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발권은행 發券銀行, issuing bank
    통용화폐를 발행하는 은행.|역사상으로는 일반은행이 발행한 은행권이 일부지역에서 화폐로 사용된 예도 있었으나 현재는 세계의 모든 국가에서 중앙은행발권을 독점하고 있다. 발권은행으로서 갖춰야 할 가장 중요한 요소는 지급준비를 충실하게 하는 것이다. 일찍이 금본위제도하에서의 화폐의 발행액은 금준비액...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제
  • 한국은행 韓國銀行, The Bank of Korea
    개요 1948년 정부 수립 직후 근대적인 금융 제도와 통화신용정책 수립을 위해 1950년 5월 공포된 <한국은행법>에 따라 설립된 대한민국의 중앙은행. 대내외 경제 상황에 따라 안정적인 통화 정책의 수립과 집행, 물가안정, 금융 제도의 개선 등에 기여해왔다. 역사 한국의 중앙은행 제도는 1909년 11월 한국은행이 설립...
    설립 :
    1950년 6월 12일
    유형 :
    중앙은행
    국가 :
    대한민국
    대표자 :
    이주열
    소재지 :
    서울특별시 중구 남대문로 39 (남대문로3가)
    사이트 :
    http://www.bok.or.kr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금융
  • 은행, 인류 앞에 서다
    못하는 사태를 맞았다. 그 사이에 찬란하던 베니스의 상권이 기울어갔다. 이 은행도 1806년 문을 닫았다. 발렌시아 지역에서도 똑같은 일이 벌어졌다. 발권은행이 식량(밀)에 투자해서 높은 수익을 얻으려다가 1613년 스페인의 침공 때 갑자기 늘어난 예금 인출을 견디지 못해 바로 파산하고 말았다. 발권은행이 수익성...
    도서 금융 오디세이 | 태그 금융
  • 조선은행 선은, 朝鮮銀行
    동원하여 구제금융(救濟金融)을 실시해야 할 중앙은행이 오히려 그 구제를 받는다는 역설은 여전히 영리를 추구하는 사적 금융기관으로 변용된 식민지 발권 은행의 모습을 적나라하게 보여주고 있었다. 실질적인 정리 주체인 대장성과 일본은행은 결국 조선은행을 통제하는 주체가 누구인지를 확인시켜 주고 있었다...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유형 :
    단체
    분야 :
    역사/근대사
  • 은행, 대통령의 눈 밖에 나다
    년 만에 병보석으로 출옥했으나 이듬해인 1670년 60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팔름스투뤼흐가 스웨덴 경제를 분탕질한 뒤 스웨덴 사람들은 배운 것이 있었다. 발권은행이 필요하기는 하지만 적절한 견제 장치가 필요하다는 것이었다. 그래서 1668년 왕의 이름으로 새로운 발권은행을 세울 때 왕은 경영진의 인사권만 갖고...
    도서 금융 오디세이 | 태그 금융
  • 조선은행 朝鮮銀行
    승계함으로써 출범했다. 이 은행은 1910년 한국 정부가 해체됨에 따라, 1911년 3월 공포된 '조선은행법'에 의거 조선총독부 산하의 조선은행으로서 재출범했다. 업무 발권은행으로서의 역할 일본은행권과 1 대 1로 교환되는 법화인 은행권을 발행하는 식민지 발권은행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했다. 그래서 이 은행은 일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금융
  • 은행, 국민의 원흉이 되다
    반대했다. 그러나 왕실이 부분적으로 파산 상태에 이르고 부자들에게서 살인적인 고금리로 급전을 조달하게 되자 생각을 바꾸었다. 왕실 재정을 맡은 은행발권은행이라면 돈을 찍어 왕실에 저리로 빌려줄 수 있으므로 재정난이 해결되리라 생각한 것이다. 이렇게 해서 존 로의 은행은 1716년 5월 마침내 허가되었다...
    도서 금융 오디세이 | 태그 금융
  • 은행이란 무엇인가
    수행하는 어음교환소’로서 설립된 것이 오늘날의 연준이다. 통화정책의 중요성이 부각된 것은 연준이 설립된 지 한참 뒤인 1951년의 일이고, 발권은행, 정부의 은행 정도는 연준 설립 이전에도 얼마든지 있었다(은행, 대통령의 눈 밖에 나다 항목 참조). 현대 중앙은행제도에서 최종대부자 기능은 대단히 중요한 것...
    도서 금융 오디세이 | 태그 금융
  • 미합중국은행 美合衆國銀行, Bank of the United States
    돈을 보관했기 때문에 합중국은행은 항상 세무서에서 사설은행이 발행한 지폐를 받았다. 정부에 지불해야 하는 돈은 사설은행에서 발행한 지폐를 썼다. 합중국은행은 사설은행권을 받자마자 발권은행에게 금이나 은으로 태환해주어야 했다. 따라서 자동적으로 과잉신용대출이 억제되고 인플레이션도 방지할 수 있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한국은행 韓國銀行, The Bank of Korea
    되어 있다. 우리나라의 중앙은행제도는 1909년 구한국은행(舊韓國銀行)이 설립되면서 처음 도입되었다. 구한국은행은 한일합방 후 1911년조선은행(朝鮮銀行)으로 개편되어 발권, 국고업무 등 중앙은행의 기능과 함께 일반은행업무도 일부 겸영하였다. 광복이후에도 조선은행발권, 국고, 대외지급준비자산의 보유...
    시대 :
    현대
    설립 :
    1950년 6월
    성격 :
    은행
    유형 :
    단체
    분야 :
    경제·산업/경제
  • 기준금리 손들고 기준! 기준금리
    왜 그런지는 설명이 복잡하니 『경제기사의 바다에 빠져라』 참조 덤으로, 한국은행은 우리나라 중앙은행이야. 한 나라의 중앙은행발권은행으로 돈을 찍어낼 수 있는 은행이야. 만원짜리 지폐를 보면 한국은행 총재의 도장이 찍혀 있어. 한국은행에서 돈을 직접 찍는 것은 아니고 조폐공사가 찍어서 한국은행에 입고...
  • 잉글랜드 은행 Bank of England, イングランド銀行
    국유화되었다. 1998년 공기업으로 전환되어 전체 지분의 절반을 영국법무국이 보유하고 있으며 금융정책의 독립성이 보장되어 있다. 잉글랜드 은행은 영국 내의 지폐 발권 은행 8곳 가운데 하나로 잉글랜드와 웨일스에서는 유일한 발권은행이고, 스코틀랜드와 북아일랜드에서는 다른 발권 권한을 지닌 상업은행들도 지폐...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다음페이지 없음