도네시아 보도부두르 사원 부조
도멘 루 페레 에 피스, 부조 프리미에 크뤼 레 프티 부조
독립문 부조
부조 조형물
천인 부조상
봉석주부조묘
김수온부조묘
김수온부조묘
아마라바티의 불전 부조
'죽어가는 사자' 부조
샬마네세르 왕의 부조
아마라바티의 불전부조
노예 부부의 부조
노예 부부의 부조
노예 부부의 부조
종친부조방 현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