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장자 변론의 상대를 잃어버렸도다있지 않다. 천지 만물의 근원을 도라고 보았고, 평생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았다. 양혜왕의 재상을 지낸 혜시와 우정이 두터웠고, 그와 변론을 즐겼다. 혜시가 죽은 후에는 변론의 상대를 잃었다며 한탄했다. 10만여 자로 쓰인 그의 저서 《장자》는 우화 중심으로 쉽게 쓰였고, 도가의 경전이 되었다. 그중 장자가...
- 출생 :
- BC 365경
- 사망 :
- BC 270경
- 국적 :
- 중국
- 대표작 :
- 《장자》
-
1980년대 한국문학에 영향을 준 사건, 권인숙 변호인단 변론 요지서대학에 진학한 후 권양은 노동자들의 아픈 현실에 대하여 알게 되었습니다. 그리하여 번민을 거듭하던 끝에 같은 세대의 다른 많은 젊은이들처럼 대학생으로서의 특권을 포기하고 스스로 노동자가 되어 노동자들의 권리를 증진시키는 데에 헌신하기로 결단을 내렸습니다. 그래서 가명으로 어떤 공장에 취업하였고 그...
- 시기 :
- 1986년
-
변중변론고적기 중변론고적기(中邊論古迹記), 辯中邊論古迹記찬술한 『동역전등목록(東域傳燈目錄)』 잡술록(雜述錄) 4(대정장 제55권)에는 1권이라고 기록되어 있지만, 현재는 산실되어 전하지 않는다. 내용 『변중변론』은 현장(玄奘, 602∼664)이 번역한 인도 유가행파의 문헌이다. 게송은 미륵이 짓고 산문 주석은 세친이 저술한 것이라고 전한다. 현장 이전에 같은 문헌이...
- 시대 :
- 고대
- 유형 :
- 문헌/고서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예수천주양교변론 예수天主兩敎辯論일방적으로 비판한『예수진교패』가 간행되자 개신교 측에서도 이에 대항하여 천주교의 교리와 전통에 대해 반론을 펼칠 필요성이 있었다.『예수천주양교변론』은 한국 감리교 최초의 목사이자 한국 종교학 개척자의 한 사람인 최병헌이 개신교의 입장에서 천주교에 대해 역술한 반론서이다. 서지적 사항 크기 22.3×...
- 시대 :
- 근대/개항기
- 저작자 :
- 최병헌
- 창작/발표시기 :
- 1909년
- 성격 :
- 개신교서
- 유형 :
- 문헌
- 간행/발행 :
- 정동 야소교회사무소
- 분야 :
- 종교·철학/개신교
-
변론주의 인정근거에 대한 학설변론주의를 인정하는 근거에 대하여는, ① 재산관계는 실체법상으로 당사자의 자주적(자치적) 해결을 허용하고 있으므로, 이것이 소송화되는 경우에도 자치적 해결에 의하도록 하기 위하여 변론주의가 인정되었다고 이해하는 본질설, ② 재산관계에 관한 분쟁에 가장 이해관계를 가지는 자는 당사자이므로 그 당사자에게...
-
변중변론소 辯中邊論疏않는다. 내용 통일신라 초기에 활동한 승려 도증(道證)이 인도 유식학파의 창시자인 미륵(彌勒, Maitreya)의 저작이자 현장(玄奘, 602∼664)이 한역한 『변중변론』을 주석한 책이다. 신라 유식불교는 현장 – 원측(圓測) - 도증(道證) - 태현의 계보로 이어진다. 즉 도증은 원측의 제자이자 태현의 스승으로 신라 유식...
- 시대 :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 저작자 :
- 도증(道證)
- 성격 :
- 주석서, 불교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3권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