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발달심리학 아동을 넘어서 전생애 발달에 대한 심리학적 접근
    일반심리학이 정상 성인의 정신기능을 연구하는 분야라면, 발달심리학은 이러한 정신기능을 발달이라는 관점에서 연구하는 분야다. 다시 말해 태아기부터 시작해 영유아기, 아동기와 청소년기를 거쳐 성인에 이르기까지의 마음과 행동의 발달 과정을 다룬다. 성인 이전의 시기를 주로 다루는 발달심리학은 아동학이나 교...
  • 발달심리학 發達心理學, developmental psychology
    인간이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전생애의 인지적·동기적·정신생리학적·사회적 기능에 일어나는 변화를 연구하는 심리학의 한 분야. 생애심리학이라고도 함.|19세기와 20세기초의 발달심리학자들은 주로 아동심리학에 관심을 가졌다. 그러나 1950년대에는 성격 변수와 육아의 관계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B. F. 스키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심리 , 학문
  • 발달심리학 (관련어 발달 심리학) Developmental psychology, 発..
    심리학 사이드바 발달 심리학(發達 心理學, llang)은 사람의 출생부터 사망까지 일생 동안 연령 및 환경에 따른 정신과정과 행동상의 변화를 다루는 심리학의 한 분과이다. 개인의 지적·정서적·사회적 과정의 전개에 관심을 둔다. 발달 원리는 신체적·지적 변화가 급속히 이루어지고 행동 유형이 형성되는 생후 20세...
    도서 위키백과
  • 대상관계 이론 반복되는 대인관계의 원인은 마음속 대상관계
    거부해버리는 관계를 맺고 있다. 대상관계 이론가들은 이처럼 역기능적인 대상관계가 어린 시절 부모와 관계에서 시작되었다고 주장한다. 이런 면에서 발달심리학의 애착과 관련이 있다. 아마도 이 여성의 부모는 너무 바쁘거나 혹은 부모 자신의 심리적 문제로 자녀에게 충분한 사랑을 주지 못했을 수 있다. 이럴 경우...
  • 스토케의 브랜딩 사람과 자연을 중심에 둔 혁신
    가진 혁신적 디자인의 프리미엄 유모차이다. 시트 위치가 높고 조절이 가능해 유모차를 밀면서 아이와 가깝게 아이 컨택을 할 수 있다. 아이 컨택은 아동 발달 심리학에서도 아이와의 교감과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양대면의 디자인은 부모와 아이의 정서적 교감을 강화할 수 있다...
  • 심리학 心理學, psychology
    살아 있는 유기체뿐만 아니라 무생물, 예를 들어 컴퓨터의 지능적 행동도 연구한다. 심리학은 실험심리학·인지심리학·생리심리학·발달심리학 등의 기초 분야들과 임상심리학·산업심리학·조직심리학·인간요인심리학 등의 응용 분야 등을 포함한다. 각 분야들은 잘 통합된 유기체의 이해 및 그 행동에 대한 설명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심리 , 학문
  • 아동학 兒童學
    연구해야 한다는 주장에서 아동심리학이라는 명칭을 벗어나 아동학이 성립되었고, 그 구성 영역으로 아동교육학이 대두되었다. 아동학의 형성은 이전에 발달심리학 등에서 다루었던 아동기 교육에 대한 새로운 접근과 체계화를 요청하기에 이르렀다. 1960년대를 전후하여 미국·일본의 가정대학에 아동학 전공학과가...
    시대 :
    현대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교육/교육
  • 발달단계이론 發達段階理論
    J.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 및 에릭슨의 인성발달단계설 등이 대표적이다. 발달심리학의 주요관심인 발달은 일반적인 원리를 갖고 있다(→ 아동발달). 첫째, 발달은 성숙과 학습의 상호작용의 결과이다. 발달단계의 특징은 성숙과 학습이라는 2가지 과정의 상호작용의 결과로 생성된다. 둘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교육
  • 인간행동 人間行動, human behaviour
    성인기·노년기를 거치며 지속적으로 변화를 겪듯이 인간행동은 결코 고정된 발달수준에 머무르지 않는다. 사실 행동발달은 신체발달과 밀접히 연관되어 있으며 행동발달과 신체발달의 연령분포도는 상당 부분 일치한다(발달심리학).20세기 후반에 인간행동을 연구하는 다양한 접근법들은 내적인 신체적·유전적(내생적...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심리
  • 포크소노미 Folksonomy
    걸러주어 이용자 간의 지식 창출이 가능하게 해준다"고 했다. 김정운은 "기존의 지식 권력은 '디렉터리(directory)'와 같은 계층구조다. '학문-심리학발달심리학-인지발달……'과 같이 상위 범주의 지식과 하위 범주의 지식으로 나뉘어 있다. 그러나 이 같은 '트리(tree)' 구조의 지식은 권위적일 뿐만 아니라 변화...
  • 개념형성 槪念形成, concept formation
    따르면 인간만이 개념형성을 하는 것은 아니다. 동물들 특히 영장류의 개념발달에 관한 연구가 폭넓게 이루어졌고 많은 연구가들은 동물도 추상적 사고를 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다. 덧붙여 인간의 개념형성과 컴퓨터 정보처리과정의 관계는 인공지능 연구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발달심리학, 사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심리
  • 김성태 송우(松友), 金聖泰
    크게 기여하였다. 1972년부터 1976년까지는 한국심리학 회장으로 한국의 심리학 발전에 크게 공헌하였으며, 1985년 대한민국학술원 회원이 되었다. 저서로는 『실험연구의 방법』· 『발달심리학』·『성숙인격론』 등이 있고, 주요 논문으로는 「불안개념의 반성」·「경사상에의 심리학적 접근」 외 20여 편이 있다...
    시대 :
    현대
    출생 :
    1925년
    사망 :
    1991년
    경력 :
    고려대학교 교수, 한국심리학회 회장, 대한민국학술원 회원
    유형 :
    인물
    직업 :
    학자
    대표작 :
    실험연구의 방법, 발달심리학
    성별 :
    분야 :
    교육/교육
    본관 :
    김해(金海)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발달심리학(developmental psychology)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