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백화제방 ・ 백가쟁명 운동마오쩌둥이 백화제방백가쟁명(百花齊放百家爭鳴) 운동을 제안하며 중국의 지식인과 학생들에게 정치적 의사를 거리낌 없이 표현할 것을 촉구했다. 소련에서 스탈린 비판 운동이 전개되고 폴란드와 헝가리 등 동유럽 나라들에서 정치적 소요가 일어나자, 이러한 사태가 중국에서도 일어나기 전에 먼저 비판적인 여론을...
- 시대 :
- 1957년 5월
- 국가/대륙 :
- 아시아
-
쌍백 운동과 반우파 투쟁 그리고 대약진 운동의 실패경제 개발 계획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사회주의 발전을 이루기 위해서는 사회 각계각층의 자발적인 참여와 지식의 이용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이른바 백화제방, 백가쟁명의 쌍백 운동은 이러한 현실적 필요에 의해 제기되었던 것이다. 이듬해인 1957년 2월 마오쩌둥은 최고 국무회의 제11차 확대회의 석상에서 〈인민의...
-
마오쩌둥식 사회주의의 실현비밀연설이 있기도 전에, 마오와 그 동료들은 새 중국을 건설하는 데 지식인들을 자발적으로 참여시키기 위한 사기 진작책을 검토했다. 1956년 4월말 마오는 '백화제방정책'(百花齊放政策:여러 가지 다양한 사상을 자유롭게 표현하는 정책)을 발표해 중국에 스탈린 치하의 소련과 비슷한 탄압적인 정치 분위기가...
-
마오쩌둥의 몰락, 대약진 운동성장률을 보여 농업과 중소기업이 위축되는 결과를 낳았다. 마오쩌둥은 사회주의 개조 후의 모순을 극복하고, 국가 경제력 향상을 극대화하기 위해 '백화제방 백가쟁명(百花齊放 百家爭鳴, 백 가지 꽃이 나란히 피고, 백 가지 학설이 주장을 펼친다)'의 구호를 앞세웠다. 마오쩌둥은 이것으로 공산당 정책에 대한 비판을...
- 시대 :
- 1958년
-
공산권의 분열과 개혁조치도 스탈린주의와 일당독재체제를 비판한 급진파 지식인들이 주도한 것이었다. 1956년 헝가리 봉기에 자극된 중국의 지식인들은 반공주의를 가라앉히기 위한 백화제방에 편승하여 공산당의 고위간부들을 규탄하기 시작했다(→ 백화제방). '가지각색의 사상이 논쟁을 벌이게 하자'(百花齊放 百家爭鳴)는 구호와 취지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