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갑인명석가상광배 갑인명왕연손조광배, 甲寅銘釋迦像光背내용 갑인명석가상광배는 일본 법륭사에서 국립동경박물관에 헌납한 48체불(體佛)이라고 하는 아스카·나라시대[飛鳥奈良時代]의 금동불 가운데 하나로 주형(舟形) 광배만 남아 있다. 광배에 남아 있는 구멍의 흔적으로 볼 때 원래는 대좌와 본존 및 협시보살이 있는 일광삼존불 형식이었을 것으로 보인다.광배의 뒷면...
- 문화재 지정 :
- 법륭사헌납보물 196호 금동광배
- 성격 :
- 광배
- 유형 :
- 유물
- 크기 :
- 높이: 31㎝, 가로: 17.8㎝, 두께: 0.5㎝ 정도
- 제작시기 :
- 삼국시대
- 분야 :
- 역사/고대사
- 소장/전승 :
- 일본 동경박물관 소장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갑인통공 甲寅通共금난전권을 점차 완화시키다가 1787년에 정미통공, 1791년 신해통공에 이어 갑인통공령을 발표하였다. 이 같은 통공정책은 정부의 재정궁핍을 보완하기 위해...따른 불가피한 상공 정책이었다. 이로써 도고(都賈)·문벌세가와 그 하속배·외방부상·강상(江商) 등 자유 상인과 자유 수공업자들은 새로이 전(廛)을 설치...
- 시대 :
- 조선
- 성격 :
- 정책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1794년(정조 18)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곶 串갈곶(갈고지) · 돌곶(돌고지) · 배곶(배고지) 등이 있으며, 이 중에서 갈곶 또는 갈고지(갈구지)라 불리던 마을은 갈곶이(葛串里) · 갈곶리(乫串里...곶(串)이라고 차용하고 있다. 본래 우리나라에서는 반도라는 말이 없었고 육지가 바다로 튀어나간 곳이면 ‘곶(串)’이나 ‘갑(岬)’과 같은 한자를 사용하였으며...
- 유형 :
- 개념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
-
광대 廣大보면 호남지방이 대부분이고 충청도·경상도 출신이 약간 있고 경기도는 한 명 뿐이다. 판소리광대는 권삼득(權三得)과 같이 양반출신도 있지만 대개는 하층계급에서 나왔으며, 특히 무당의 남편인 ‘화랑이’에서 훌륭한 명창이 많이 나왔다. 양반 출신의 광대를 ‘비개비’ 혹은 ‘비갑이’라고도 부른다. 참고문헌
- 시대 :
- 조선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예술·체육/연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