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복수환율제도 複數換率制度, multiple rates of ex..
    정부가 환 정책상의 필요에 따라 둘 이상의 환율을 공정하는 제도.|환거래 자체에 직접적인 통제를 가하는 대신 차별적 환율을 설정함으로써 간접적으로 국제수지 균형과 환율 안정을 도모하는 방식이다. 즉, 수출입 수요에 대해 각각의 중요도나 채산성 등에 따라 서로 상이한 환율을 적용함으로써 수출입을 조정하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제
  • 복수환율제도 Multiple Exchange Rate system
    외환거래는 일반거래와 특정거래로 분류하고 각각 상이한 기준환율을 적용하는 제도를 가리킨다. 이와 같은 제도를 채택하는 것도 인플레이션이 심한 국가에서 국제수지균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불요불급한 수입을 억제하고 필수품의 수입에 특혜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있다. 전자의 경우에는 고율의 환율을 적용하고, 후...
  • 고정환율 · 변동환율 환율이 고정, 환율이 변동
    1997년 12월부터 변동환율제도를 시행하게 되었어. 페그(peg)는 말뚝, 달러 페그 제도는 환율을 미국 달러에 묶어놓은 일종의 고정환율제도야. 예를 들어 홍콩 달러는 1983년 이래 1달러=7.8홍콩 달러로 고정되어 있어.(소폭으로 미세한 변동은 있지만.) 복수통화 바스켓제도는 현재 중국에서 쓰고 있는 환율제도야...
  • 관리변동환율제 管理變動換率制, Managed floating exchange..
    이후 1980년 2월까지 시행된 단일변동환율제도 하에서는 한국은행에서 고시하는 집중 기준율을 중심으로 외환을 관리하면서 사실상 고정환율제로 운용됐다. 1980년대에는 복수통화바스켓 제도를 도입하여 변동환율제도로 이행하는 중간단계를 거쳤다. 그러나 경상수지 흑자의 누적이 지속되는 상황에서도 환율변동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제
  • 단일환율제도 單一換率制度, monorate of exchange system
    복수환율제에 대비되는 개념이다. 한 국가의 통화에 결부시켜 환율을 정해놓고 외환거래에서 상대국이나 거래내용에 관계없이 일률적으로 환율을 적용하는 제도이다.→ 환율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제
  • 단일변동환율제 單一變動換率制
    가격 변수이지만, 외환이 부족하고 외환 시장이 충분히 발달하지 못한 1950년대 및 1960년대 초반에는 외환의 획득 경로에 따라 다양한 환율을 인정하는 복수환율제를 채택하였다. 가령 수출을 통해 획득한 외환과 정부가 보유한 외환에 적용한 환율은 커다란 차이가 존재하였는데, 이것은 정부의 외환 관리나 수출에...
    시대 :
    현대/대한민국
    유형 :
    제도/법령·제도
    분야 :
    경제·산업/경제
  • 복수통화바스켓제도
    2월부터 복수통화바스켓제도를 시행한 바 있으며, 당시 원/달러환율은 SDR의 대미달러화환율인 SDR바스켓과 우리나라의 주요 교역상대국인 미국, 일본, 서독, 영국, 프랑스 통화의 미달러화에 대한 환율변동을 가중평균한 독자바스켓, 그리고 정책조정변수인 실세반영장치의 세 가지 요소에 의해 결정되었다. 이 제도를...
  • 복수통화바스켓제도
    많았다.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삼아 1980년 2월부터 복수통화바스켓제도를 시행하였으나 환율을 정책당국이 조작한다는 의혹을 받기 쉽고 미국과 일본의 비중...불합리성을 지니고 있어 1990년 2월 폐지되었다. 1990년 3월에는 '시장평균환율제도'를 도입하여 환율이 외환시장의 수급상황에 따라 자율적으로 결정...
  • 복수통화바스켓제도 multicurrency basket system
    많았다.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삼아 1980년 2월부터 복수통화바스켓제도를 시행하였으나 환율을 정책당국이 조작한다는 의혹을 받기 쉽고 미국과 일본의 비중...불합리성을 지니고 있어 1990년 2월 폐지되었다. 1990년 3월에는 '시장평균환율제도'를 도입하여 환율이 외환시장의 수급상황에 따라 자율적으로 결정...
  • 환율
    우리나라는 1997년부터 자유변동환율제도를 채택하여 정부의 개입없이 순수한 시장원리에 따라 환율이 결정되도록 하고 있다. 대한민국 환율변천사 •고정환율제도(1945~1964년) •단일변동환율제도(1964~1980년) •복수통화바스켓제도(1980~1990년) •시장평균환율제도(1990~1997년) •자유변동환율제도(1997~현재)
  • 협정환율 協定換率
    이 존재한다는 것을 전제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론적 기반은 같다. 그러나 현실 역사에서는 이 두 환율 제도로 모든 나라의 환율 제도를 설명할 수 없다. 복수 환율제를 채택한 1950년대 한국 경제가 이에 해당하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1950년대 한국 경제에서 환율은 다양한 환율이 존재했는데, 이것을 환율 결정 방식에...
    시대 :
    현대/대한민국
    유형 :
    개념
    분야 :
    경제·산업/경제
  • SDR 통화바스켓 Special Drawing Rights currency basket
    변동환율제도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단일 통화인 달러와의 페그 방식을 버리고 복수통화가치에 연결시키는 표준바스켓제도를 채택함으로써 탄생하였다. 한국도...것이므로 그만큼 국제유동성이 증대된다. 주요 선진국 통화가 변동환율제로 바뀜에 따라 SDR의 가치 기준은 표준 바스켓 방식, 즉 세계 무역에서 비중이 큰...
    도서 다음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