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베트남 민족해방전선 National L..
    1960년 12월 20일 발족한 베트남의 정치단체.|베트남 정부를 쓰러뜨리고 남·북 베트남을 통일시키는 것이 목적이었다. NLF의 중심세력으로 1962년 명백한 공산당이 들어섰으나, 군부인 베트콩과 NLF의 정치 조직에는 비공산주의자들도 많았다. NLF는 모든 공산 국가들과 몇몇 중립국가들에 대표 외교사절단을 파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베트콩 베트남민족해방전선, Viet Cong
    베트콩은 1950년대 중반에 태동하였으나 1960년 베트남민족해방전선(NLF)의 군사조직이 되었다. NLF는 남베트남 정부를 타도하고 남베트남과 북베트남을 재통일하기 위해 임시혁명정부를 수립했다. 주로 매복·테러·파괴 등의 게릴라 작전을 수행했으며, 무기·보급품 등은 남베트남에 침투한 북베트남 군인들로부터 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현대 , 아시아
  • 베트남 민족해방전선 (관련어 베트남민족..) Viet Cong, 南ベトナム解放民..
    1975년 정부가 전복되어 남베트남 공화국이 세워지고 1976년 공식적인 통일이 이루어진 뒤 1977년 2월 4일에 베트남 조국 전선으로 편입되었다. 민족해방전선을 흔히 지칭하는 용어인 베트콩(Việt Cộng)은 남베트남과 그 연합군 쪽에서 베트남 전쟁 중 남베트남에 저항하는 반군 단체 및 인민전선 조직을 부르는 말이며,...
    도서 위키백과
  • 베트남민족해방전선 결성
    베트남의 공산주의자들이 남베트남 정부를 타도하고 남북통일을 이루는 것을 목표로 베트남민족해방전선을 결성했다. 북베트남 정부의 지원을 받아 메콩삼각주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했으며, 군사 조직의 명칭은 베트콩이었다. 이로써 제2차 인도차이나전쟁(베트남전쟁)(통킹만 사건으로 미국이 베트남전쟁에 뛰어들다...
    시대 :
    1960년 12월 20일
    국가/대륙 :
    아시아
  • 구엔 후 토 응우옌흐우토, 阮友壽
    것을 제외하고는 1954~61년까지 줄곧 감옥에 있었고, 그해에 디엠 정권에 반대하는 지지자들의 도움을 받아 탈옥했다. 당시 이들 반정부주의자들은 베트남 민족해방전선을 조직하여 비공산주의자 구엔 후 토를 임시의장으로, 다음해에는 상임의장으로 추대했다. 토가 이끄는 게릴라 부대는 남베트남 정부와 싸워 상당한...
    출생 :
    베트남(남부) 초론∼, 1910. 7. 10
    사망 :
    1996. 12. 24, 호치민
    국적 :
    베트남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남민전사건 남조선민족해방전선준비위원회사건, 南民戰事件
    남조선민족해방전선준비위원회'의 약칭이다. 이 조직은 1977년 1월 '한국민주투쟁위원회(이하 민투)'를 결성하여 유신체제를 비판하는 유인물 및 기관지인 〈민중의 소리〉를 8차례에 걸쳐 배포하는 등 반(反)유신투쟁을 전개했다. 또한 전국민주청년학생총연맹(이하 민청학련) 등 학생운동가들을 중심으로 청년학생...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사
  • 민족해방전선 National Liberation F..
    민족해방전선(民族解放戰線)은 다음을 가리킨다. 민족해방전선 (알제리)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 산디니스타 민족해방전선 (니카라과) 앙골라 민족해방전선 모로 민족해방전선 (필리핀) 민족해방전선 (예멘) 동음이의
    도서 위키백과
  • 민족해방운동 民族解放運動, national liberation ..
    전쟁으로 확대되자, 아시아의 다른 식민지·반식민지 국가에서도 반파시즘 민족해방운동이 활발히 전개되었다. 이 저항운동은 반파쇼·반제적인 모든 정파와 노동자·농민·대중·학생·청년 등을 결집한 반파쇼 민족통일전선과 무력(중국의 항일구국통일전선, 베트남의 월남독립동맹, 필리핀의 항일인민의용군, 미얀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분쟁의 시대, 미국의 베트남 전쟁 패배
    베트남의 관료들과 군 장교들은 자신들의 무능과 부패를 반정부 운동에 대한 가혹한 탄압으로 가리려고 했다. 이에 반발한 지식인과 농민 들이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을 결성해 본격적인 게릴라 무장 투쟁을 시작했고, 여기에 군사 쿠데타까지 계속되어 남베트남은 극심한 혼란에 빠졌다. 1963년 사이공의 거리에서...
    시대 :
    1975년
  • 피압박민족투쟁통일전선 United Front for the Li..
    교전단체 정보 피압박민족투쟁통일전선베트남의 조직으로, 참 족이 주축이 되어 이루어진 정치적 민족주의 조직이었다. 1969년부터 게릴라 조직으로 개편...캄보디아, 몇몇 프랑스인 단체들은 억압 인종 해방을 위한 연합 전선의 지원자들이 되었다. 베트남 전쟁에 개입한 미국은 이 단체와 협력하여 이들이 베트콩...
    도서 위키백과
  • 미하일 칼라시니코프 민족해방운동과 테러의 상징, AK-47 돌격소총, Mikhail Ti..
    그는 전선으로 돌아가는 대신 소련의 국영 조병창(RKKA)에서 총기 설계에 전념할 수 있었다.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나자 그에게 새로운 개념의 돌격소총을 개발하라는 과제가 내려왔다. 여기서 잠깐, 칼라시니코프의 첫 설계를 제친 시모노프의 SKS-45 카빈 소총을 살펴보자. AVS-36 반자동 소총과 PTRS-41 대전차 소총을...
    출생 :
    1919년
    사망 :
    2013년
    국적 :
    러시아
  • 후인 탄 파트 黃晋發, Huynh Tan Phat
    친미적인 사이공 정부에 대항하여 베트남을 통일시키기 위해 1960년에 결성된 베트남 민족해방전선(NLF)의 주요이론가 중 한 사람이었다. 그는 1969년부터 남베트남 임시혁명정부의 대통령이 되었으며, 이 임시혁명정부는 1975년에 사이공 정부를 무너뜨렸다. 후인 탄 파트는 1930년대에 하노이대학교를 다니는 동안...
    출생 :
    1913, 베트남 미토 근처
    사망 :
    1989. 9. 30, 호치민 시
    국적 :
    베트남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건

베트남전쟁에서 미군이 사살한 베트남민족해방전선(베트콩) 군인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