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고정환율 · 변동환율 환율이 고정, 환율이 변동1997년 12월부터 변동환율제도를 시행하게 되었어. 페그(peg)는 말뚝, 달러 페그 제도는 환율을 미국 달러에 묶어놓은 일종의 고정환율제도야. 예를 들어 홍콩 달러는 1983년 이래 1달러=7.8홍콩 달러로 고정되어 있어.(소폭으로 미세한 변동은 있지만.) 복수통화 바스켓제도는 현재 중국에서 쓰고 있는 환율제도야...
-
-
단일변동환율제 單一變動換率制가격 변수이지만, 외환이 부족하고 외환 시장이 충분히 발달하지 못한 1950년대 및 1960년대 초반에는 외환의 획득 경로에 따라 다양한 환율을 인정하는 복수환율제를 채택하였다. 가령 수출을 통해 획득한 외환과 정부가 보유한 외환에 적용한 환율은 커다란 차이가 존재하였는데, 이것은 정부의 외환 관리나 수출에...
- 시대 :
- 현대/대한민국
- 유형 :
- 제도/법령·제도
- 분야 :
- 경제·산업/경제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복수통화바스켓제도2월부터 복수통화바스켓제도를 시행한 바 있으며, 당시 원/달러환율은 SDR의 대미달러화환율인 SDR바스켓과 우리나라의 주요 교역상대국인 미국, 일본, 서독, 영국, 프랑스 통화의 미달러화에 대한 환율변동을 가중평균한 독자바스켓, 그리고 정책조정변수인 실세반영장치의 세 가지 요소에 의해 결정되었다. 이 제도를...
-
환율우리나라는 1997년부터 자유변동환율제도를 채택하여 정부의 개입없이 순수한 시장원리에 따라 환율이 결정되도록 하고 있다. 대한민국 환율변천사 •고정환율제도(1945~1964년) •단일변동환율제도(1964~1980년) •복수통화바스켓제도(1980~1990년) •시장평균환율제도(1990~1997년) •자유변동환율제도(1997~현재)
-
협정환율 協定換率이 존재한다는 것을 전제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론적 기반은 같다. 그러나 현실 역사에서는 이 두 환율 제도로 모든 나라의 환율 제도를 설명할 수 없다. 복수 환율제를 채택한 1950년대 한국 경제가 이에 해당하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1950년대 한국 경제에서 환율은 다양한 환율이 존재했는데, 이것을 환율 결정 방식에...
- 시대 :
- 현대/대한민국
- 유형 :
- 개념
- 분야 :
- 경제·산업/경제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