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방사선피폭관리원전신피폭측정을 실시한다. 종사원의 건강상태를 확인하여 방사선작업 가능 여부를 검토하여 관리한다. 관련 절차서의 작성 또는 개정내용을 검토하고 국내외 신기술정보를 입수하여 이를 업무에 활용한다. 방사선 피폭관리의 체계화를 위하여 전산화하여 운영한다. 기타 방사선 관련 안전관리를 위한 제반 업무를 수행...
- 교육수준 :
- 14년 초과 ~ 16년 이하(대졸 정도)
- 숙련기간 :
- 4년 초과 ~ 10년 이하
- 작업강도 :
- 가벼운 작업
- 작업장소 :
- 실내
- 직무기능(자료) :
- 분석
- 직무기능(사람) :
- 감독
- 직무기능(사물) :
- 정밀작업
- 고용직업분류 :
- [1212]자연과학 시험원
- 표준직업분류 :
- [2133]자연과학 시험원
- 자격/면허 :
- 원자력기사, 방사선관리기술사
- 표준산업분류 :
- [D351]전기업
- 조사연도 :
- 2012년
-
전신피폭에 따른 증상오한, 고열, 두통, 저혈압, 저혈압쇼크 등이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피폭 당시에는 특별히 고선량률에 노출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아무런 감각이 없는 것이 방사선 피폭의 특성이다. 분당 수십 Gy 이상의 극히 높은 선량률에 노출되는 경우에는 곧 바로 신경계 손상이 두통, 안통 등의 통증으로 나타난다고 보고되고...
-
동영상
방사선의 인체 영향 health effect of ionizing radia..분자 수준에서 방사선 피폭으로 인한 DNA 손상은 세포 수준에서 볼 때 세포의 사멸이나 기능마비 또는 돌연변이 등으로 나타나게 된다. 손상의 정도가 심각하면 세포의 사멸 또는 마비로 나타나게 된다. 심각하게 변이된 세포가 자살 프로그램(apoptosis)에 의해 스스로 사멸하지 않는다면 생명체의 면역체계에 의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