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볼라퓌크 Volapuk
    1880년 독일의 성직자 요한 마르틴 슐라이어가 국제적인 제2언어로 쓰기 위해 만든 언어.|어휘는 영어와 로망스 제어에 바탕을 두었으나 이 언어들에서 유래했다고 믿기 어려울 만큼 낱말의 어근이 변형되었다. 예를 들어 영어 'rose'에서 'lol'이, 'animal'(동물)에서 'nim'이, 'America'(미국)에서 'Melop'가 만들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 볼라퓌크 Volapük, ヴォラピュク
    다른 뜻 설명 볼라퓌크는 대중적 지지와 인기를 얻은 첫 근대적 국제어이다. 독일의 사제 요한 마르틴 슐라이어가 1880년에 발표하였다. 초창기에는 많은 인기를 얻었으나, 곧 조직 내부의 분열과 경쟁 국제어 에스페란토의 등장으로 급속히 쇠퇴하였다. 비록 국제어로서 대중적 보급에는 실패했지만, 당시 국제언어로 ...
    도서 위키백과
  • 볼라퓌크 인코딩 沃拉普克编码
    출처 필요 볼라퓌크 인코딩은 키릴 문자들을 라틴 문자로 표시하는 방법에 대한 속어이다. 인코딩 목록 로마자화 키릴 문자 볼라퓌크 a a a b б 6 v в B g г r, 2 d д D, g e е e yo ё e", e~ zh ж {, >|<, * |-|z || з || 3 |-|i || и || u, N |-|y || й || u~, u' |-|k || к || K |-|l || л...
    도서 위키백과
  • 볼라퓌크 위키백과 Volapük Wikipedia, ヴォラピュク版ウィキペディア
    볼라퓌크 위키백과는 인공언어 볼라퓌크로 쓰인 위키백과이다. 2003년에 설치되었다. 기호는 vo이다. 2007년 여름, 봇을 이용해 유럽과 아메리카의 지자체에 관한 짧은 문서를 대량으로 생성하여 급격한 성장을 보였다. 문서 개수는 6월 초에 약 5,500개였으나, 9월 8일에 10만 개를 달성했다. 그러나 2009년 현재는...
    도서 위키백과
  • Volapuk encoding 볼라퓌크 인코딩, 沃拉普克编码
    For the language, see Volapük. Volapuk encoding (kodirovka "volapük") or latinica (латиница) is a slang term for rendering the letters of the Cyrillic script with Latin ones. Unlike Translit, in which characters are replaced to sound the same, in volapuk characters can be replaced to...
  • 지팔 Cifal
    다른 뜻 지팔이란 인공어 볼라퓌크 운동의 구심적 역할을 하는 지도자역의 사람을 가리킨다. 볼라퓌크 운동이 활발할 초창기에는 볼라퓌크 아카데미가 지도적인 역할을 담당했으나, 운동의 내분과 쇠퇴이후로 아카데미는 유명무실한 존재가 되었다. 아카데미 대신 볼라퓌크 지지자들의 구심점 역할은 지팔이라 불리는...
    도서 위키백과
  • 브리터니그 Brithenig
    앤드류 스미스가 대체 역사 일 베티사드의 설정으로 만든 인공어이다. 브리터니그는 대체 역사 인공어라는 인공어 장르에 속하며, 이는 에스페란토나 볼라퓌크같은 국제어 계통의 인공어나, 꿰냐나 클링온, 나비어같은 허구 세계의 인공어와 다르게 현실에 준한 대체 역사에서의 사고실험으로 탄생한 인공어이다. 이...
    도서 위키백과
  • 통신체
    쓰는 언어. 대화방 언어: 대화방이나 게시글에서 보이는, 구어체에 가까운 언어. 휴대전화 문자 전송 언어: 휴대전화 문자에서 쓰이는 언어. 이모티콘 이정복(2000), “바람직한 통신 언어 확립을 위한 기초 연구”, 문화관광부 연구보고서. 비슷한 표기법 외계어 리트 볼라퓌크 인코딩 속어 대한민국의 인터넷 신조어 목록
    도서 위키백과
  • 러시아어식 영어 Runglish
    seen anybody" (Я не видел кого-либо)가 맞는 형태이다. 8. 부정어구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I'm (not) agree. (I (don't) agree 대신) I'm must (to) do something, I was must (to) do... "Runglish"라는 단어는 볼라퓌크 인코딩으로 나타낸 러시아어 문자열을 이야기하는 데도 사용된다. 스팽글리시
    도서 위키백과
  • 외계어 (통신언어)
    2000년대 초반에 주로 사용되었지만 최근에는 그리 많이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인터넷상에서 외계어에 대한 논의도 많이 줄어들었다. 한편 미술가나 글꼴 디자이너들도 한글이 아닌 문자로 한글을 표현하는 실험을 한다. 통신체 야민정음 갸루 문자 유사한 표기법 리트 볼라퓌크 인코딩 대한민국의 인터넷 신조어 목록
    도서 위키백과
  • 가짜 키릴 문자 Faux Cyrillic, 偽キリル文字
    라틴 문자를 육안으로 구별할 수 없다는 점에 착안하여, 동형이의어 공격의 일종으로 IDN 스푸핑, 피싱을 이용한 범죄에 활용되기도 한다.저널 인용 그리스 문자 시그마 (Σ) 또한 라틴 대문자 E로 대체될 수 있다. 예로 RCA 레코드 브랜드 이름 Erato도 로고에는 Σ라고 되어 있다. 볼라퓌크 인코딩 외계어 리트 야민정음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