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난소생식세포종양 germ cell tumor반대측 난소를 보존할 경우에는 반드시 염색체 검사를 시행하여 정상 여성 핵형을 확인해야 합니다. 미분화 세포종의 전이는 림프관을 통한 전이가 가장 흔하지만 혈관을 통한 전이도 나타나며, 암세포나 암조직의 직접 탈락에 의한 전이도 가능합니다. 뼈 전이가 발생하면 대부분 아래 척추에서 발생하며, 폐, 간, 뇌...
-
-
-
척추동물의 내분비계위의 팽창은 점막층에 산재한 가스트린분비세포들과 연결된 신경을 자극한다. 그러면 위에서 혈액 내로 가스트린이 분비되어 단백질 분해효소인 펩신과 벽측세포로부터의 위산 분비를 자극하고 위의 근육조직을 수축시킨다. 또 위산의 양이 증가하면 곧바로 위산분비세포와 가스트린 분비세포에 음성 피드백(negative...
-
-
혈관의 구조와 기능상피세포로 구성된 가장 작은 소동맥은 한층의 평활근으로 되어 있다. 정맥은 약간의 결합조직에 의해 지지받는 표면상피만으로 구성되며 커다란 정맥일수록 약간의 평활근섬유가 더해진다. 정맥이 커질수록 동맥보다는 얇지만 비슷한 벽구조를 가진다. 말초조직에서 심장으로 혈액을 이동시키는 기능을 하는 정맥에는...
-
-
-
-
시상그물핵의 감각신호 억제 시상그물핵의 수입로 차단 작용뇌실벽에 인접하고 있지요. 위로는 외측뇌실의 바닥과 맞닿아 있고, 아래로는 중뇌와 연결되고 소뇌에서 들어오는 신경섬유가 이어지며, 바깥쪽으로는 내낭후지(posterior limb of internal capsule)가 지나가고, 안쪽으로는 셋째뇌실과 접해 있지요. 앞쪽 아래로는 시상하부가 있죠. 시상 내부에 Y자 모양으로 생긴...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