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법림 法琳
    인물 정보 법림(法琳, 572년 ~ 640년)은 수당(隋唐)시대의 불교승이다. 영천군(潁川郡:허난성)에서 출생하여 어려서 출가하였다. 박학하여 특히 삼론(三論)에 정통하였는데 도술을 배워 도사로 전향하였다. 다시 불교에 귀의한 뒤로는 장안의 안제법사(安濟法寺)에 자리잡고 강설을 폈다. 621년(무덕 4년)에 부혁(傅奕)...
    도서 위키백과
  • 미륵불화 彌勒佛畵, Maitreya Painting
    나란히 늘어뜨린 모습이다. 미륵의 협시는 경전에는 나와 있지 않지만, 청광보살(淸光菩薩)과 신광보살(神光菩薩)이라고 하며 대묘상보살(大妙相菩薩)과 법림보살(法臨菩薩)이라고도 한다. 밀교 경전인 『백보구초(白寶口抄 : 일본의 료손이 편찬한 밀교 경전으로 각 존상의 도상법에 관해 자세하게 적혀 있다)』에는...
    시대 :
    조선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예술·체육/회화
  • 장곡사 미륵불괘불탱 長谷寺 彌勒佛掛佛幀▽
    어색하지만 얼굴은 온화하다. 6대여래는 노사나불, 비로자나불, 다보여래, 석가문불(釋迦文佛), 약사여래, 아미타불이고 6대보살은 대묘상보살(大妙相菩薩), 법림보살(法林菩薩), 문수보살, 보현보살, 관음보살, 대세지보살이다. 보통 상단부에 등장하는 가섭존자(迦葉尊者)와 아난존자(阿難尊者), 그리고 범천과 제석천...
    시대 :
    조선
    유형 :
    유물
    분야 :
    예술·체육/회화
  • 미륵불상 彌勒佛像
    相)이 등장하고, 조선전기에 간행된 불교 의례집인 「염불작법(念佛作法)」과 1678년에 제작된 청양 장곡사 미륵불괘불탱에서는 대묘상보살(大妙相菩薩)과 법림보살(法林菩薩)이 미륵불의 협시보살로 등장하고 있어 조선시대 이후에는 대묘상보살과 법림보살이 미륵불의 협시보살로 정착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유형 :
    개념
    분야 :
    예술·체육/조각
  • 비룡산 장안사 남산사(南山寺), 飛龍山 長安寺
    중기 이후의 기록만이 전한다. 1627년(인조 5) 덕잠(德潛)이 중창하였고, 1709년(숙종 35) 청민(淸敏)이 범종각(梵鐘閣)을 중수하였으며, 1755년(영조 31) 법림(法琳)과 지묵(智默) 등이 중수하였다. 1800년(정조 24) 효일(孝日)이 중수하였고, 1867년(고종 4) 설산(雪山)이 향로전(香爐殿)을 중수하였으며, 1872년 설곡...
    유형 :
    유적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율곡사괘불탱 栗谷寺掛佛幀
    개설 1684년(숙종 10)법림(法琳)·숙련(淑連)·자명(自明) 등이 그렸으며, 1729년(영조 5)에 명열(明悅)·신영(信暎)·최우(最祐) 등이 중수했다고 전하고 있다. 2001년 8월 3일 보물 제1316호로 지정되어, 율곡사에 소장되어 있다. 내용 세로 827㎝, 가로 475㎝ 크기의 1폭 불화로, 보관을 쓴 단독 불입상의 괘불탱이다...
    시대 :
    고려
    저작자 :
    작가(법림, 숙련, 자명), 중수(명열, 신영, 최우)
    문화재 지정 :
    보물 제1316호
    창작/발표시기 :
    1684년
    성격 :
    불화(佛畵), 탱화
    유형 :
    작품
    크기 :
    세로 827㎝, 가로 475㎝
    권수/책수 :
    1폭
    분야 :
    예술·체육/회화
    소장/전승 :
    율곡사
  • 강화 전등사 목조 석가여래삼불 좌상 강화 전등사 목조삼세불상, 江華 傳燈寺 木造 釋迦如來..
    발원문에는 발원 내용과 화원질, 시주자 명단, 제작시기가 기록되어 있는데, 화원은 우두머리 조각승인 수연을 비롯한 성옥(性玉), 영철(靈哲), 제영(祭英), 법림(法林), 혜경(惠庚) 등 6인이 참여하였다. 시주자는 불상(佛像), 면금(面金), 체목(体木), 오금(烏金), 공양(供養), 대좌(臺座), 보단(甫團), 채안(彩安...
    시대 :
    조선 후기
    유형 :
    유물
    분야 :
    예술·체육/조각
  • 보림사비로자나불조상기 寶林寺毘盧舍那佛造像記
    1808년을 거꾸로 계산해보면 석가여래 입멸의 해는 기원전 949년이 되어 우리나라에서 전통적으로 사용해온 북방설과 일치하고 있다. 이러한 북방설은 법림이 확정한 <주서이기>에 따라 기원전 949년을 불멸기원으로 하였다. 그런데 염거화상탑지나 도피안사비로자나불상명에 보이는 연대는 이것과 다르게 되어 있다...
    문화재 지정 :
    국보 117호
    성격 :
    금석문
    유형 :
    유물
    크기 :
    높이: 273.5㎝의 좌상, 글자크기: 2㎝
    제작시기 :
    858년
    분야 :
    역사/고대사
    소장/전승 :
    전라남도 장흥군 유치면 봉덕리 보림사
  • 나주 다보사 목조 석가여래삼존상 및 소조 십육나한 좌상 羅州 多寶寺 木造 釋迦如來三尊像 ..
    백지묵서(白紙墨書)의 조성발원문에 의하면 1625년 4월부터 7월까지 조각승 수연(守衍), 성옥(性玉), 계화(戒和), 천기(天琦), 의엄(儀嚴), 응인(應仁), 법림(法林), 설주(雪珠)이 제작하였다. 수화승으로 참여한 수연은 17세기 전반에 전국을 무대로 활동한 조각승으로, 영철(靈哲)과 운혜(雲惠, 雲慧)로 이어지는...
    시대 :
    조선 후기
    유형 :
    유물
    분야 :
    예술·체육/조각
  • 산청 율곡사 괘불탱
    길상좌에 합장하고 있는 부처를 중심으로 아래쪽에 세 분·위쪽에 두 분을 배치하여 모두 5불이 안치되어 있다. 화면 하단에 마련된 화기(畵記) "…화원 법림비구 숙련비구 자명비구(畵員 法琳比丘 淑連比丘 自明 比丘)…강희이십삼년갑자(康熙二十三年甲子)…"로 보아 이 괘불탱은 강희 23년인 1684년에 화원 법림과...
    도서 위키백과
  • 이경 (동주) 李敬 (周朝)
    관리로 노자의 아버지이다. 익수씨와 혼인하여 노자를 낳았고 상어대사부(上御史大夫)를 지냈다는 것 외의 기록은 전해지지 않는다. 당 태종 시기의 승려 법림(法琳)에 의하면, 노자의 아버지 이경은 절뚝거리는 등 신체가 온전치 못했으며 귀가 어둡고 눈이 좋지 않아 나이 70이 될 동안 결혼을 하지 못했고, 이웃집...
    도서 위키백과
  • 장안사 (예천군)
    기록되었으나 정확한 기록이 불명이지만 조선왕조 중기에 세워졌다는 설이 유력하다. 1627년에 덕잠이 중창하고 1709년 청민이 범종각을 중수하고 1755년 법림과 지묵 대사 등이 중수하였다. 1867년에 향로전이 중수되었으며 1872년 설곡이 법당 및 요사채를 중수하였다. 현재 대웅전, 범종각, 삼성각이 있으며 그 옆...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