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병리학 病理學
    병의 원인과 발생 과정, 그리고 병에 걸린 조직의 형태 변화를 연구하는 학문.|내용 의학을 기초 의학과 임상 의학으로 나눌 때 병리학은 기초 의학에 속하면서 임상 의학에 관여하며, 기초 의학과 임상 의학의 가교 역할을 한다. 병리학의 역사는 인간이 사망의 원인을 알아내기 위하여 시체의 해부를 시도하면서 시...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과학/의약학
  • 병리학 病理學, pathology
    시체 해부는 종교적 금기였기 때문에 병리학에 대한 초기의 연구는 어려움이 많았다. 그러나 중세기말부터 죽음의 원인을 알기 위해 시체를 해부하는 것이 허용되어 병리학의 기반을 이룰 수 있었다. 이와 같은 해부학적 정보의 축적으로 1761년 이탈리아의 조반니 바티스타 모르가니가 최초로 병리해부학에 대한 체계적...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생물 , 학문
  • 병리학 病理學, pathology
    질병의 발생원인을 해명하고, 그로 인해서 일어나는 생체조직의 형태학적 변화 및 기능적 장애를 조사하여 병적 과정의 본질을 규명하는 의학의 1분야.
  • 노인의학과 노인병학 (동의어 병리학) gerontology and geriatrics
    정상적인 노화과정에서 노년층에 나타나는 질병과 건강의 모든 측면을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의학의 한 분야.|노인의학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세포조직·기관계·개체·개체군 등에 나타나는 점진적인 변화인 노화현상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노화는 태어나기 전부터 늙을 때까지 전생애를 통해 일어나는 변화과정의 한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진료과 , 학문
  • 병리학 Pathology, 病理学
    특히 병을 일으킨 신체의 조직이나 기관의 기질적 변화 및 기능적 변화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지기로는 세포, 조직, 장기의 표본을 육안이나 현미경 등을 이용하여 검사해, 그것들이 질병에 침범되었을 때에 어떤 변화를 나타나는지에 대하여 연구하는 학문이다. 일반병리학 : 진단이나 치료를 위하여 질...
    도서 위키백과
  • 450년전 미라가 건강검진 받는 날
    촬영하고, X-ray 검사도 마쳤다. 이 ‘나주 귀부인 미라(가칭)’는 당시 신문과 방송에 보도되며 화제를 낳았고, 그 덕분에 미라를 연구하는 학문인 ‘고병리학’에 대한 관심도 부쩍 늘어난 것 같다. 우리나라에서는 발견된 미라의 수가 많지 않다. 조상의 시신을 소중히 여기는 유교문화의 영향으로 대부분 화장...
  • 정신병리학 精神病理學, psychopathology
    정신장애의 발생과정에 대한 이해는 심리학·정신의학·사회사업 등의 분야에서 정신건강을 다루는 전문가에게는 매우 중요한 일이다. 장애행동 또는 이상행동과 단순한 개인특이적 행동을 구분하는 기준은 정신병리학에서 주된 논쟁거리 중의 하나이다.
  • 동물병리학연구원
    수행직무 동물에 발생한 질병을 분석하기 위해 세포, 조직 및 장기에 나타나는 형태학적 및 기능적 소견을 연구하고 환경유해인자로 인한 동물의 질환발생을 예측·예방하기 위해 국내외 질병발생 정보 등을 수집하고 질병에 대한 정보를 조사한다. 질병의 방지를 위해 조류인플루엔자(AI:Avian Influenza) 등 야생동물...
    교육수준 :
    16년 초과(대학원 이상)
    숙련기간 :
    1년 초과 ~ 2년 이하
    작업강도 :
    가벼운 작업
    작업장소 :
    실내
    직무기능(자료) :
    종합
    직무기능(사람) :
    말하기-신호
    직무기능(사물) :
    정밀작업
    유사명칭 :
    수의병리학연구원
    고용직업분류 :
    [1221]생명과학 연구원
    표준직업분류 :
    [2111]생명과학 연구원
    표준산업분류 :
    [M701]자연과학 및 공학 연구개발업
    조사연도 :
    2012년
    도서 한국직업사전 | 태그 직업
  • 병리학연구원
    수행직무 질병의 성격, 진전단계, 감염가능성 등을 조사하기 위해 신체분비액 및 조직의 표본을 채취하여 병원체를 분리한다. 병원체의 습관, 생활주기, 영향력 등을 조사·분석하여 병원인자를 파괴하거나 통제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한다. 질병의 잠복기간, 중간숙주 및 매개체의 종류 등을 조사한다. 검시하여 사인...
    교육수준 :
    16년 초과(대학원 이상)
    숙련기간 :
    2년 초과 ~ 4년 이하
    작업강도 :
    아주 가벼운 작업
    작업장소 :
    실내
    육체활동 :
    시각
    직무기능(자료) :
    분석
    직무기능(사람) :
    자문
    직무기능(사물) :
    정밀작업
    고용직업분류 :
    [1221]생명과학 연구원
    표준직업분류 :
    [2111]생명과학 연구원
    표준산업분류 :
    [M701]자연과학 및 공학 연구개발업
    조사연도 :
    2012년
    도서 한국직업사전 | 태그 직업
  • 해부병리학과 새로운 임상의학의 발전
    18세기에는 프랑스와 이탈리아의 대학 말고도 할레, 라이덴, 런던, 에든버러, 필라델피아 등지에 새로운 의학 중심의 교육기관이 생겨났다. 이 시기에는 뉴턴의 만유인력 법칙처럼 하나의 이론으로 모든 질병을 설명하려는 노력이 성행하였다. 화학자인 할레대학의 에른스트 슈탈은 데카르트의 기계론적 생명관에 반대해...
    도서 해부학의 역사 | 태그 생물
  • 식물병리학 植物病理學, plant pathology
    식물의 병적 현상을 대상으로 하는 학문. 병의 원인규명과 감염 및 질병의 경과를 해부학적, 생리학적 혹은 생화학적으로 탐구하는 분야는 물론, 병의 예방 및 방제법 확립을 위해 병의 원인이 되는 환경조건, 병원체의 전염경로, 질병의 진단법을 연구하는 분야와 방제에 사용되는 약제가 병원체 혹은 식물체에 미치는...
  • 면역병리학 免疫病理學, immunopathology
    [1] 질병과 관련된 면역반응이 유익한지 또는 유해(有害)한지를 연구하는 생물의학적 과학의 1분야. [2] 질병에 대한 면역반응이나 면역학적 원인을 가진 질병을 동반하는 구조적, 기능적 발현(發現)을 연구하는 학문.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3건

병리학
병리학(pathology)
〈사진 1〉 말부르크 대학 병리학교실에 유학 중이던 다하라 스나오(32세로 추정)와 주임교수 L. 아숍(39세로 추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