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복제 돌리 clone sheep Dolly
    세포를 제공한 부모와 똑같은 유전정보를 가진 .|1997년 2월, 영국 에든버러 로슬린 연구소의 I. 윌머트 연구팀이 다 자란 암에게서 채취한 체세포를 이용하여, 복제기술로 세포를 제공한 암과 똑같은 유전정보를 지닌 새끼 돌리를 1996년 7월 5일 탄생시켰다고 발표했다. 생식세포를 사용한 복제기술은 이미...
  • 역사 속 2월 과학사엔 어떤 일이 (관련어 복제양 돌리)
    1988년 2월 8일 민병구 박사, 국내 최초로 인공심장 개발 민병구 박사팀은 86년부터 정부사업의 일환으로 인공심장 개발을 추진한 결과, 미국과 일본에서 개발된 인공심장에 비해 크기가 3분의 1 이상 작은 인공심장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이 인공심장은 같은 해 1월12일 미국특허 471890호를 획득하는 개가를 올렸고...
  • 역사 속 7월 과학사엔 어떤 일이 (관련어 복제양 돌리)
    1877년 7월 31일 : 에디슨 축음기 발명 미국의 천재적인 발명가 토마스 알바 에디슨(Thomas Alva Edison, 1847.2.11~1931.10.18)이 1877년 7월 31일 축음기를 발명하였다. 에디슨은 축음기 외에도 백열전등, 촬영기, 영사기, 축전기 등 1300여 종류를 계속 발명하여 발명왕이라고 불린다. 그러나 그는 화려한 업적에도 ...
  • 돌리 (양) (관련어 복제 양 돌리) Dolly (sheep), ドリー (羊)
    돌리는 세계 최초로 체세포 복제 (생물학)를 통해 태어난 포유류이다. 스코틀랜드 에든버러의 로즐린 연구소에서 복제되었다. 돌리복제 성공은 1997년 2월 22일에 발표되었다. 난자에서 핵을 제거하고 성숙한 의 젖샘세포 핵을 이식하는 방식으로 탄생시켰다. 젖샘세포를 사용했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 가슴이 큰 ...
    도서 위키백과
  • 복제 돌리 탄생
    B의 핵을 제거한 난자에 집어넣어 수정란을 만든 다음, C의 자궁에 착상시키는 과정을 거쳤다. 이렇게 태어난 돌리는 '원본'인 A와 유전적으로 동일한 복제 동물이었다. 돌리의 탄생으로 인간 복제도 가능한 일이 되자, 그 윤리성을 두고 전 세계적인 논쟁이 불붙는다. 지지자들은 여러 난치병을 치료할 수 있는...
    시대 :
    1996년 7월 5일
    국가/대륙 :
    유럽
  • 역사 속 4월 과학사엔 어떤 일이
    것이었다. 1998년 4월 13일 복제 돌리, 새끼 보니 출산 세계최초의 복제 돌리가 첫 출산에서 새끼 한 마리를 낳았고 이 새끼에게는 보니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로슬린연구소 부원장인 해리 그리핀 박사는 돌리의 첫 번째 출산은 돌리가 복제이지만 정상 출산을 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 판다 복제 프로젝트! 제2의 돌리 탄생하나?
    쓰지 않아 대를 잇기가 무척 어렵다. 에든버러 동물원이 판다 복제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것은 바로 이런 이유 때문이다. 더구나 이번 프로젝트에는 복제 돌리의 실험에 참여한 적이 있는 로슬린 연구소의 빌 릿치 박사도 합류했다고 한다. 판다 복제 프로젝트가 어떤 결과를 낳을지 그 귀추가 주목된다. 글 : 이성규...
  • 복제 複製, cloning
    체세포를 둘로 쪼개서 번식하는 생물학적 현상을 말한다. 그렇지만 생명공학이 발달하면서 복제는 체세포복제를 이용한 동물복제, 인간복제 등을 주로 의미하게 되었다. 체세포복제는 세포핵 치환 기술을 사용한다. 복제 돌리(dolly)의 사례는 핵치환 기술을 이용한 체세포복제의 원리를 잘 보여준다. 윌머트(Ian...
    시대 :
    현대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과학/과학기술
  • 중국 과학자들, 원숭이 복제에 성공
    역분화 가능성을 증명한 논문이다. 포유동물에서 처음 체세포핵치환이 성공한 것은 1997년이다. 영국 로슬린연구소의 아이언 월머트 박사팀은 2월과 7월 복제 돌리’와 ‘폴리’를 각각 등장시켰다. 타임지 등 주요 언론을 통해 20세기 최대 사건으로 기록된 연구 결과다. 이후 같은 방식으로 개, 고양이, , 돼지...
  • 고(故) 제주 흑우, 복제기술로 살아나다!
    1996년 7월 5일 세계에서 가장 특별한 양이 태어났다. 이 의 아버지는 영국 로슬린연구소에 다니던 아이언 월머트 박사. 월머트 박사는 이 에게 ‘돌리(Dolly)’라는 이름을 붙였고 이 이름 앞에는 ‘세계 최초의 복제’이라는 수식어가 따라다녔다. 인류가 포유류 체세포 복제에 성공한 것이 벌써 15년 전의 일...
    도서 과학향기 | 태그 세포 , 과학 일반 , 생물
  • 야나기마치 류조 柳町隆造, Yang Lan
    자란 생쥐를 복제하는 데 사용한 혁신 기술을 '호놀룰루 테크닉'이라고 명명함으로써 지역의 명예를 빛냈다. '호놀룰루 테크닉'은 성체 포유류 복제의 첫 성공작인 복제 돌리 때 사용된 기술보다 더 효율적인 것이었다. 1998년 야나기마치 류조 팀은 세계 최초로 복제 생쥐 1마리를 만든 데 그치지 않고 원 모계...
    출생 :
    1928. 8. 27, 일본 삿포로[札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 죽음을 초월한 인간, 《미키17》이 던지는 질문
    관한 기술의 현주소를 살피며 윤리적 문제에 관한 질문을 던져 보자. 113개 배아 중 하나, 4년간 생존하다 1996년 최초의 체세포 복제 동물인 ‘복제 돌리’ 탄생 이래 약 30년, 인간 복제를 목표로 한 실험들은 전 세계적인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2000년대 중반 황우석의 인간 배아줄기세포 복제 시도 및 논문 조작...
    도서 과학향기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2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