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복합문 compound statement몇 개의 문장을 하나로 종합하여 하나의 문장으로서 취급하기 위한 구문상의 단위. 〈문장1〉, …, 〈문장n〉을 구성성분으로 하는 복합문은, 와 같은 모양으로 나타내어진다. Pascal의 복합문은 기호 ; 로 구획지어 늘어놓은 몇 개의 문장을 기호 begin과 end에 의해 둘러싼 것이다. 이 복합문의 실행이란 〈문장1〉, ...
- 분야 :
- 소프트웨어 기초, 프로그램 언어
-
접속문을 갖는 복합문접속문은 주로 앞에 오는 문장(선행절)의 뜻을 풀이해주면서 뒤에 오는 문장(후행절)을 이어 주는 접속어미들에 의해 이루어진다. 국어에는 접속어미들이 매우 발달해 있고 한 어미의 의미도 다양해서 몇 가지 한정된 범주로 나누기가 매우 어렵다. 그러나 이어지는 요소들의 의미관계에 따라 대등접속문과 종속접속문을...
-
내포문을 갖는 복합문내포절이 명사구와 관계를 맺는 명사구 내포문과 내포절이 동사구와 관계를 맺는 동사구 내포문으로 하위분류된다. 명사구 내포문에는 내포절 단독으로 명사구의 기능을 하는 명사화 내포문과 내포절이 한 명사(내포명사)를 수식하여 명사구를 이루는 관형화 내포문이 있다. 명사화 내포문은 ① '올해도 건강하시기를...
-
공문 empty statement구성 요소로서 문을 놓는 자리가 비어 있을 경우에, 이것을 문으로 간주한 것. 공문이 나타내는 동적인 의미(효과)는, “아무 것도 하지 않는”것이다. 복합문 등에서 여러 개의 문을 나란히 쓸 때에, 단지 문과 문과의 단락을 늘어놓았을 경우에는 그 사이에 공문이 있는 것이 된다. Pascal에서, 문 S1, …, Sn을 쓴...
- 분야 :
- 프로그램 언어
-
병렬문 병행문, parallel statementstatement)이라고도 한다. 문장 C1, C2, …, Cn을 병렬로 실행하여, 어느 것인가가 종료했을 때에 의미를 가진다고 하는 병렬문은 Algol68 등에서는 복합문에 유사한 형식으로 Parbegin C1, C2, …, Cn end 와 같이 쓰인다. 복합문의 경우에는 구성요소의 문장은 차례로 실행되는데, 병렬문에서는 문장 Ci 사이의 실행의...
- 분야 :
- 프로그램 언어
-
조선어어순비교연구 중조어순의 대비적연구주어, 상황어(중국어에서의 상어狀語), 서술어의 위치적 대비, 중국어에서의 보충어와 보어 및 조선어에서의 상황어(수식어)와 보어의 위치적인 대비, 종속 복합문에서의 단일문들의 위치적 대비 등에 대해 구체적인 예문을 들어 기술했다. 논리-의미적 측면에서 일반 서술문에로의 명명문과 무주어문의 개편, 어순에...
- 시대 :
- 현대
- 저작자 :
- 태평무(太平武)
- 창작/발표시기 :
- 1986년
- 성격 :
- 학술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책
- 간행/발행 :
- 평양: 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에이다 Ada포함), 레코드, 접근(포인터), 태스크가 있다. 문은 대입문, 절차 호출문, exit문, return문, gota문 등의 단순문과 if문, case문, loop문, 블록문 등의 복합문으로 이루어진다. 병행처리는 태스크에 대해서 기동, 종료, 동기대기(엔트리 호출, 선택대기(accept) 등)에 의하여 행한다. 예외 처리는 블록문의 예외처리...
- 분야 :
- 정보통신, 프로그램 언어, 소프트웨어 설계법
-
알골 60 Algol 60등의 이름은 유효범위의 규칙에 따른다. 기본 데이터로서, 정수형, 실수형, 논리형(Boolean)의 3종류가 있으며, 데이터 구조로서 배열이 있다. 문장으로서는 복합문, 대입문, 생략문, 조건문, 반복문, 절차문이 있다. 변수 등은 선언을 하고 나서 쓴다. 절차와 함수는 같이 재귀호출이 가능하다. 절차 및 함수의 인수...
- 분야 :
- 프로그램 언어
-
파스칼 Pascal부터가 아니면 쓸 수 없다. 모든 변수나 함수에는 형이 정해져 있다(strongly typing). 문장은 대입문, 절차호출문, goto문 등으로 이루어지는 단순문과, 복합문(begin, end), 조건문(if 문, case 문), 반복문(repeat 문, while 문, for 문), with 문으로 이루어지는 구조문이 있다. 절차나 함수는 재귀적으로 호출된다...
- 분야 :
- 프로그램 언어
-
고투문 goto statementgoto문이 실행되면, 그 다음에 실행되는 문은 C1이 아니라 C2가 된다. goto문은 기계어에서의(무조건) 분기명령에 상당하는 것이다. goto문과 조건문·복합문을 쓰면, 반복문에 나타내어지는 것과 같은 복잡한 제어구조를 표현할 수 있다. 그러나, goto문은 프로그램에 씌어 있는 순서로 문이 실행된다는 통상의 실행...
- 분야 :
- 프로그램 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