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보아즈쾨이 Boghazkeui, Bogazkoy
    튀르키예 중북부 초룸 주 숭구를루 군의 마을과 이에 부속된 소구역의 행정중심지. Boghazkeui라고도 씀. 현재는 Boğazkale.|요즈가트 북서쪽 27km 지점에 위치한 이곳은 BC 2000~1000년 아나톨리아와 시리아 북부 지역에 강대한 제국을 세웠던 히타이트의 고대 수도 하투사스(또는 하투사, 하투샤)의 고대 유적지로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중동
  • 보아즈칼레 (관련어 보아즈쾨이) Boğazkale, ボアズカレ
    보아즈칼레는 앙카라 동방 약 150km에 위치하며 히타이트 왕조의 수도였다. 시는 약 400년간 번영했으나, 기원전 1200년경 히타이트 왕조의 멸망과 더불어 파괴되었다. 20세기 초에 히타이트어로 씌어진 고문서가 발견되어 왕조 시대의 정치·경제기구 등이 밝혀졌다.전거 통제
    도서 위키백과
  • 히타이트 Hittite
    흑해 너머에 있는 지역에서 기원한 것으로 보이는 히타이트인은 우선 아나톨리아 중부를 장악하여 하투스(지금의 보아즈쾨이)에 수도를 마련했다. 하투실리스 1세(BC 1650경~1620경 재위) 같은 히타이트 고(古)왕국의 초기 왕들은 힘을 규합하여 아나톨리아와 시리아 북부로 세력을 확장했다. 하투실리스의 손자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인종/민족
  • 히타이트어 Hittite language
    루비어·리디아어·리키아어 등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히타이트어는 보아즈쾨이(터키의 옛 하투사)의 기록보관소에 보존된 약 2만 5,000개의 상형문자 서판이나 서판 조각을 통해 주로 알려졌다. 이 서판 가운데 대다수는 히타이트 제국(BC 1400경~1190경) 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서 종교와 다른 주제에 관한 것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 초룸 Corum
    1500~1200년 히타이트 제국의 수도였던 하투사스가 숭구를루 군의 보아즈쾨이에서 발굴되었으며, 근처에는 야질리카야(BC 2000~1000경) 암각신전이 남아 있다. 보아즈쾨이 북쪽의 알라카회위크에서는 튀르키예의 고고학자들에 의해 BC 3000년경의 것으로 보이는 무덤군이 발견되었다. 오늘날에는 직물·시멘트·구리...
    위치 :
    튀르키예 북중부 초룸 주
    인구 :
    265,171명 (2017 추계)
    대륙 :
    중동
    국가 :
    튀르키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중동
  • 후르리어 Hurrian language
    이 언어는 인도유럽어도 아니고 셈어도 아니다. 이 언어에 대한 자료는 많이 존재하는데, 보아즈쾨이(고대의 하투사, 요즈가트 주의 산악지대에 있는 작은 마을)에 있는 히타이트 기록 보관소 유적에서 발견된 설형 문자 점토판에는 '후를릴리'(후르리어)라고 표시된 구절이 수없이 많다. 이 언어 사용자들은 원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무와탈리스 Muwatallis
    실제로는 그렇게 결정적인 승리였다고 할 수 없었다(→ 카데시 전투). 시리아를 지키기 위해 오랫동안 전쟁을 하던 중 수도를 하투사스(지금의 터키 보아즈쾨이)에서 그보다 남쪽에 있는 다타사 시로 옮겼다. 그동안 북쪽의 카스카족(무와탈리스 치세에 유일하게 소란을 피운 히타이트의 위성국)과 싸웠던 동생 하투...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국적 :
    히타이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하티어 Hattic language
    이 언어로 된 구절들이, 보아즈쾨이(히타이트의 고대도시 하투사)에 있는 히타이트 기록보관소 유적에서 발견된 히타이트 설형문자 기록에서 나타났는데, 이전에는 하틸리라는 명칭으로 지칭되었다. 이 말에서 히타이트라는 말이 유래했으며, 이후 이것은 이 지역에 정착한 인도-유럽 사람들에게 붙여졌다. 설형문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하투실리스 3세 Hattusilis III
    아르자와족의 영토에서 벌인 몇몇 군사행동을 제외하고는 평화와 번영을 구가하던 시기였다. 하투실리스는 아내와 함께 옛 수도인 하투사(지금의 터키 보아즈쾨이)로 돌아가 그곳을 다시 도읍으로 정하고 다양한 개혁을 실시했다. 아시리아의 세력이 커지자 공동의 위협에 대처하려고 이집트와 협상을 자주 벌여 BC...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국적 :
    히타이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야질리카야 Yazilikaya
    터키 동부에 있는 히타이트의 수도 하투사의 유적인 보아즈쾨이 북동쪽 1.6㎞지점에 있다. 바위 북동쪽과 동쪽에 있는 2개의 움푹 꺼진 곳은 자연적인 야외 전시장이 되고 있다. 북동쪽으로 움푹 꺼진 곳에는 서쪽에는 주로 남자, 동쪽에는 여자로 이루어진 긴 행렬의 그림이 새겨져 있고 이 두 행렬은 북동쪽 벽 끝에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수필룰리우마스 1세 Suppiluliumas I
    지배하면서 히타이트 왕국을 제국 정도의 강대국으로 만들었다. 투달리야스 3세의 아들이자 후계자로 왕위에 오른 다음 옛 수도인 하투사스(지금의 터키 보아즈쾨이)를 재건하고 히타이트의 심장지역을 강화시켰다. 그는 동쪽에 있는 미탄니 왕국을 정벌하고 시리아에 히타이트의 굳건한 발판을 다시 세우는 데 군사력을...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국적 :
    히타이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쿠슈크 Kushukh
    않음)라는 도시로 알려졌고 나중에 히타이트족이 그의 숭배의식을 채택했다. 맹세의 신으로 위증을 벌하는 것이 고유의 기능이다. 투구에 초승달을 올려놓은 날개 달린 남자의 모습이며 때때로 사자 위에 서 있다. 야질리카야의 바위 성소(지금의 터키 보아즈쾨이 근처)에서 히타이트 신상들 가운데 있다(→ 후르리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화 일반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2건

보아즈쾨이 (Bogazkoy)
야질리카야(Yazilikaya) 고대조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