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볼타어군 Voltaic languages
    니제르콩고어족에 속하는 한 어군. Gur라고도 함.|가나 북부, 코트디부아르(상아해안) 동북부, 부르키나파소(옛날의 어퍼볼타)의 대부분 지역, 나이저 강과 부르키나파소와 말리의 국경선 사이에 있는 말리의 일부 지역은 물론이고 토고 북부, 베냉(옛날의 다호메)과 인접한 일부 지역에서 사용하고 있다. 부르키나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볼타콩고어군 Volta–Congo languages, 沃尔特-刚..
    볼타콩고어군은 니제르콩고어족의 대표적인 하위 어군이다. 특히 이 어군의 베누에콩고어군에는 무수한 언어들이 속해 있는 반투어군이 속해 있다. 사바나어군 (구르어군 + 아다마와어군) 베누에콩고어군 볼타니제르어군 콰어군 (단계통군이 아닐 수 있음) 고립어: 팔리어 (구 아다마와어군 소속), 음브레어, 우칸어...
    도서 위키백과
  • Volta–Congo languages 볼타콩고어군
    In the classification of African languages, Volta–Congo is a hypothetical major branch of the Niger–Congo family.Comparative linguistic research by John M. Stewart in the sixties and seventies helped establish the genetic unity of Volta–Congo and shed light on its internal structure, but the...
  • 구르어군 Gur languages
    만한 예외이다. 구르어군의 성조 체계는 상당히 다양한데 대부분의 구르 언어는 2성조 다운스텝(downstep) 체계 모형을 따르는 것으로 설명되나 오티-볼타어군의 언어와 일부 다른 언어들은 3가지의 음소적 성조를 갖는다. 지기스문트 빌헬름 쾰레(Sigismund Wilhelm Koelle)는 1854년 Polyglotta Africana에서 처음으로...
    도서 위키백과
  • 니제르콩고어족 Niger-Congo languages
    속한다. 말링케어와 거기에 딸린 여러 방언은 말리 서부를 중심으로 한 지역에서 쓰며 만데어군에 속한다. 모시어는 부르키나파소(옛날의 어퍼볼타)에서 주로 쓰며 볼타어군에 속한다. 요루바 방언, 이그보 방언, 아칸 방언은 나이지리아·가나·코트디부아르에서 주로 쓰며 크와어군에 속한다. 르완다어는 르완다·콩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 대서양콩고어파 Atlantic–Congo languages, 大西洋・コンゴ諸語
    만데어파, 도곤어파, 이조어파, 카틀라어, 라샤드어를 제외한 니제르콩고어족의 나머지 모든 언어를 포함한다. 대서양콩고어파에서 가장 크고 대표적인 분파는 볼타콩고어군이다. 글로톨로그는 니제르콩고어족을 어족으로 취급하지 않으며 대서양콩고어족, 만데어족, 도곤어족, 이조어족 따위를 독립된 어족으로 본다...
    도서 위키백과
  • 콰어군 Kwa languages
    콰어군(Kwa)은 볼타콩고어군의 가설적 하위 어군으로, 코트디부아르, 가나, 토고에 걸쳐 분포하는 약 50개의 언어들로 이루어진다. 1895년 고틀로프 크라우제(Gottlob Krause)가 아칸족의 명명법을 비롯하여 많은 소속 언어에서 공통되는 "Kwa"(사람)이라는 어휘에서 따서 이름 붙였다. 주요 언어로 에웨어, 아칸어...
    도서 위키백과
  • 베누에콩고어군 Benue–Congo languages, 贝努埃-刚果语支
    베누에콩고어군은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전역에 분포하는 볼타콩고어군의 주요 하위 분파이다. 반토이드크로스어군 크로스강어군 맘빌라어군어군? 다카어군? 티카르어? 남반토이드어군 중앙나이지리아어군 혹은 플래토이드어군 주쿠노이드어군 카인지어군 고원어군 반토이드어군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도서 위키백과
  • 아프리카 제어 African languages
    때는 만데어군과 나머지 5개 어군으로 나누는 것이 기본이다. 부르키나파소(옛날의 어퍼볼타)와 이웃 나라들의 일부 지역에서 사용하는 79개 언어는 볼타 하위어군(구르어군)이라고 하며, 이 가운데 모시어가 가장 중요한 언어이다. 4번째 하위어군인 크와어군에는 가어·요루바어·이그보어를 비롯하여 70여 개 언어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화 일반
  • 부르키나파소의 국민
    해당한다. 공식 언어는 프랑스어이고, 토착어인 볼타어와 모레어가 널리 사용된다. 특히 볼타어는 전체 인구의 약 절반을 차지하는 모시족이 사용하는 볼타어군의 모레어는 부르키나파소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언어이다. 종교로는 인구의 60% 정도가 이슬람교이며, 로마 가톨릭이 약 20%, 토속신앙이 15%으로 주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프리카
  • 니제르콩고어족 Niger–Congo languages, ニジェール・コンゴ語族
    유효한 분기군이 아니므로 '제어'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세네감비아어군: 세네갈의 월로프어, 사헬 지대에 걸친 풀라어 등 멜어군 림바어 골라어 수아어 볼타콩고어군볼타어군 크루어군: 서아프리카의 크루인이 사용, 베테어, 냐봐어, 디다어 등 아다마와우방기어군: 아다마와어군: 아다마와고원에 산재한 100여 개의...
    도서 위키백과
  • 말리의 문화와 역사
    흑인 국가 사이에 자리한 말리는 수세기 동안 서부 아프리카의 문화적 교차로였으며 독특한 수단 문화를 만들어냈다. 말링케족과 송가이족의 음악과 춤, 밤바라족과 볼타어군(語群)에 속하는 부족의 목각예술, 나이저 강 유역의 건축물, 만딩고족의 장신구 등은 주목할 만하다. 역사 1927년 통북투(팀부투) 북부에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프리카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