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볼로가세스 4세 Vologases IV, ヴォロガセ..
    왕족 정보 볼로가세스 5세는 147년부터 191년까지 재위한 파르티아 제국의 샤한샤이다. 그는 미트리다테스 5세 . 볼로가세스는 카라케네 왕국에 대한 파르티아의 지배권을 다시 확보하는 데 재위 초반을 보냈다. 161년부터 166년까지, 그는 로마 제국과의 전쟁에 돌입하는데, 아르메니아와 시리아 등을 정복하며 초반엔 ...
    도서 위키백과
  • 볼로가세스 4세(3세) Vologeses IV(III)
    바빌로니아의 크테시폰에 있던 파르티아 왕궁이 불에 탔다. 로마인들은 메디아까지 진군했으며 바빌로니아와 아르메니아에서 계속 산발적인 전투가 벌어져 그 지역에 대한 파르티아의 영향력은 더욱 약해졌고 평화조약에 따라 북부 메소포타미아가 로마로 넘어갔다. 그의 뒤를 이어 아들 볼로가세스 4세가 왕위에 올랐다.
    출생 :
    미상
    사망 :
    AD 192
    국적 :
    파르티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볼로가세스 5세(4세) Vologeses V(IV)
    191년에 부왕 볼로가세스 4세(3세)에게 반기를 든 반역자로 역사에 등장해 192년 왕위를 계승했다. 193년 로마의 속국인 오스로에네 왕국과 아디아베네 왕국에서 반란을 선동했지만, 이 반란은 195년에 셉티미우스 세베루스가 이끄는 로마군에게 평정되었다. 로마군이 떠난 뒤 볼로가세스는 다시 메소포타미아 지역을...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국적 :
    파르티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볼로가세스 6세(5세) Vologeses VI(V)
    파르티아 왕 볼로가세스 5세(4세)의 아들로 209년 아버지의 뒤를 이었다. 이후 4년간은 단독으로 통치했으나 동생 아르타바노스 5세가 반란을 일으켜 파르티아 제국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그러나 볼로가세스 6세(5세)는 바빌로니아를 계속 보유했다. 그가 발행한 동전은 228~229년에 쓰였다.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국적 :
    파르티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볼로가세스 3세(2세) Vologeses III(II)
    105(또는 106)년 처음으로 파르티아 지배자를 자처했으며 오스로에스(109/110경~128/129경)의 치세 내내 왕위 계승권을 주장했던 것 같다. 오스로에스가 죽자 다른 경쟁자 미트라다테스 4세를 물리치고 파르티아 왕국의 대부분을 차지한 뒤, 죽을 때까지 지배했다.
    출생 :
    미상
    사망 :
    AD 147(?)
    국적 :
    파르티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볼로가세스 5세 Vologases V, ヴォロガセス5世
    아르메니아 카데트 계열의 구성원인 아르메니아의 볼로가세스 1세의 아들이다. 그럼에도 그는 서열이 높은 가문을 승계하였고 파르티아의 왕좌 위에 볼로가세스 4세(제위, 서기147~191)를 따랐다. 그의 계승은 경쟁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경쟁자 왕 오스로스 2세(재위 190년)는 볼로가세스 4세가 죽기 전에 이미 메디아...
    도서 위키백과
  • 볼로가세스 Vologases, ヴォロガセス
    볼로가세스(Vologases)는 다음을 가리킨다. 볼로가세스 1세는 파르티아 제국의 25대 왕이다. 볼로가세스 2세는 파르티아 제국의 26대 왕이다. 볼로가세스 3세는 파르티아 제국의 28대 왕이다. 볼로가세스 4세는 파르티아 제국의 29대 왕이다. 볼로가세스 5세는 파르티아 제국의 30대 왕이다. 볼로가세스 6...
    도서 위키백과
  • 아르타바누스 5세 Artabanus V
    그는 207년경에 죽은 볼로가세스 4세의 둘째아들로서, 메디아 지방을 다스리고 있다가 형 볼로가세스 5세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켰다(213경). 216년경에 그가 파르티아 제국의 일부인 메소포타미아 지역에 세력을 확장한 것은 분명하지만, 볼로가세스 5세는 222(또는 223)년까지 셀레우키아의 화폐주조소에서 계속 자기...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국적 :
    파르티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아르메니아의 소아이모스 Sohaemus of Armenia
    이 기술은 그의 과거 선조인 1세기에 살았던 에메사의 소아이모스를 나타낸 것이라 할 수 있다. 161년에 파르티아의 정통왕 미트리다테스 4세의 아들 파르티아의 볼로가세스 4세는 아르메니아를 차지하기 위해 군대를 보내어 레가투스 마르쿠스 세다티우스 세베리아누스 지휘하에 그곳에 배치됐던 로마 군단들을 제거...
    도서 위키백과
  • 아르샤쿠니 왕조 Arsacid dynasty of Armenia, 阿尔萨息王朝 (亚美尼亚)
    볼로가세스가 아르메니아를 관리하게 되었다. 볼로가세스는 140년까지 아르메니아를 다스렸다. 파르티아의 적법한 왕인 미트리다테스 5세의 아들인 볼로가세스 4세는 161년에 아르메니아를 차지하기 위해 군대를 보냈고 군단장 가이우스 세르비아누스 지휘 하에 그곳에 배치되어 있던 로마 군단들을 몰아냈다. 파르티아...
    도서 위키백과
  • 파르티아와 로마
    마르쿠스 안토니우스가 아르메니아를 지나 파르티아 왕 프라테스 4세(BC 38경~32 재위)와 싸우려한 원정 계획은 비참한 결과로 끝났다. 그러나 AD 62년 볼로세스 1세의 로마 공격도 니시비스(니시빈) 서쪽에는 이르지 못했고, 이듬해 63년 평화협약을 맺었다. 115년에는 로마 황제 트라야누스가 북방에서 아무 저항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사나트루케스 2세 Sinatruces II of Parthia
    확인해주었다. 그의 아버지의 최대 경쟁 상대인 볼로가세스 3세는 미트리다테스의 영지를 차지하였고, 미트리다테스의 또 다른 아들 볼로가세스 4세가 마침내 147년에 볼로가세스 3세가 죽은 뒤 왕위에 올랐다. 디오 카시우스, lxviii, 17–33. 요한네스 말라라스, Chronographia. 아일리우스 스파르티아누스, Vita...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