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부리고래 beaked whale
    이빨고래아목의 한 과인 주둥이고래과 또는 병코고래과에 속하는 중간 크기의 고래류. 식성은 육식이고, 오징어를 주 먹이로 삼는다. 크기는 3.5~12.8m 정도이고, 무게는 1,000~11,000kg 정도이다. 임신기간은 510일 정도이다.|개요 포유강 이빨고래아목 부리고래과에 속하는 척추동물. 크기는 약 3.5~12.8m, 무게는 ...
    분류 :
    척추동물 > 포유강 > 이빨고래아목 > 부리고래과
    먹이 :
    오징어
    크기 :
    약 3.5m ~ 12.8m
    무게 :
    약 1000kg ~ 11000kg
    식성 :
    육식
    임신기간 :
    약 510일
  • 롱맨부리고래 Tropical bottlenose whale, タ..
    생물 분류 롱맨부리고래는 롱맨부리고래속(Indopacetus)에 속하는 고래이다. 이제는 그 자리를 부채이빨부리고래(스페이드이빨고래)가 차지하고 있다. 2010년까지, 10여 곳에서 65번 이상 목격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래류의 종 목록 Longman's Beaked Whale Hawaiian Stock. Revised 3/15/05. Available: (Hawaii)/po...
    도서 위키백과
  • 제르베부리고래 Gervais's beaked whale, ヒガシ..
    이빨부리고래속에 속하는 고래의 일종이다. 유럽부리고래로도 불린다. 제르베부리고래는 북아메리카 해안에 자주 좌초하는 이빨부리고래이다. 남아메리카와 아프리카에 좌초하기도 한다. 고래류의 종 목록 참고 자료 시작 Encyclopedia of Marine Mammals. Edited by William F. Perrin, Bernd Wursig, and J.G.M...
    도서 위키백과
  • 이빨부리고래 Mesoplodon, オウギハクジラ属
    생물 분류 이빨부리고래속(Mesoplodon)은 부리고래과에 속하는 고래 속의 하나이다. 가장 많은 종을 포함하고 있는 고래 속이다. 두 종은 비교적 최근의 1991년(피그미부리고래)과 2002년(페린부리고래)에 기술되었으며, 해양 생물학자들은 미래에 더 많은 종들이 발견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헥토르부리고래...
    도서 위키백과
  • 꼬마부리고래 Pygmy beaked whale, ピグミーオウギハ..
    가장 최근에 발견된 고래의 일종이다. 반돌레로부리고래, 페루부리고래, 작은부리고래 등으로도 불린다. 초기 분류 전에 Mesoplodon sp. A로 명명된 미확인 부리고래가 최소 20여 마리가 있었으며, 이제는 그 고래들이 이 종의 이명으로 믿어진다. 이 종은 모식 표본인 몸길이 3.7m의 성숙한 수컷 고래를 포함하여...
    도서 위키백과
  • 데라니야갈라부리고래 Deraniyagala's beaked wh..
    저널 인용 데라냐갈라부리고래는 한때 은행이빨부리고래의 이명으로 알려졌지만, 여러 연구를 통해 유전적으로 별도의 종이라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모든 부리고래와 마찬가지로 데라냐갈라부리고래도 표류하다가 발견된 7마리의 개체만이 알려져 있다. 표류된 상태로 스리랑카에서 처음 발견되었지만, 1965년 무어...
    도서 위키백과
  • 트루부리고래 True's beaked whale, アカボウモドキ
    생물 분류 트루부리고래(Mesoplodon mirus)는 부리고래과 이빨부리고래속에 속하는 보통 크기의 고래이다. 이 고래의 이름은 미국국립박물관(현재의 스미스소미언박물관) 관장이었던 트루(Frederick W. True)의 이름을 따서 지었다. 열대 지방을 제외한 대서양과 인도양에 서식하는 2개의 개체군이 존재하며, 이들을...
    도서 위키백과
  • 부리고래 기름고래
    형태 부리고래류 중 가장 크다. 주둥이는 길고 뚜렷한 관 모양이며, 머리 앞은 둥글다. 등지느러미는 작지만 뚜렷한 삼각형으로, 몸체 후방에 위치하고 끝은 둥글다. 몸 색깔은 검은빛을 띤 다갈색으로 등 옆면 앞 부위에 흰색의 할퀸 상처 자국과 무늬가 있다. 아래턱의 앞 부위에 2쌍의 이빨이 있다. 성숙한 종은 위턱...
    분류 :
    포유류 > 고래목 > 부리고래과
    먹이 :
    심해성 ・ 저서성 어류, 두족류, 갑각류
    크기 :
    전체 길이 암컷 12.8m, 수컷 11.9m. 몸무게 12t. 태어날 때의 전체 길이 4.5m
    무게 :
    최대 12t
    학명 :
    Berardius bairdii
    분포지역 :
    북태평양, 동해, 오호츠크 해, 베링 해의 깊은 대양
  • 큰이빨부리고래 Stejneger's beaked whale, オ..
    생물 분류 큰이빨부리고래(Mesoplodon stejnegeri)는 부리고래과 이빨부리고래속에 속하는 거의 알려지지 않은 부리고래의 일종이다. 베링해부리고래 또는 사부르이빨고래로도 불린다. 북태평양 북부 지역에 서식한다. 1883년 레온하르트 스테츠네거(Leonhard Hess Stejneger)가 베링섬 해안에서 훼손된 두개골 모식...
    도서 위키백과
  • 은행이빨부리고래 Ginkgo-toothed beaked whal..
    생물 분류 은행이빨부리고래(Mesoplodon ginkgodens)는 부리고래과 이빨부리고래속에 속하는 고래의 일종이다. 은행이빨부리고래하는 이름은 특이한 형태의 두 개의 이빨때문에 지어졌다. 고래류의 종 목록 참고 자료 시작 Encyclopedia of Marine Mammals. Edited by William F. Perrin, Bernd Wursig, and J.G.M...
    도서 위키백과
  • 허브부리고래 Hubbs' beaked whale, ハッブスオウギ..
    Mesoplodon carlhubbsi)는 부리고래과 이빨부리고래속에 속하는 고래의 일종이다.MSW3 Cetacea 어류학자 허브(Carl Hubbs)가 처음 발견했을 당시에는 앤드류부리고래의 일종으로 생각했다. 그러나 신종으로 등록되면서 허브의 이름을 따서 명명하였다. 고래류의 종 목록 참고 자료 시작 Encyclopedia of Marine Mammals...
    도서 위키백과
  • 페린부리고래 Perrin's beaked whale, ペリンオウ..
    생물 분류 페린부리고래(Perrin's beaked whale, Mesoplodon perrini)는 가장 최근에 기술된 이빨부리고래이다. 1975년 캘리포니아주 해안에 좌초한 고래로부터 2개의 표본을 처음 발견했으며, 1978년과 1979년에 2점 그리고 1997년 9월에 마지막으로 수집했다. 가장 마지막에 수집한 표본은 퀴비에부리고래의 새끼로...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5건

부리고래
부리고래
큰부리고래
은행이빨부리고래
큰이빨부리고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