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보리심 Bodhicitta, 菩提心
    불교 보리심(菩提心, Bodhicitta)은 불교에서 깨달음의 마음. 깨달음을 향한, 혹은 이미 깨달은 마음을 말한다. 여러 가지 명칭이 있으나 그것은 오직 한 마음이라는 뜻이다. 보리심이 일어났을 때 땅이 진동하며 부처님의 법좌까지도 진동한다고 한다. 불교에서는 모든 생명의 공통된 업으로 우주가 생긴 것이 라고 말...
    도서 위키백과
  • 재조본 대승법계무차별론 여래장론(如來藏論), 再雕本 大乘法界無差別論
    번역한 재조본 대장경이다. 약칭으로 『법계무차별론(法界無差別論)』, 별칭으로는 『여래장론(如來藏論)』이라 부르기도 한다. 『대승법계무차별론』은 보리심을 12의미로 나누어 설명한 단편의 논서이다. 따라서 본 서에서 보리심의 개념이 가장 중요함을 알 수 있다. 즉, 결과, 원인, 자성, 다른 이름, 무차별, 분위...
    시대 :
    고려 후기, 조선 전기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문수보살 文殊菩薩
    같다. ① 모든 중생이 부처님의 가르침을 성취하게 하고 갖가지 방편으로 불도에 들게 한다. ② 문수를 비방하고 미워하고 죽음을 주는 중생이라도 모두 보리심을 내게 한다. ③ 문수를 사랑하거나 미워하거나, 깨끗한 행을 하거나 나쁜 짓을 하거나 모두 보리심을 내게 한다. ④ 문수를 속이거나 업신여기거나 삼보...
    유형 :
    개념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삼배 三輩
    내용 이 삼배는 『무량수경(無量壽經)』에서 설한 것으로, 먼저 상배는 집과 세간의 욕망을 버리고 승려가 된 자로서, 보리심(菩提心)을 발하고 한결같이 무량수불을 생각하는 사람을 말한다. 중배는 비록 승려가 되지 않았더라도 큰 공덕을 닦아서 능히 보리심을 일으켰고, 항상 아미타불을 생각하고 불상과 탑을...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만다라
    印契), 만트라(mantra, 眞言), 만다라 등의 의궤 형태로 구상화되어 깨달음을 얻기 위한 행법으로 완성된 것이다. 예를 들면 종래의 깨달음을 구하는 마음인 보리심(菩提心)은 깨달음 그 자체가 되는데, 『대일경』에서는 이 보리심을 관법(觀法) 속에서 관상(觀想)하여 그것과의 합일화를 꾀한다. 『금강정경』에서는...
  • 금강신 金剛身
    방편을 금강저에 비유하는 것처럼 법구에도 금강의 명칭을 의례적으로 부여한다. 『금강정경』에 설해진 오상성신관(五相成身觀)의 수행은 통달보리심(通達菩提心:보리심의 공성을 관찰함)·수보리심(修菩提心:공성의 견고함을 닦음)·증금강심(證金剛心:마음의 견고함을 성취함)·증금강신(證金剛身:신어의가 진리의...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사참 수사분별참회(隨事分別懺悔), 事懺
    의지하여 참회하는 것을 사참이라고 보았다. 사참을 통해서 오역죄(五逆罪)와 십악(十惡) 등을 참회하기 전에 반드시 부처님 전에서 깊이 부끄럽게 생각하고 보리심(菩提心)을 일으켜야 하며, 한번 참회를 시작하면 성심으로 하여야 함을 밝히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에서 가장 빈번하게 이용되고 있는 「예불대참회문...
    성격 :
    용어, 참회법
    유형 :
    의식행사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아사리 궤범사(軌範師), 阿闍梨
    일반적으로 아사리라고 하면 은사(恩師) · 법사(法師) · 계사(戒師) 중 계사를 지칭한다. 이들 아사리는 13덕(德)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즉, 아사리는 ① 보리심(菩提心)을 발한 자라야 하고, ② 묘한 지혜와 자비가 있어야 하며, ③ 제자들을 이끌 능력이 있어야 하고, ④ 반야바라밀다(般若波羅蜜多)를 수행하여야...
    유형 :
    제도/법령·제도
    분야 :
    종교·철학/불교
  • 거제 총명사 예념미타도량참법 巨濟 聰明寺 禮念彌陀道場懺法
    증명함〔인교비증(引敎比證)〕. 4권 왕생전록(往生傳錄) 5권 극락세계의 장엄〔극락장엄(極樂莊嚴)〕 6권 죄장을 예참함〔예참죄장(禮懺罪障)〕. 보리심을 드러냄〔발보리심(發菩提心)〕. 7권 왕생을 발원함〔왕생발원(往生發願)〕. 8권 왕생을 구하기 위하여 행하는 문〔구생행문(求生行門)〕① 9권 왕생을 구하기...
    시대 :
    조선 전기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십중계 十重戒
    한 것과 대조를 이루는 독창적인 주장이다. 또, 이와는 달리 밀교 계통(密敎系統)의 종파에서 유통되는 십중대계도 있다. ① 정법(正法)을 버리지 말라, ② 보리심(菩提心)을 버리지 말라, ③ 일체법에 간탐심을 내지 말라, ④ 모든 중생을 이익되게 하라, ⑤ 삼승교법(三乘敎法)을 훼방하지 말라, ⑥ 일체법에 아끼는...
    시대 :
    고대/삼국
    유형 :
    개념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서울 청룡사 신중도 청룡사 신중탱, 서울 靑龍寺 神衆圖
    신중도는 이러한 시대 변화를 보여준다. 한편 이 불화에는 복장낭이 있는데, 그 표면에 다음과 같이 한글로 적힌 묵서 기록이 있다. “청신녀 무자생 최보리심 모든 부처님의 갑피를 입사와 모든 장해와 병마를 물리치시고 선지식을 만나 증득 보리를 깨달아 세세생생 성불하기 복원/ 청신녀 무자생 최보리심 모든 부처...
    시대 :
    조선 후기
    유형 :
    유물
    분야 :
    예술·체육/회화
  • 십승관법 十乘觀法
    아니라 그 일념심은 '공(空), 가(假), 중(中)'의 삼제(三諦)가 서로 일체화되어 있는 부사의한 묘경(妙境)이라고 관하는 것이다. ② 발진정보리심(發眞正菩提心)은 진정으로 보리심을 일으키는 것으로, 만약 관부사의경을 깨닫지 못하는 이는 무작(無作)의 사홍서원(四弘誓願)을 일으켜서 자기를 불쌍히 여기고 남을...
    시대 :
    고려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종교·철학/불교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